와그리넷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M
관리자
2025.04.21 추천 0 조회수 46 댓글 0

 

목차

  1. 지원 대상
  2. 신청 방법
  3. 예산 규모
  4. 마감일 (접수 일정)
  5. 과거 선정 기업 사례


 

1. 지원 대상

창업 후 7년 이내인 중소기업(개인사업자 및 법인기업 포함)으로, 전년도 매출액 20억 원 미만인 기술창업 기업이 주된 지원 대상입니다.

업종 제한은 없으며, 다만 중소벤처기업부 기술개발사업을 이미 다수 수행한 기업은 일부 졸업제 규정(동일 사업 반복 선정 제한 등)에 따라 지원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2. 신청 방법

정부 R&D 통합 신청 시스템인 IRIS 또는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SMTECH)에서 접수합니다.

보통 사업 공고 후 3~4주 정도의 기간 동안 온라인 신청이 진행되며, 사업계획서, 기업 증빙서류(사업자등록증, 재무제표 등), 기술 관련 추가자료(특허 등)를 준비해 업로드해야 합니다.

이후 서면 평가 및 대면 평가를 거쳐 최종 선정 기업을 확정하고, 협약 체결 후 R&D 자금을 지원받게 됩니다.


 

3. 예산 규모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은 매년 수천억 원대의 예산이 투입되는 중소벤처기업부의 대표적 창업 R&D 지원 사업입니다.

예를 들어 2025년에는 신규 과제에 약 1,150억 원이 편성되어 있으며, 계속 과제까지 합산 시 총 5,960억 원 규모로 진행됩니다.

구분예산(억 원)지원 기업 수(개사)
2025년 신규 과제1,150약 1,050개사
계속 과제 포함 전체5,960


 

기업당 지원 금액은 과제 유형(디딤돌, TIPS 등)에 따라 최대 2~5억 원까지 차등 지원되며, 일반적으로는 평균 1억 원 내외 규모가 많습니다.


 

4. 마감일 (접수 일정)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은 연간 2~3회 공고가 이루어집니다. 상·하반기 등으로 나누어 4월경8~10월경에 정기적으로 공고되며, 예산 상황에 따라 추가 공고가 올라올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 1차 공고는 4월 17일부터 5월 7일(17:00)까지 접수 중이며, 이후 추가 공고 예정은 중소벤처기업부 혹은 K-Startup 홈페이지의 공지사항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5. 과거 선정 기업 사례

최근 1~2년 사이, 아래와 같은 분야의 스타트업들이 선정되어 R&D 지원을 받았습니다.

  • (주)윙스 - AI 기반 언어재활 콘텐츠 플랫폼
    2024년 디딤돌 과제(도약 단계)에 선정되어 약 1억 2천만 원의 기술개발자금을 지원받았습니다. AI 기술을 활용한 언어치료 솔루션을 개발·고도화하여 언어장애가 있는 사용자들의 디지털 치료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주)알지노믹스 - RNA 치환효소 기반 유전자치료제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유전자치료 플랫폼을 연구하며, 해당 기술이 국가전략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정부 R&D 성과를 기반으로 민간 투자유치와 해외 진출을 추진 중입니다.


 

이 외에도 바이오, 인공지능(AI), 제조 혁신기술, 플랫폼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의 기술창업기업들이 선정되어, R&D 자금 지원을 통해 제품·서비스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참고
관련 정보는 중소벤처기업부의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공고문, K-Startup, 기업부설연구소, 각종 보도자료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신청 👉

 

댓글 0

소상공인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