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윤석열 압박 최고조…체포영장까지 거론된 긴박한 새벽

특검, 윤석열 압박 최고조…체포영장까지 거론된 긴박한 새벽
목차
1. 초강수로 돌아온 두 번째 통보
2. ‘침묵 전략’ 고수하는 윤 전 대통령
3. 강제수사 현실성, 법조계의 전망
1. 초강수로 돌아온 두 번째 통보
30일 오전 10시.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지정한 시간은 칼날처럼 예리했다. 전날 첫 소환에 불응한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특검은 단 하나의 메시지를 보냈다. “이번에도 나오지 않으면 즉시 체포영장을 청구할 수 있다.”
명태균 공천 개입 의혹 등 굵직한 혐의를 다루는 이번 수사는 ‘김건희 특검’의 실질적 시험대다. 특검 내부 관계자는 “더 이상 지체할 시간이 없다”며 수사 동력 확보를 강조했다. 두 번째 소환장은 사실상 마지막 경고장이 된 셈이다.
2. ‘침묵 전략’ 고수하는 윤 전 대통령
그러나 당사자는 요지부동이다. 윤 전 대통령 측은 변호인 선임계조차 제출하지 않았고, 조사 일정과 방법에 대한 의견도 전혀 내지 않았다. 익명을 요구한 측근은 “건강이 악화돼 조사가 불가능하다”는 기존 입장을 반복했을 뿐이다.
실제로 윤 전 대통령은 내란 혐의로 진행 중인 재판에도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소환장을 열 번 보내도 건강 사유 하나로 버틸 것”이라는 냉소마저 나온다.
3. 강제수사 현실성, 법조계의 전망
문제는 강제 구인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지난해 조은석 특검팀도 같은 구치소 명령장을 세 차례 발부했지만 모두 빈손이었다. 법원 허가, 교정 당국 협조, 건강 검증 절차라는 ‘삼중 관문’이 버티고 있어서다.
그럼에도 특검은 체포영장 카드를 꺼냈다. 수사 경험이 풍부한 한 전직 검사는 “기소를 위해선 최소한의 대면조사가 필요해 영장 청구는 명분이 있다”면서도 “실제 집행까지 이어질 가능성은 반반”이라고 분석했다.
만약 윤 전 대통령이 끝내 불출석을 고수한다면 ‘조사 없는 기소’ 시나리오가 재현될 공산이 크다. 특검이 결단을 내릴지, 아니면 또다시 수사가 제자리걸음을 반복할지 오늘 하루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댓글 0
뉴스
“초격차로 재시동” — K-배터리 세제 혁신·삼각벨트 전략 총정리

“스마트폰 0원?” SKT·KT·LGU+ ‘100만원 폭탄 지원금’…거리마다 대기줄 폭발

창원 버스 4일째 멈춤…‘준공영제 블랙홀’ 논란 폭발

“분노의 불길” 새벽 지하철을 삼키다

댓글 잠근 백종원, 3주 만의 깜짝 복귀

대선 72시간 전, 박근혜 서문시장 깜짝 등장

‘학벌로 사람 재지 마!’ — 김문수, 교육 차별 공세에 일갈

개혁신당이 던진 역고발 카드, 정치권에 ‘불씨’ 다시 붙다

이재명, ‘가덕도 신공항’ 승부수…“현대 떠나도 멈춤 없습니다”

이재명, 주한미군·핵무장 논쟁 재점화

“점심시간 대이동” — 사전투표율 신기록, 평일에도 끓었다

“2.75→2.50%로 급선회” 한국은행, 예고 없는 추가 금리 인하 단행

긴급! 부산시내버스 운행 전면 재개… 파업 중단으로 시민 숨통 트였다

“이준석, 예민한 시청자에 사과 표명…젓가락 논란의 전말”

부산 출근 대혼란 - 버스 파업으로 도시가 멈춰선 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