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마감 카운트다운’…이재명式 통상외교, G7에서 승부수

트럼프의 ‘마감 카운트다운’…이재명式 통상외교, G7에서 승부수
1. 셔틀 협상 가속…“관세 먹구름, 걷힐까”
재계 총수들이 잰걸음으로 귀국하고 있다. 7월 9일로 예고된 상호 관세 유예 시한이 한 달도 남지 않은 탓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출범 직후 통상 라인을 대대적으로 개편했다. ‘통상 전략가’로 통하는 여한구 선임위원이 통상교섭본부장에, 북미통 박윤주 공사가 외교부 1차관에 전진 배치됐다. 국장급이던 실무 대표는 1급으로 올려 협상 키를 위로 당겼다.
여 본부장은 “산업·에너지·통상을 한데 묶어 대미 협상 태스크포스를 재편한다”며 “장관급 셔틀 협상을 숨 가쁘게 돌릴 것”이라고 선언했다. 경제단체들은 “정부가 불확실성 제거에 집중한다면 투자‧고용 계획을 재정비할 수 있다”는 기대를 내비친다.
2. G7 ‘첫 악수’가 변수…협상판 뒤흔들 30분
상황 반전의 무대는 곧 열리는 이탈리아 G7 정상회의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양자 회동 일정을 촘촘히 잡고 있어, 이재명 대통령과의 첫 대면이 성사될 공산이 크다. 한 외교 소식통은 “30분짜리 악수라도 관세 카드의 온도는 급격히 달라진다”고 전망한다.
미국은 최근 멕시코와 철강 쿼터 무관세를 타진하며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동시에 트럼프 대통령은 “열흘 남짓 안에 최종안을 받아들일지 각국이 결정하라”는 서한을 예고했다. 협상 테이블에 ‘시계’가 올려진 셈이다.
관세 해법을 둘러싼 국내 공은 재계 간담회에 모인다. 대통령실은 G7 출국 전 삼성‧현대차‧SK 등 대기업 총수와 대한상의, 경총 등 단체장을 초청해 ‘국익+실리’ 통상 전략을 논의한다. 한 재계 관계자는 “미국 산업 생태계에 대한 한국 기업의 기여도를 강조해 우방국 프리미엄을 끌어내야 한다”고 했다.
트럼프 행정부 2기와 이재명 정부의 관세 줄다리기는 마지막 코너를 돌고 있다. G7에서 건네질 악수 한 번, 서명 한 장이 양국 경제 지형을 바꿀 수 있다. 시계 바늘은 쉬지 않고 돌고 있다.
댓글 0
뉴스
이스라엘 내각, ‘1단계 정전’ 전격 승인…72시간 내 전원 송환 시계가 돈다

“불난 뒤에도 다시 달린다” 우체국쇼핑, 10월 9일 오후 6시부터 시동

출근길 덮친 가을비, 수도권·강원 ‘많은 비’…서울 낮 18도 체감 ‘쌀쌀’

“캄보디아서 사라진 22세”…고문 끝 심장마비, 남겨진 가족의 두 번째 비극

“멈췄던 부동산 민원, 내일 9시부터 다시 달린다”

“세종학당 대확장” 한글·K문화 세계 점령 전략

“경주에서 결판” 트럼프, 中 대두 불매에 칼 빼들다

배터리와 서버가 ‘붙어 산다’… 재난이 시스템을 삼키기 전에

“가격은 현실적으로, 감각은 프리미엄으로” 르노 세닉 전기 SUV 재평가

“울분으로 버틴 밤”… 이진숙, 오후에도 강도 높은 조사 이어져

“다시 2%대” 9월 물가, 장바구니가 끌어올렸다

“잃어버린 48시간” 논쟁, 어디서 시작되고 어디로 가나

“첫날부터 멈춘 워싱턴” — 상원, 임시예산 두 번 모두 좌초…3일 재표결 관측

카카오 ‘카나나’ 전면 개편… “메이트가 일상에 들어왔다”

“한복 찾았더니 한푸가?” 쇼핑몰 표기 혼선, 문화왜곡의 불씨 되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