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광산 추도식, 또다시 ‘강제동원’ 외면…2년째 반쪽 행사 논란

사도광산 추도식, 또다시 ‘강제동원’ 외면…2년째 반쪽 행사 논란
1. 반복되는 역사 왜곡
일제강점기 조선인 노동자들이 혹독한 환경에서 일해야 했던 사도광산. 그러나 일본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이후 약속했던 ‘강제성’ 반영을 올해도 외면했습니다. 지난 13일 열린 두 번째 추도식에서도 피해자들이 겪었던 강제 동원 사실은 공식 언급에서 빠졌습니다.
이러한 태도는 지난해 첫 추도식에 이어 같은 패턴을 반복한 것으로, 일본이 국제사회 앞에서 했던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2. 한국 정부의 불참
한국 정부는 올해 역시 행사에 대표단을 보내지 않았습니다. 이유는 명확했습니다. 추도사에서 피해자들이 강제로 끌려갔다는 점이 명확히 다뤄지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대통령실 역시 “강제성에 대해 언급할 수 없다는 태도는 개선된 한일관계 속에서도 풀어야 할 과제”라고 강조했습니다.
결국 정부는 현지에서 별도의 추도식을 마련해 유가족과 함께 진정한 추모의 시간을 가질 계획입니다.
3. 일본 측의 행사 격하
올해 일본 측은 행사 위상을 낮췄습니다. 지난해 차관급이었던 정부 대표를 국장급으로 낮춰 오카노 유키코 외무성 국제문화교류심의관이 참석했습니다. 그는 “조선인 노동자가 가혹한 환경에서 힘든 노동을 했다”는 말은 남겼지만, 가장 중요한 ‘강제성’은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이 같은 발언은 의도적으로 모호한 표현을 사용해 불편한 과거를 희석하려는 시도로 보입니다.
4. 남겨진 과제
자료에 따르면 1940년부터 1945년 사이 사도광산에서 일해야 했던 조선인 수는 1,519명에 달합니다. 이는 단순한 과거의 사건이 아니라, 피해자와 유족들에게 여전히 치유되지 않은 상처로 남아 있습니다.
국제사회는 일본이 약속을 지키고,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지 않으며, 진정성 있는 태도로 추모 행사를 이어가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주목하고 있습니다. ‘반쪽짜리 추도식’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나려면, 과거를 인정하는 용기와 진실된 사과가 선행돼야 할 것입니다.
댓글 0
뉴스
국힘 윤리위, 전한길에 ‘경고’…최저 수위 징계로 마무리

특검, 김건희 18일 재소환…뇌물 혐의 본격 검토

재계 상반기 보수 격차…두산·한화 고액, 삼성 무보수

국힘 전당대회, 전한길 '경고' 징계 후폭풍…연설회서도 갈등 폭발

김건희 구속 후 첫 소환…'집사 게이트' 수사 향방 주목

이재명 정부, 금융당국 첫 지휘부 확정…이억원-이찬진 ‘투톱 체제’ 가동

이재명 정부 5개년 청사진 발표…123개 과제·23개 전략 공개

김건희 구속심사 종료…밤늦게 운명 가를 법원 판단 임박

삼성전자, 세계 최초 마이크로 RGB TV로 기술 초격차 선언

李대통령, 취임 82일 만에 트럼프와 첫 정상회담

김건희 특검, 848쪽 의견서로 구속영장 심사 정면 돌파

5000만원 이하 연체자, 올해 안 갚으면 신용이력 '싹' 지워준다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취임 후 최저치 기록…이유는?

헌정사 첫 동시 구속? 김건희 구속심사, 12일 열려

포스코이앤씨 사고 현장 긴급 점검…장인화 회장, “원인 뿌리까지 파헤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