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광산 추도식, 또다시 ‘강제동원’ 외면…2년째 반쪽 행사 논란

사도광산 추도식, 또다시 ‘강제동원’ 외면…2년째 반쪽 행사 논란
1. 반복되는 역사 왜곡
일제강점기 조선인 노동자들이 혹독한 환경에서 일해야 했던 사도광산. 그러나 일본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이후 약속했던 ‘강제성’ 반영을 올해도 외면했습니다. 지난 13일 열린 두 번째 추도식에서도 피해자들이 겪었던 강제 동원 사실은 공식 언급에서 빠졌습니다.
이러한 태도는 지난해 첫 추도식에 이어 같은 패턴을 반복한 것으로, 일본이 국제사회 앞에서 했던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2. 한국 정부의 불참
한국 정부는 올해 역시 행사에 대표단을 보내지 않았습니다. 이유는 명확했습니다. 추도사에서 피해자들이 강제로 끌려갔다는 점이 명확히 다뤄지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대통령실 역시 “강제성에 대해 언급할 수 없다는 태도는 개선된 한일관계 속에서도 풀어야 할 과제”라고 강조했습니다.
결국 정부는 현지에서 별도의 추도식을 마련해 유가족과 함께 진정한 추모의 시간을 가질 계획입니다.
3. 일본 측의 행사 격하
올해 일본 측은 행사 위상을 낮췄습니다. 지난해 차관급이었던 정부 대표를 국장급으로 낮춰 오카노 유키코 외무성 국제문화교류심의관이 참석했습니다. 그는 “조선인 노동자가 가혹한 환경에서 힘든 노동을 했다”는 말은 남겼지만, 가장 중요한 ‘강제성’은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이 같은 발언은 의도적으로 모호한 표현을 사용해 불편한 과거를 희석하려는 시도로 보입니다.
4. 남겨진 과제
자료에 따르면 1940년부터 1945년 사이 사도광산에서 일해야 했던 조선인 수는 1,519명에 달합니다. 이는 단순한 과거의 사건이 아니라, 피해자와 유족들에게 여전히 치유되지 않은 상처로 남아 있습니다.
국제사회는 일본이 약속을 지키고,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지 않으며, 진정성 있는 태도로 추모 행사를 이어가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주목하고 있습니다. ‘반쪽짜리 추도식’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나려면, 과거를 인정하는 용기와 진실된 사과가 선행돼야 할 것입니다.
댓글 0
뉴스
트럼프도 탐낸 국산 명품…이재명 대통령의 즉석 선물 화제

김건희·윤석열 침묵 속 특검, 구속된 ‘열쇠 인물들’로 반전 가능성 모색

추석 대목 잡아라…백화점 3사, 선물세트 사전 예약전 돌입

中 특사단, 왕이 면담…시진핑 방한 요청과 ‘전략적 협력’ 강조

충격! 금목걸이 사라진 이유…범인은 검시 조사관이었다

‘노란봉투법’ 6개월 뒤 시행…노동시장 판도 바뀌나

與 주도 '노란봉투법' 전격 가결…상법 개정안도 연속 상정

BTS 정국·재벌 총수까지 털렸다…알뜰폰 해킹 총책, 태국서 덜미

AI·SMR까지…새정부, 100조 투입해 미래산업 판 뒤집는다

이재명 대통령, 미·일 정상외교 전면 돌입

내란특검, 한덕수 조사 뒤 영장 검토…노상원 주말 이틀 연속 소환

빌 게이츠 만난 SK·HD현대… 차세대 원전 동맹 본격 가동

운명의 전당대회, 국민의힘의 미래는 어디로

이태원 참사 1000일…유가족 "소방관·경찰 트라우마 방치, 국가 책임"

한수원·웨스팅하우스, 美 원전 패권 겨냥한 합작법인 설립 눈앞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