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그리넷

경제

당신 모르는 154조원? 치매머니 폭증의 숨은 함정

M
관리자
2025.05.06 추천 0 조회수 1120 댓글 0

당신 모르는 154조원? 치매머니 폭증의 숨은 함정
당신 모르는 154조원? 치매머니 폭증의 숨은 함정

당신 모르는 새 154조원? 치매머니 폭증의 숨은 함정

1. 고령 치매환자 자산, 벌써 GDP 6% 넘었다

 

국내에서 치매 증상이 있는 65세 이상 노인은 2023년 기준 약 124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이들 중 80%를 훌쩍 넘는 인원이 크고 작은 재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추산 결과 전체 자산 규모가 무려 154조 원까지 파악됐다. 이는 국내 국내총생산(GDP)의 6%를 훌쩍 넘어서는 수치다.

특히 한 사람당 평균 2억 원가량의 자산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치매 관련 질환으로 스스로 의사결정이 쉽지 않은 고령층의 재산 규모가 상당히 크다는 점이 재조명되고 있다. 인구 비중이 높지 않음에도 이들이 보유한 재산 총액이 매우 커서, 향후 치매머니와 관련된 다양한 법적·제도적 장치가 절실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2. 부동산과 금융자산 비중, 치매머니의 핵심

 

치매머니 속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부동산이며, 이는 전체 치매환자 자산의 약 74%에 해당한다. 금전적으로 바로 활용하기 용이한 금융자산 또한 20%를 넘기는 수준으로, 여러 방식으로 투자되어 있거나 예·적금 상태로 묶여 있는 경우가 많다.

문제는 고령층 본인이 치매 때문에 사무 처리 능력이 떨어지거나 의사결정이 어려운 상태일 경우, 가정 내 분쟁이나 사기 피해에 직면할 위험이 크다는 점이다. 게다가 이처럼 막대한 자산이 장기간 묶여 있으면 투자와 소비 선순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따라 해당 자산을 합리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신탁 상품과 공공 후견인 지원 제도의 활성화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3. 치매머니, 2050년에는 세 배 이상 급증할 전망

 

급격한 고령화가 계속되면서 치매 환자 수도 매년 크게 늘어나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금의 치매 환자 수가 2030년이면 178만여 명, 2040년경에는 285만 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내다본다. 여기에 2050년에는 치매 환자 규모가 400만 명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돼, 이로 인해 발생하는 자산 총액 역시 현재의 세 배 수준인 488조 원까지 치솟을 것으로 추산된다.

이는 해당 시점 GDP의 15%를 넘보는 수준으로, 경제 전반에 직접적인 파급력이 커질 수밖에 없다. 실제로 자산을 운용하지 못한 채 방치되거나 부적절하게 관리될 경우, 세대 간 갈등을 유발하고 경제 성장을 저해하는 등의 심각한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이에 정책 당국에서는 매년 치매머니 규모를 추적하면서 신탁 제도 개선, 후견인 확대 방안 등을 본격화하겠다고 밝혔다.



원문 보기
출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국민건강보험공단, 서울대 건강금융센터

댓글 0

뉴스

전체 정치 경제 사회 생활/문화 IT/과학 세계이슈 연예 건강
세계이슈

이스라엘 내각, ‘1단계 정전’ 전격 승인…72시간 내 전원 송환 시계가 돈다

M
관리자
조회수 257
추천 0
2025.10.10
이스라엘 내각, ‘1단계 정전’ 전격 승인…72시간 내 전원 송환 시계가 돈다
IT/과학

“불난 뒤에도 다시 달린다” 우체국쇼핑, 10월 9일 오후 6시부터 시동

M
관리자
조회수 259
추천 0
2025.10.10
“불난 뒤에도 다시 달린다” 우체국쇼핑, 10월 9일 오후 6시부터 시동
생활/문화

출근길 덮친 가을비, 수도권·강원 ‘많은 비’…서울 낮 18도 체감 ‘쌀쌀’

M
관리자
조회수 279
추천 0
2025.10.10
출근길 덮친 가을비, 수도권·강원 ‘많은 비’…서울 낮 18도 체감 ‘쌀쌀’
사회

“캄보디아서 사라진 22세”…고문 끝 심장마비, 남겨진 가족의 두 번째 비극

M
관리자
조회수 300
추천 0
2025.10.10
“캄보디아서 사라진 22세”…고문 끝 심장마비, 남겨진 가족의 두 번째 비극
경제

“멈췄던 부동산 민원, 내일 9시부터 다시 달린다”

M
관리자
조회수 223
추천 0
2025.10.10
“멈췄던 부동산 민원, 내일 9시부터 다시 달린다”
정치

“세종학당 대확장” 한글·K문화 세계 점령 전략

M
관리자
조회수 216
추천 0
2025.10.10
“세종학당 대확장” 한글·K문화 세계 점령 전략
세계이슈

“경주에서 결판” 트럼프, 中 대두 불매에 칼 빼들다

M
관리자
조회수 255
추천 0
2025.10.03
“경주에서 결판” 트럼프, 中 대두 불매에 칼 빼들다
IT/과학

배터리와 서버가 ‘붙어 산다’… 재난이 시스템을 삼키기 전에

M
관리자
조회수 325
추천 0
2025.10.03
배터리와 서버가 ‘붙어 산다’… 재난이 시스템을 삼키기 전에
생활/문화

“가격은 현실적으로, 감각은 프리미엄으로” 르노 세닉 전기 SUV 재평가

M
관리자
조회수 325
추천 0
2025.10.03
“가격은 현실적으로, 감각은 프리미엄으로” 르노 세닉 전기 SUV 재평가
사회

“울분으로 버틴 밤”… 이진숙, 오후에도 강도 높은 조사 이어져

M
관리자
조회수 268
추천 0
2025.10.03
“울분으로 버틴 밤”… 이진숙, 오후에도 강도 높은 조사 이어져
경제

“다시 2%대” 9월 물가, 장바구니가 끌어올렸다

M
관리자
조회수 299
추천 0
2025.10.03
“다시 2%대” 9월 물가, 장바구니가 끌어올렸다
정치

“잃어버린 48시간” 논쟁, 어디서 시작되고 어디로 가나

M
관리자
조회수 281
추천 0
2025.10.03
“잃어버린 48시간” 논쟁, 어디서 시작되고 어디로 가나
세계이슈

“첫날부터 멈춘 워싱턴” — 상원, 임시예산 두 번 모두 좌초…3일 재표결 관측

M
관리자
조회수 300
추천 0
2025.10.02
“첫날부터 멈춘 워싱턴” — 상원, 임시예산 두 번 모두 좌초…3일 재표결 관측
IT/과학

카카오 ‘카나나’ 전면 개편… “메이트가 일상에 들어왔다”

M
관리자
조회수 291
추천 0
2025.10.02
카카오 ‘카나나’ 전면 개편… “메이트가 일상에 들어왔다”
생활/문화

“한복 찾았더니 한푸가?” 쇼핑몰 표기 혼선, 문화왜곡의 불씨 되나

M
관리자
조회수 303
추천 0
2025.10.02
“한복 찾았더니 한푸가?” 쇼핑몰 표기 혼선, 문화왜곡의 불씨 되나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