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그리넷

경제

당신 모르는 154조원? 치매머니 폭증의 숨은 함정

M
관리자
2025.05.06 추천 0 조회수 1120 댓글 0

당신 모르는 154조원? 치매머니 폭증의 숨은 함정
당신 모르는 154조원? 치매머니 폭증의 숨은 함정

당신 모르는 새 154조원? 치매머니 폭증의 숨은 함정

1. 고령 치매환자 자산, 벌써 GDP 6% 넘었다

 

국내에서 치매 증상이 있는 65세 이상 노인은 2023년 기준 약 124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이들 중 80%를 훌쩍 넘는 인원이 크고 작은 재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추산 결과 전체 자산 규모가 무려 154조 원까지 파악됐다. 이는 국내 국내총생산(GDP)의 6%를 훌쩍 넘어서는 수치다.

특히 한 사람당 평균 2억 원가량의 자산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치매 관련 질환으로 스스로 의사결정이 쉽지 않은 고령층의 재산 규모가 상당히 크다는 점이 재조명되고 있다. 인구 비중이 높지 않음에도 이들이 보유한 재산 총액이 매우 커서, 향후 치매머니와 관련된 다양한 법적·제도적 장치가 절실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2. 부동산과 금융자산 비중, 치매머니의 핵심

 

치매머니 속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부동산이며, 이는 전체 치매환자 자산의 약 74%에 해당한다. 금전적으로 바로 활용하기 용이한 금융자산 또한 20%를 넘기는 수준으로, 여러 방식으로 투자되어 있거나 예·적금 상태로 묶여 있는 경우가 많다.

문제는 고령층 본인이 치매 때문에 사무 처리 능력이 떨어지거나 의사결정이 어려운 상태일 경우, 가정 내 분쟁이나 사기 피해에 직면할 위험이 크다는 점이다. 게다가 이처럼 막대한 자산이 장기간 묶여 있으면 투자와 소비 선순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따라 해당 자산을 합리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신탁 상품과 공공 후견인 지원 제도의 활성화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3. 치매머니, 2050년에는 세 배 이상 급증할 전망

 

급격한 고령화가 계속되면서 치매 환자 수도 매년 크게 늘어나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금의 치매 환자 수가 2030년이면 178만여 명, 2040년경에는 285만 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내다본다. 여기에 2050년에는 치매 환자 규모가 400만 명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돼, 이로 인해 발생하는 자산 총액 역시 현재의 세 배 수준인 488조 원까지 치솟을 것으로 추산된다.

이는 해당 시점 GDP의 15%를 넘보는 수준으로, 경제 전반에 직접적인 파급력이 커질 수밖에 없다. 실제로 자산을 운용하지 못한 채 방치되거나 부적절하게 관리될 경우, 세대 간 갈등을 유발하고 경제 성장을 저해하는 등의 심각한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이에 정책 당국에서는 매년 치매머니 규모를 추적하면서 신탁 제도 개선, 후견인 확대 방안 등을 본격화하겠다고 밝혔다.



원문 보기
출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국민건강보험공단, 서울대 건강금융센터

댓글 0

뉴스

전체 정치 경제 사회 생활/문화 IT/과학 세계이슈 연예 건강
세계이슈

“임신 중 타이레놀” 자폐 유발 논란…정책·과학·한국 대응 한눈에

M
관리자
조회수 280
추천 0
2025.09.24
“임신 중 타이레놀” 자폐 유발 논란…정책·과학·한국 대응 한눈에
IT/과학

“펨토셀 허점 인정”…KT, 소액결제 해킹 파문에 정면 대응 나섰다

M
관리자
조회수 344
추천 0
2025.09.24
“펨토셀 허점 인정”…KT, 소액결제 해킹 파문에 정면 대응 나섰다
생활/문화

[긴급 속보] 폭우 경보…전국으로 확산되는 강한 비

M
관리자
조회수 350
추천 0
2025.09.24
[긴급 속보] 폭우 경보…전국으로 확산되는 강한 비
사회

“첫 법정 출석” 김건희, 공판 개시…법정 실루엣 일부 공개

M
관리자
조회수 296
추천 0
2025.09.24
“첫 법정 출석” 김건희, 공판 개시…법정 실루엣 일부 공개
경제

“0.9%로 소폭 상향” IMF, 한국 성장 진단… 추경과 완화정책이 마중물

M
관리자
조회수 443
추천 0
2025.09.24
“0.9%로 소폭 상향” IMF, 한국 성장 진단… 추경과 완화정책이 마중물
정치

이재명 대통령, 뉴욕에서 국제 외교 무대 주도

M
관리자
조회수 330
추천 0
2025.09.24
이재명 대통령, 뉴욕에서 국제 외교 무대 주도
세계이슈

트럼프 발언에 흔들린 임신부들…美 의료계 "타이레놀 여전히 안전"

M
관리자
조회수 323
추천 0
2025.09.23
트럼프 발언에 흔들린 임신부들…美 의료계 "타이레놀 여전히 안전"
IT/과학

카톡, 15년 만의 파격 변신…챗GPT와 카나나로 일상까지 바꾼다

M
관리자
조회수 339
추천 0
2025.09.23
카톡, 15년 만의 파격 변신…챗GPT와 카나나로 일상까지 바꾼다
생활/문화

‘자동차 놀이터’로 변신한 현대 모터스튜디오 서울, 색다른 브랜드 경험의 무대

M
관리자
조회수 546
추천 0
2025.09.23
‘자동차 놀이터’로 변신한 현대 모터스튜디오 서울, 색다른 브랜드 경험의 무대
사회

‘호주행 인사 뒤편의 그림자’…이종섭 전 장관, 윤 전 대통령 제안설 폭로

M
관리자
조회수 447
추천 0
2025.09.23
‘호주행 인사 뒤편의 그림자’…이종섭 전 장관, 윤 전 대통령 제안설 폭로
경제

롯데카드 ‘해킹 파문’…국회 소환·정부 최고수준 제재 경고

M
관리자
조회수 312
추천 0
2025.09.23
롯데카드 ‘해킹 파문’…국회 소환·정부 최고수준 제재 경고
정치

블랙록과 손잡은 한국, ‘아시아 AI 심장부’ 향한 본격 시동

M
관리자
조회수 379
추천 0
2025.09.23
블랙록과 손잡은 한국, ‘아시아 AI 심장부’ 향한 본격 시동
세계이슈

“H-1B 10만 달러” 충격파…실리콘밸리 비상 걸렸다

M
관리자
조회수 422
추천 0
2025.09.22
“H-1B 10만 달러” 충격파…실리콘밸리 비상 걸렸다
IT/과학

“297만 명 흔들린 신뢰” 개인정보위, 롯데카드 해킹 파문 정조준

M
관리자
조회수 389
추천 0
2025.09.22
“297만 명 흔들린 신뢰” 개인정보위, 롯데카드 해킹 파문 정조준
생활/문화

단풍 시즌, 로컬로 떠난다: 최대 49% 할인 ‘여행가는 가을’ 전격 가동

M
관리자
조회수 403
추천 0
2025.09.22
단풍 시즌, 로컬로 떠난다: 최대 49% 할인 ‘여행가는 가을’ 전격 가동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