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여성도 금지?” 임현주 아나운서, ‘노키즈존’ 경계 발언이 던진 파문

임현주, “아이만 빼고 오라는 세상…다음은 누구 차례입니까?”
1. 사회를 가르는 작은 팻말
‘노키즈존’이라는 문구가 붙은 출입문 앞에서, 두 아이의 어머니가 된 임현주 아나운서는 잠시 걸음을 멈췄습니다. 그는 인스타그램에 “아이의 울음과 웃음이 ‘민폐’로 단정되면 결국 아이 자신이 불청객으로 내면화될 수 있다”는 장문의 글을 남겼습니다. 만약 어느 식당이 “20대 여성 금지”라고 적어 두었다면, 당신은 어떻게 느꼈을까요? 임 아나운서는 이런 상상을 통해, 특정 연령층만 묶어 불허하는 것이 얼마나 비정상적인지 되묻습니다.
2. ‘힙한 공간’이 잃어버린 풍경
그는 “요즘 거리에선 아이 보기 힘들다며 반가워하는 시선이 더 많다”면서도, 막상 인기 카페나 레스토랑에선 “아이 동반 불가” 안내가 익숙해졌다고 토로했습니다. 화려한 인테리어와 트렌디한 플레이팅 뒤에 숨은 배제의 질서가 아이를 ‘소음원’으로 치환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3. 돕는 손길 하나가 만든 온기
며칠 전 두 딸이 동시에 보채자 식사조차 못 하던 순간, 옆자리 손님이 둘째를 대신 안아 주었습니다. “공동체가 아이를 키운다”는 오래된 격언이 현실이 된 그 순간, 임 아나운서는 노키즈존이 아닌 ‘위드키즈존’이 도시 곳곳에 퍼진다면 부모·아이·주변인 모두가 편안해질 것이라 확신하게 됐다고 전했습니다.
4. 이해와 변화 사이에서
물론 그는 “무책임한 보호자 때문에 업주가 곤란을 겪는 사례도 있다”는 반론을 인정합니다. 그럼에도 “개별 행위를 관리하지 못해 집단을 일괄 차단하는 방식은 가장 손쉬운 해결책일 뿐”이라며, 성숙한 이용문화·시설 개선·직원 교육 등 ‘긴 호흡의 대안’을 제시했습니다.
5. ‘안경 앵커’ 그 이후의 행보
2013년 MBC에 입사한 임현주는 2018년 지상파 여성 앵커 최초로 안경을 쓰고 뉴스를 진행해 주목받았습니다. 2023년 영국 출신 작가 다니엘 튜더와 결혼해 두 딸을 두었고, 지난해 3월에는 저출생 문제를 다룬 생방송에서 다섯 달 된 첫째를 품에 안고 진행하며 파격을 선보였습니다. 그는 “아이를 품어도, 방송을 해도, 카페를 가도 모두가 불편하지 않은 사회”를 꿈꾼다고 말합니다.
댓글 0
뉴스
“누가 달러 왕관을 쓸까” 파워볼 잭팟, 18억 달러 목전

“아시아의 기준을 세운다” 서울, 9월 15일 글로벌 프라이버시 총회 개막

“상은 못 받아도 관객은 얻었다” 박찬욱 신작, 베니스가 보내준 박수

“급식도 걱정, 등교도 걱정” 가뭄에 편지 든 강릉 초등생들

조지아 공사현장 ‘전격 집행’…현대차·LG엔솔, 구금 해제와 컴플라이언스 재점검에 총력

“띠지 어디로 사라졌나” 이 대통령, 특검 카드 꺼내 들었다

가을 문턱 두드리는 폭우, 무더위는 여전히 기승

“귀엽네” 한마디가 부른 공포…서울 초등생 유괴 미수 사건

유럽을 다시 짠다: LG전자, ‘AI 가전’으로 5년 내 매출 2배 선언

“대결에서 대화로” 9월 8일 여야 동시 회동…장동혁 대표와 별도 단독 면담까지

“머나먼 비보에 침통”…리스본 전차 참사에 이재명, 전폭 지원 지시

모토로라의 역습, 삼성은 반등 준비…폴더블 시장 판도 요동

자극적 성장 드라이브: 문체부 2026년 예산, 가장 큰 폭으로 뛴다

“그런 일 없다”던 초동 대응…재추적 끝 체포된 20대 3명

“노란봉투법 때문” 논란에 선 그늘…현대차 파업이 남긴 숙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