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그리넷

정치

“부산으로 간 이시바”… 셔틀외교를 현실로 만드는 시험대

M
관리자
2025.09.30 추천 0 조회수 258 댓글 0

“부산으로 간 이시바”… 셔틀외교를 현실로 만드는 시험대

“부산으로 간 이시바”… 셔틀외교를 현실로 만드는 시험대

 

1. 의미: 왜 ‘부산’인가

 

일본의 이시바 시게루 총리가 9월 30일부터 10월 1일까지 한국을 찾았다. 서울이 아닌 부산에서 열리는 정상회담은, 형식에 그치지 않는 ‘셔틀외교’의 작동 여부를 가늠하는 상징적 장면이다. 국교 정상화 60년을 맞은 해에 양국 정상이 수도 밖에서 마주 앉는 선택은, 경직된 의전을 벗어나 실무 협력을 앞세우겠다는 신호로 읽힌다.

 

일본 정부 대변인단은 이번 방문을 “앞선 한일 정상 교류의 연장선에서 셔틀외교를 실제로 이행하는 과정”으로 규정했고, 회담 자체를 양국 관계의 추가 진전을 논의할 적기라고 강조했다. 이는 최근 양국 간 소통이 빈번해졌다는 평가와도 맞물린다.

 

무엇보다 총리 교체를 앞둔 ‘고별 외교’ 성격이 짙다. 일본 내 정권 이양의 변곡점에서 꾸준한 대화를 제도화하려는 의도가 읽히며, 이 흐름을 다음 내각에까지 ‘인수’시키려는 계산도 분명해 보인다. 일부 일본 매체는 이 회담을 “성과를 다음 정권에 전달하려는 마지막 퍼즐”로 해석했다.

 

2. 과제: 다음 정권까지 이어질 협력 설계

 

양측 의제는 안보와 공급망 같은 경성 어젠다를 포함하되, 생활 현안으로 무게중심이 확연히 이동했다. 저출산과 고령화, 지역 소멸 대응 등 ‘사회적 지속가능성’이 핵심 축으로 부상했고, 이를 위한 정부 간 대화 체계를 문서화하는 방안까지 조율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미·일 안보 공조를 유지하되, 복지·노동·기술 정책을 연결하는 ‘소프트 파워 연계’가 병행되는 셈이다.

 

외교 무대가 부산으로 옮겨지면서 지역경제·해양물류·관광 연계 같은 실용 어젠다도 자연스레 담겼다. 교류의 회전문을 자주 돌리자는 ‘셔틀’의 발상은 잦은 왕복만을 뜻하지 않는다. 현장과 정책을 맞물리게 해, 눈에 보이는 생활 변화를 체감하도록 하는 실행력의 문제다. 일본 측에서도 ‘관계 안정성’을 키워드로 재확인하며, 양국이 정치 일정과 무관하게 만나는 루틴을 굳히겠다는 메시지를 냈다.

 

이번 만남은 갑작스러운 ‘대형 합의’보다는, 이미 복원된 소통 채널을 일상화하는 데 방점이 찍혔다. 정상 간 직접 대화가 늘어나면 불가피한 현안 충돌에도 ‘완충 장치’가 생긴다. 이를테면 통상·기술 규범, 반도체·배터리 공급망, 북핵 대응 같은 분야에서 사전 경보와 조정의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실제로 양측은 회담 계기에 경제·안보·사회 의제를 폭넓게 점검하고 후속협의 틀을 보완하는 데 의견을 모았다. 

 

요컨대, 부산 회동은 ‘만남 그 자체’가 메시지인 드문 일정이다. 수도를 벗어난 회담, 정권 이양의 과도기, 60년이라는 시간표가 포개지며, 셔틀외교가 의례가 아닌 운영체계로 굳어질지를 시험한다. 남은 숙제는 두 가지다. 첫째, 정권 교체기에도 흔들리지 않는 로드맵의 문서화. 둘째, 저출산·고령화 같은 생활 의제에서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공동 프로젝트의 가시화다. 이 두 축이 결을 맞춰 돌아갈 때, ‘부산에서의 하루’는 단발 이벤트를 넘어 제도화의 시발점으로 남을 것이다.

 

 

댓글 0

뉴스

전체 정치 경제 사회 생활/문화 IT/과학 세계이슈 연예 건강
사회

“PPT 220쪽·구속 총력전” 특검, 한학자 영장 심사 정면돌파… 24일 김건희 법정 첫 공개 촬영

M
관리자
조회수 397
추천 0
2025.09.22
“PPT 220쪽·구속 총력전” 특검, 한학자 영장 심사 정면돌파… 24일 김건희 법정 첫 공개 촬영
경제

“8만전자”가 불쏘시개… 코스피 장중 3480선 스치며 또 최고 기록

M
관리자
조회수 393
추천 0
2025.09.22
“8만전자”가 불쏘시개… 코스피 장중 3480선 스치며 또 최고 기록
정치

추미애 vs 나경원, 법사위는 왜 또 멈췄나

M
관리자
조회수 334
추천 0
2025.09.22
추미애 vs 나경원, 법사위는 왜 또 멈췄나
세계이슈

“H-1B 연 10만달러” 초강수… 한국 기업, 미국 사업 시계 더 흐려졌다

M
관리자
조회수 395
추천 0
2025.09.21
“H-1B 연 10만달러” 초강수… 한국 기업, 미국 사업 시계 더 흐려졌다
IT/과학

“서울만 아니다”…KT 소액결제 무단 청구, 더 넓게 번졌다

M
관리자
조회수 400
추천 0
2025.09.21
“서울만 아니다”…KT 소액결제 무단 청구, 더 넓게 번졌다
생활/문화

“아침엔 가디건, 낮엔 반팔” 내륙은 하루 두 계절…9월 21일 날씨 브리핑

M
관리자
조회수 379
추천 0
2025.09.21
“아침엔 가디건, 낮엔 반팔” 내륙은 하루 두 계절…9월 21일 날씨 브리핑
사회

“24일 소환 통지” 특검, 前대통령 겨냥…평양 무인기 의혹 수사 급류

M
관리자
조회수 412
추천 0
2025.09.21
“24일 소환 통지” 특검, 前대통령 겨냥…평양 무인기 의혹 수사 급류
경제

“제때 안 와서 상한 땅콩”…추석 앞두고 택배 분쟁 급증, 소비자 경보

M
관리자
조회수 350
추천 0
2025.09.21
“제때 안 와서 상한 땅콩”…추석 앞두고 택배 분쟁 급증, 소비자 경보
정치

“외군 없어도 버틴다” 이재명, 자주국방 드라이브 가속

M
관리자
조회수 402
추천 0
2025.09.21
“외군 없어도 버틴다” 이재명, 자주국방 드라이브 가속
세계이슈

“경주에서 판이 커진다” 미·중 정상, APEC 회동 합의… 틱톡·무역·안보까지 줄다리기

M
관리자
조회수 371
추천 0
2025.09.20
“경주에서 판이 커진다” 미·중 정상, APEC 회동 합의… 틱톡·무역·안보까지 줄다리기
IT/과학

“관세는 변수 아님” 팀 쿡, 아이폰 가격 논란에 선 긋다

M
관리자
조회수 349
추천 0
2025.09.20
“관세는 변수 아님” 팀 쿡, 아이폰 가격 논란에 선 긋다
생활/문화

“10년을 달려온 N, 이제 연 10만대” 현대차 고성능 브랜드의 다음 질주

M
관리자
조회수 338
추천 0
2025.09.20
“10년을 달려온 N, 이제 연 10만대” 현대차 고성능 브랜드의 다음 질주
사회

부산 앞바다 어선 전복, 1명 숨지고 1명 행방불명

M
관리자
조회수 320
추천 0
2025.09.20
부산 앞바다 어선 전복, 1명 숨지고 1명 행방불명
경제

롯데카드 해킹 파문, 297만명 피해…경찰·정부 강력 대응

M
관리자
조회수 323
추천 0
2025.09.20
롯데카드 해킹 파문, 297만명 피해…경찰·정부 강력 대응
정치

특검, 국민의힘 당원DB서 ‘통일교 의심’ 11만명 포착… 전당대회 앞둔 집단 입당 정황 추적

M
관리자
조회수 387
추천 0
2025.09.20
특검, 국민의힘 당원DB서 ‘통일교 의심’ 11만명 포착… 전당대회 앞둔 집단 입당 정황 추적
4 5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