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그리넷

정치

“부산으로 간 이시바”… 셔틀외교를 현실로 만드는 시험대

M
관리자
2025.09.30 추천 0 조회수 245 댓글 0

“부산으로 간 이시바”… 셔틀외교를 현실로 만드는 시험대

“부산으로 간 이시바”… 셔틀외교를 현실로 만드는 시험대

 

1. 의미: 왜 ‘부산’인가

 

일본의 이시바 시게루 총리가 9월 30일부터 10월 1일까지 한국을 찾았다. 서울이 아닌 부산에서 열리는 정상회담은, 형식에 그치지 않는 ‘셔틀외교’의 작동 여부를 가늠하는 상징적 장면이다. 국교 정상화 60년을 맞은 해에 양국 정상이 수도 밖에서 마주 앉는 선택은, 경직된 의전을 벗어나 실무 협력을 앞세우겠다는 신호로 읽힌다.

 

일본 정부 대변인단은 이번 방문을 “앞선 한일 정상 교류의 연장선에서 셔틀외교를 실제로 이행하는 과정”으로 규정했고, 회담 자체를 양국 관계의 추가 진전을 논의할 적기라고 강조했다. 이는 최근 양국 간 소통이 빈번해졌다는 평가와도 맞물린다.

 

무엇보다 총리 교체를 앞둔 ‘고별 외교’ 성격이 짙다. 일본 내 정권 이양의 변곡점에서 꾸준한 대화를 제도화하려는 의도가 읽히며, 이 흐름을 다음 내각에까지 ‘인수’시키려는 계산도 분명해 보인다. 일부 일본 매체는 이 회담을 “성과를 다음 정권에 전달하려는 마지막 퍼즐”로 해석했다.

 

2. 과제: 다음 정권까지 이어질 협력 설계

 

양측 의제는 안보와 공급망 같은 경성 어젠다를 포함하되, 생활 현안으로 무게중심이 확연히 이동했다. 저출산과 고령화, 지역 소멸 대응 등 ‘사회적 지속가능성’이 핵심 축으로 부상했고, 이를 위한 정부 간 대화 체계를 문서화하는 방안까지 조율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미·일 안보 공조를 유지하되, 복지·노동·기술 정책을 연결하는 ‘소프트 파워 연계’가 병행되는 셈이다.

 

외교 무대가 부산으로 옮겨지면서 지역경제·해양물류·관광 연계 같은 실용 어젠다도 자연스레 담겼다. 교류의 회전문을 자주 돌리자는 ‘셔틀’의 발상은 잦은 왕복만을 뜻하지 않는다. 현장과 정책을 맞물리게 해, 눈에 보이는 생활 변화를 체감하도록 하는 실행력의 문제다. 일본 측에서도 ‘관계 안정성’을 키워드로 재확인하며, 양국이 정치 일정과 무관하게 만나는 루틴을 굳히겠다는 메시지를 냈다.

 

이번 만남은 갑작스러운 ‘대형 합의’보다는, 이미 복원된 소통 채널을 일상화하는 데 방점이 찍혔다. 정상 간 직접 대화가 늘어나면 불가피한 현안 충돌에도 ‘완충 장치’가 생긴다. 이를테면 통상·기술 규범, 반도체·배터리 공급망, 북핵 대응 같은 분야에서 사전 경보와 조정의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실제로 양측은 회담 계기에 경제·안보·사회 의제를 폭넓게 점검하고 후속협의 틀을 보완하는 데 의견을 모았다. 

 

요컨대, 부산 회동은 ‘만남 그 자체’가 메시지인 드문 일정이다. 수도를 벗어난 회담, 정권 이양의 과도기, 60년이라는 시간표가 포개지며, 셔틀외교가 의례가 아닌 운영체계로 굳어질지를 시험한다. 남은 숙제는 두 가지다. 첫째, 정권 교체기에도 흔들리지 않는 로드맵의 문서화. 둘째, 저출산·고령화 같은 생활 의제에서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공동 프로젝트의 가시화다. 이 두 축이 결을 맞춰 돌아갈 때, ‘부산에서의 하루’는 단발 이벤트를 넘어 제도화의 시발점으로 남을 것이다.

 

 

댓글 0

뉴스

전체 정치 경제 사회 생활/문화 IT/과학 세계이슈 연예 건강
세계이슈

이스라엘 내각, ‘1단계 정전’ 전격 승인…72시간 내 전원 송환 시계가 돈다

M
관리자
조회수 186
추천 0
2025.10.10
이스라엘 내각, ‘1단계 정전’ 전격 승인…72시간 내 전원 송환 시계가 돈다
세계이슈

“경주에서 결판” 트럼프, 中 대두 불매에 칼 빼들다

M
관리자
조회수 203
추천 0
2025.10.03
“경주에서 결판” 트럼프, 中 대두 불매에 칼 빼들다
세계이슈

“첫날부터 멈춘 워싱턴” — 상원, 임시예산 두 번 모두 좌초…3일 재표결 관측

M
관리자
조회수 241
추천 0
2025.10.02
“첫날부터 멈춘 워싱턴” — 상원, 임시예산 두 번 모두 좌초…3일 재표결 관측
세계이슈

“7년 만의 멈춤” 미 연방 행정 중단…돈·하늘·데이터가 동시에 흔들렸다

M
관리자
조회수 282
추천 0
2025.10.01
“7년 만의 멈춤” 미 연방 행정 중단…돈·하늘·데이터가 동시에 흔들렸다
세계이슈

“영구 핵보유” 주장에 맞선 외교부 메시지: 한반도 비핵화는 여전히 ‘기준점’

M
관리자
조회수 242
추천 0
2025.09.30
“영구 핵보유” 주장에 맞선 외교부 메시지: 한반도 비핵화는 여전히 ‘기준점’
세계이슈

“보고 싶다”는 열기, 통제가 못 따라갔다… 카루르 유세 압사 참사

M
관리자
조회수 269
추천 0
2025.09.29
“보고 싶다”는 열기, 통제가 못 따라갔다… 카루르 유세 압사 참사
세계이슈

“10월 1일, 계산대가 바뀐다” 트럼프의 품목별 관세 폭주, 한국 수출에 드리운 그늘

M
관리자
조회수 316
추천 0
2025.09.28
“10월 1일, 계산대가 바뀐다” 트럼프의 품목별 관세 폭주, 한국 수출에 드리운 그늘
세계이슈

“불씨는 우리가 아니다” — 페제시키안, 트럼프식 중동전략 직격…NPT 이탈은 선 긋다

M
관리자
조회수 314
추천 0
2025.09.27
“불씨는 우리가 아니다” — 페제시키안, 트럼프식 중동전략 직격…NPT 이탈은 선 긋다
세계이슈

“10월 1일 시작” 외산 대형트럭 25% 관세…트럼프, 안보 논리로 정면 돌파

M
관리자
조회수 376
추천 0
2025.09.26
“10월 1일 시작” 외산 대형트럭 25% 관세…트럼프, 안보 논리로 정면 돌파
세계이슈

댈러스 ICE 시설 총격 3명 사상… 트럼프 “좌파가 법집행을 괴물로 만들었다”

M
관리자
조회수 265
추천 0
2025.09.25
댈러스 ICE 시설 총격 3명 사상… 트럼프 “좌파가 법집행을 괴물로 만들었다”
세계이슈

“임신 중 타이레놀” 자폐 유발 논란…정책·과학·한국 대응 한눈에

M
관리자
조회수 251
추천 0
2025.09.24
“임신 중 타이레놀” 자폐 유발 논란…정책·과학·한국 대응 한눈에
세계이슈

트럼프 발언에 흔들린 임신부들…美 의료계 "타이레놀 여전히 안전"

M
관리자
조회수 303
추천 0
2025.09.23
트럼프 발언에 흔들린 임신부들…美 의료계 "타이레놀 여전히 안전"
세계이슈

“H-1B 10만 달러” 충격파…실리콘밸리 비상 걸렸다

M
관리자
조회수 341
추천 0
2025.09.22
“H-1B 10만 달러” 충격파…실리콘밸리 비상 걸렸다
세계이슈

“H-1B 연 10만달러” 초강수… 한국 기업, 미국 사업 시계 더 흐려졌다

M
관리자
조회수 392
추천 0
2025.09.21
“H-1B 연 10만달러” 초강수… 한국 기업, 미국 사업 시계 더 흐려졌다
세계이슈

“경주에서 판이 커진다” 미·중 정상, APEC 회동 합의… 틱톡·무역·안보까지 줄다리기

M
관리자
조회수 370
추천 0
2025.09.20
“경주에서 판이 커진다” 미·중 정상, APEC 회동 합의… 틱톡·무역·안보까지 줄다리기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