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마감 카운트다운’…이재명式 통상외교, G7에서 승부수

트럼프의 ‘마감 카운트다운’…이재명式 통상외교, G7에서 승부수
1. 셔틀 협상 가속…“관세 먹구름, 걷힐까”
재계 총수들이 잰걸음으로 귀국하고 있다. 7월 9일로 예고된 상호 관세 유예 시한이 한 달도 남지 않은 탓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출범 직후 통상 라인을 대대적으로 개편했다. ‘통상 전략가’로 통하는 여한구 선임위원이 통상교섭본부장에, 북미통 박윤주 공사가 외교부 1차관에 전진 배치됐다. 국장급이던 실무 대표는 1급으로 올려 협상 키를 위로 당겼다.
여 본부장은 “산업·에너지·통상을 한데 묶어 대미 협상 태스크포스를 재편한다”며 “장관급 셔틀 협상을 숨 가쁘게 돌릴 것”이라고 선언했다. 경제단체들은 “정부가 불확실성 제거에 집중한다면 투자‧고용 계획을 재정비할 수 있다”는 기대를 내비친다.
2. G7 ‘첫 악수’가 변수…협상판 뒤흔들 30분
상황 반전의 무대는 곧 열리는 이탈리아 G7 정상회의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양자 회동 일정을 촘촘히 잡고 있어, 이재명 대통령과의 첫 대면이 성사될 공산이 크다. 한 외교 소식통은 “30분짜리 악수라도 관세 카드의 온도는 급격히 달라진다”고 전망한다.
미국은 최근 멕시코와 철강 쿼터 무관세를 타진하며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동시에 트럼프 대통령은 “열흘 남짓 안에 최종안을 받아들일지 각국이 결정하라”는 서한을 예고했다. 협상 테이블에 ‘시계’가 올려진 셈이다.
관세 해법을 둘러싼 국내 공은 재계 간담회에 모인다. 대통령실은 G7 출국 전 삼성‧현대차‧SK 등 대기업 총수와 대한상의, 경총 등 단체장을 초청해 ‘국익+실리’ 통상 전략을 논의한다. 한 재계 관계자는 “미국 산업 생태계에 대한 한국 기업의 기여도를 강조해 우방국 프리미엄을 끌어내야 한다”고 했다.
트럼프 행정부 2기와 이재명 정부의 관세 줄다리기는 마지막 코너를 돌고 있다. G7에서 건네질 악수 한 번, 서명 한 장이 양국 경제 지형을 바꿀 수 있다. 시계 바늘은 쉬지 않고 돌고 있다.
댓글 0
뉴스
갑작스런 퍼붓고 숨막히는 더위…오늘의 한반도 하늘 리포트

한덕수, 장관 서명 강요 정황‥쿠데타 성공 전제한 선택?

7월 경제 '트리플 상승'…소비 폭발이 경기 회복 불씨

이진숙 방통위원장, 정치중립 위반 논란 속 직권면직 위기

“찜통더위와 국지성 소나기”…29일 전국 날씨 전망

권성동, 불체포특권 내려놓고 구속 심판대 오르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 급락…대출규제 직격탄 맞았다

장동혁 "단독회담 전제"에 민주당 "계엄 사과부터"…대통령 회동 성사 불투명

김정은, 시진핑·푸틴과 톈안먼 나란히…새 외교 무대의 시작

SKT 개인정보 대참사…2,324만 명 정보 유출에 1,347억 과징금

폭염과 소나기 공존, 주말 앞둔 날씨 변수

한덕수 영장 기각... 내란 방조 수사 향방 불투명

“범죄 각본 속 주인공이 되지 마라”…경찰, 보이스피싱 경고 영상 전격 공개

민주당-법무부 갈등, 검찰개혁 두고 긴장 고조

2분기 랜섬웨어 피해 급등… 소비자 서비스까지 치명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