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에 7조원 ‘AI 엔진’ 점화… 대통령, 첫 지방 행보로 선택한 이유

울산에 7조원 ‘AI 엔진’ 점화… 대통령, 첫 지방 행보로 선택한 이유
1. 울산에서 터진 첫 시동
20일 새벽, 울산전시컨벤션센터의 조명이 번쩍이자 이재명 대통령이 등장했다. 취임 후 첫 지역 일정이다. 행사장은 SK텔레콤과 세계 최대 클라우드 기업 아마존웹서비스가 손을 잡고 추진하는 ‘103 MW급 AI 데이터센터’ 출범식. 대통령은 “이곳이 곧 한국 디지털 경제의 가속페달이 될 것”이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나란히 단상에 올라, 2029년 완공을 목표로 한 7조원 규모 투자 계획에 힘을 실었다.
새 시설은 그래픽처리장치(GPU) 6만 장을 한몸에 품어 국내 최대 연산 능력을 자랑한다. 전력과 냉각은 미포 국가산단 내 SK가스 액화천연가스(LNG) 복합발전소가 뒷받침한다. 업계는 “에너지·반도체·건설·클라우드를 아우르는 SK의 수직 계열화가 울산을 ‘AI 고속도로’의 시동 버튼으로 만들었다”고 평한다.
2. 기회와 과제, 두 얼굴의 청사진
정부도 속도를 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AI 데이터센터를 국가전략기술 사업화 시설로 묶어 세액공제 확대를 검토 중이다. 동시에 ‘국산 파운데이션 모델’ 공모에 착수, 누구나 일상에서 범용 AI를 활용하도록 지원하겠다는 복안이다. 대통령은 “AI를 전 국민의 손안에 넣겠다”는 발언으로, 과거 LTE·광섬유 확산 정책을 떠올리게 했다.
그러나 완주까지는 험로도 적잖다. 숙련 연구자가 절대 부족한 가운데, 개인정보 이슈로 데이터 개방 문턱이 높다는 지적이 반복된다. 고려대 김승주 교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아무리 깔아도 학습에 쓸 양질의 데이터가 묶여 있으면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결국 인재 확보·규제 개선·정보 공유가 3박자를 맞춰야 ‘AI 3대 강국’ 깃발이 바람을 탈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편 글로벌 빅테크 역시 한국 시장을 향해 손짓한다. 알리바바 클라우드는 이달 말 제2 데이터센터 가동을 예고했고, 구글·메타도 신규 GPU 팜 부지를 물색 중이라는 후문이다. 울산에서 점화된 ‘초거대 AI 엔진’ 경쟁이 한반도 전체를 디지털 열기로 달궈 놓고 있다.
댓글 0
뉴스
갑작스런 퍼붓고 숨막히는 더위…오늘의 한반도 하늘 리포트

한덕수, 장관 서명 강요 정황‥쿠데타 성공 전제한 선택?

7월 경제 '트리플 상승'…소비 폭발이 경기 회복 불씨

이진숙 방통위원장, 정치중립 위반 논란 속 직권면직 위기

“찜통더위와 국지성 소나기”…29일 전국 날씨 전망

권성동, 불체포특권 내려놓고 구속 심판대 오르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 급락…대출규제 직격탄 맞았다

장동혁 "단독회담 전제"에 민주당 "계엄 사과부터"…대통령 회동 성사 불투명

김정은, 시진핑·푸틴과 톈안먼 나란히…새 외교 무대의 시작

SKT 개인정보 대참사…2,324만 명 정보 유출에 1,347억 과징금

폭염과 소나기 공존, 주말 앞둔 날씨 변수

한덕수 영장 기각... 내란 방조 수사 향방 불투명

“범죄 각본 속 주인공이 되지 마라”…경찰, 보이스피싱 경고 영상 전격 공개

민주당-법무부 갈등, 검찰개혁 두고 긴장 고조

2분기 랜섬웨어 피해 급등… 소비자 서비스까지 치명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