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추격 속 ‘제조 AI 생존전략’…한·일 데이터 공조 절실

中 추격 속 ‘제조 AI 생존전략’…한·일 데이터 공조 절실
1. 중국이 키우는 거대 데이터 식탁
중국발 제조 AI 돌풍이 한국 산업의 핵심을 위협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를 이끄는 최태원 회장은 7월 18일 경주 라한셀렉트 호텔에서 열린 하계포럼 AI 토크쇼 무대에 올라 “국내 공장이 모은 데이터만으로는 안심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AI의 주식은 데이터이고, 밥그릇이 클수록 학습 속도도 빨라진다”며 중국이 이미 더 큰 ‘식탁’을 차렸다고 비유했다. 이어 “우리보다 생산 라인이 많은 일본과 데이터를 맞교환해야 격차를 좁힐 수 있다”고 강조했다.
2. 전력요금이 AI 생태계의 발목
최 회장은 전력 정책도 정조준했다. 전체 센터 운영비의 80% 이상이 전기료라는 점을 들어 “데이터센터는 전기를 삼키는 고래”라고 지적했다. 발전소 인접 지역에는 낮은 요금을, 먼 곳에는 높은 요금을 매기는 탄력형 체계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사회를 맡은 정신아 카카오 대표도 “AI는 이미 보통 사람의 지적 한계를 넘어섰다”고 거들었다. 그는 제조 기반이 약한 미국조차 한국 공장의 온도·습도 데이터를 원한다며 “클라우드를 빌려줄 테니 공장 데이터를 달라는 요구가 그 증거”라고 말했다.
또 하나의 화두는 ‘데이터 자주권’이다. 국내 기업이 쌓은 제조 노하우가 해외 서버를 떠돌다 중국 모델의 학습 재료로 쓰이는 일을 막으려면 정책적 방파제도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반도체 장비 기업 관계자는 “컨베이어벨트가 1초 멈추면 손실이 수억 원”이라며 “데이터 공유 생태계가 만들어지면 중소기업도 도움을 받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에너지 전문가들은 지역별·시간별 요금제가 확대되면 데이터센터가 전력 여유가 있는 지방으로 분산돼 수도권 전력난이 완화될 것으로 내다본다. 다만 대규모 설비 이전이 지역 주민과의 환경‧토지 갈등을 부를 가능성도 제기된다.
정부는 올 하반기 ‘산업용 AI 데이터 전략’을 발표할 예정이다. 제조 데이터 표준화, 국경 간 이동 규칙, AI 전력 사용 효율 지침이 담길 전망이다. 업계에선 “전략이 공개되면 한·일 데이터 동맹 논의가 속도를 낼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댓글 0
뉴스
재계 상반기 보수 격차…두산·한화 고액, 삼성 무보수

이재명 정부, 금융당국 첫 지휘부 확정…이억원-이찬진 ‘투톱 체제’ 가동

삼성전자, 세계 최초 마이크로 RGB TV로 기술 초격차 선언

5000만원 이하 연체자, 올해 안 갚으면 신용이력 '싹' 지워준다

포스코이앤씨 사고 현장 긴급 점검…장인화 회장, “원인 뿌리까지 파헤친다”

‘규제 덩어리’에 숨 막힌 기업, 정부 “싹 뜯어고친다”

관세전쟁, 2라운드 시작…최태원 “끝난 줄 착각 마라”

삼성전자 임원진, 자사주 보따리로 ‘책임 경영’ 시동

“현금 대신 주식”…513억 자사주로 쏜 삼성, 무엇이 달라지나?

‘HBM4 전쟁’ 막 올랐다: 삼성은 재기 노리고, SK는 질주한다

삼성, 1c 나노 HBM4로 반격…메모리 패권 다시 흔든다

“관세 장벽을 허물다” 삼성·현대차·한화의 숨은 교섭 시나리오

포스코이앤씨, 다섯 번의 비극 끝에 대통령 직격탄 맞다

테슬라 23조 수주, 삼성 파운드리 반격의 서막

中 AI 파고에 맞서라, 韓 제조업의 돌파구는 ‘데이터 동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