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그리넷

정치

6일 내내 30만 명 이상, SKT 유심 교체 폭발적 증가

M
관리자
2025.05.26 추천 0 조회수 719 댓글 0

6일 내내 30만 명 이상, SKT 유심 교체 폭발적 증가

SKT, 연일 30만 명 넘게 유심 갈아타다…무슨 일?

1. 하루 30만 명 돌파의 배경



 

SK텔레콤 가입자들이 최근 유심을 갈아끼우는 사례가 급격히 늘어났다. 통신업계에 따르면 19일부터 6일 연속 하루 30만 명 이상이 유심 교체를 진행해, 현재까지 총 417만 명이 새 칩으로 전환을 마쳤다고 한다. 이는 마치 공연 티켓이 며칠 내내 매진되는 상황처럼, 시장 예측을 훌쩍 뛰어넘는 규모다. 예를 들어 19일 약 33만 명이 교체를 시작한 후, 20일엔 35만 명, 21일에는 36만 명 등으로 꾸준히 증가해 25일에도 30만 명을 기록하면서 화제를 모으고 있다.



 

특히 이 현상은 예약 인원도 상당하다는 점에서 더욱 시선을 끈다. 아직까지 교체 절차를 기다리는 예약 고객이 482만 명 이상으로 추산돼, 당분간 이 교체 러시가 이어질 전망이다. 단순히 기기 변경을 위해 유심을 바꾸는 사람부터, 각종 보안 설정이나 편의 기능에 새로 가입한 이들까지 다양하다. 일선 매장에서는 연일 유심 문의가 빗발치며, 몇몇 지역에서는 순번 대기가 예정보다 길어지는 해프닝도 벌어지고 있다고 전해진다.



 

2. 유심보호서비스와 주의사항



 

이번 유심 교체 열풍 속에서 이목을 끌고 있는 것은 ‘유심보호서비스’에 대한 고객 문의다. 기존 전화기에 해당 서비스를 해지하지 않은 채 새 단말기에 유심을 끼울 경우, 정상 작동이 되지 않는다는 점이 확인됐다. 그러나 다시 이전 스마트폰으로 유심을 넣으면 기존 상태로는 문제없이 이용 가능하다. 결국 이용자가 새 기기로 교체하고 싶다면, 먼저 보호서비스를 껐다가 재연결해야만 원활하게 쓸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삼성 ‘갤럭시S24’ 출시 이전에 듀얼심을 지원하는 단말의 경우 eSIM 사용 시 보호서비스를 재가입해야 할 가능성이 높다. 비록 번거롭지만, 이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정상적인 통화나 데이터 사용이 어려울 수 있다. 통신사 측은 “유심을 재설정하거나 교체하더라도 보호서비스는 그대로 유지되지만, 특정 모델에서는 예외가 있을 수 있어 꼼꼼하게 안내를 확인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SK텔레콤은 이처럼 전례 없는 유심 이동이 발생한 배경에 대해 다양한 요인을 지목하고 있다. 계열사 간 혜택 연동 강화, 신규 단말기 홍보, 그리고 일부 마케팅 프로모션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것이다. 이에 회사 측은 “고객 편의를 높이기 위해 예약 시스템과 매장 인력을 한층 보강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향후 이 교체 러시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통신 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집중된다.

 

댓글 0

뉴스

전체 정치 경제 사회 생활/문화 IT/과학 세계이슈 연예 건강
경제

테슬라 23조 수주, 삼성 파운드리 반격의 서막

M
관리자
조회수 273
추천 0
2025.07.29
테슬라 23조 수주, 삼성 파운드리 반격의 서막
경제

中 AI 파고에 맞서라, 韓 제조업의 돌파구는 ‘데이터 동맹’

M
관리자
조회수 396
추천 0
2025.07.19
中 AI 파고에 맞서라, 韓 제조업의 돌파구는 ‘데이터 동맹’
경제

中 추격 속 ‘제조 AI 생존전략’…한·일 데이터 공조 절실

M
관리자
조회수 411
추천 0
2025.07.18
中 추격 속 ‘제조 AI 생존전략’…한·일 데이터 공조 절실
경제

“발목에서 날개로” 무죄 확정 후 삼성, 한국경제 도약의 점화 스위치를 켜다

M
관리자
조회수 337
추천 0
2025.07.17
“발목에서 날개로” 무죄 확정 후 삼성, 한국경제 도약의 점화 스위치를 켜다
경제

삼성·LG, 녹색 기술로 무장해 ‘에너지 위너상’ 정상에 서다

M
관리자
조회수 370
추천 0
2025.07.16
삼성·LG, 녹색 기술로 무장해 ‘에너지 위너상’ 정상에 서다
경제

반값 ‘프리미엄 라이트’로 승부수…유튜브, 韓 동영상 구독 시장 뒤흔든다

M
관리자
조회수 400
추천 0
2025.07.15
반값 ‘프리미엄 라이트’로 승부수…유튜브, 韓 동영상 구독 시장 뒤흔든다
경제

소비심리 폭주…‘소비쿠폰+여름휴가’에 3분기 유통경기 4년 만에 활짝

M
관리자
조회수 382
추천 0
2025.07.14
소비심리 폭주…‘소비쿠폰+여름휴가’에 3분기 유통경기 4년 만에 활짝
경제

직장인 여름휴가, 평균 3.7일…7월 말 ‘엑소더스’ 예고

M
관리자
조회수 333
추천 0
2025.07.13
직장인 여름휴가, 평균 3.7일…7월 말 ‘엑소더스’ 예고
경제

17년 만에 다시 열린 협상의 문, 최저임금 ‘극적 합의’의 전말

M
관리자
조회수 381
추천 0
2025.07.12
17년 만에 다시 열린 협상의 문, 최저임금 ‘극적 합의’의 전말
경제

내년 최저임금 ‘합의 타결’…현장엔 무거운 탄식

M
관리자
조회수 408
추천 0
2025.07.11
내년 최저임금 ‘합의 타결’…현장엔 무거운 탄식
경제

롯데·메가박스, CGV 넘볼 ‘스크린 전쟁’ 시작됐다

M
관리자
조회수 436
추천 0
2025.07.10
롯데·메가박스, CGV 넘볼 ‘스크린 전쟁’ 시작됐다
경제

주가조작 단번에 퇴출… 불공정 거래 ‘원스트라이크 아웃’ 전면 시행

M
관리자
조회수 400
추천 0
2025.07.09
주가조작 단번에 퇴출… 불공정 거래 ‘원스트라이크 아웃’ 전면 시행
경제

美 관세 칼날에 흔들린 삼성·LG, 반도체·가전 양축 모두 타격

M
관리자
조회수 433
추천 0
2025.07.08
美 관세 칼날에 흔들린 삼성·LG, 반도체·가전 양축 모두 타격
경제

“지갑을 열면 나라가 돕는다” —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전격 해부

M
관리자
조회수 392
추천 0
2025.07.05
“지갑을 열면 나라가 돕는다” —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전격 해부
경제

관세 ‘데드라인’ 초읽기…긴장감 높아진 서울·워싱턴

M
관리자
조회수 494
추천 0
2025.07.04
관세 ‘데드라인’ 초읽기…긴장감 높아진 서울·워싱턴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