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재 인선 원점으로… 이재명 대통령 ‘권한 없는 지명’ 뒤집다

헌재 인선 원점으로… 이재명 대통령 ‘권한 없는 지명’ 뒤집다
1. 청와대, 전격적 결정의 배경
6월 5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실은 예상치 못한 발표로 술렁였다. 강유정 대변인은 “대통령께서 ▲이완규 법제처장 ▲함상훈 서울고법 부장판사에 대한 헌법재판관 후보 지명을 철회한다”고 짧지만 단호한 메시지를 전했다. 두 인사는 지난 4월 8일,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직후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 직책을 내세워 지명한 인물이다.
하지만 법률가 사회에서는 “대행은 인선권까지 갖지 않는다”는 반발이 거셌다. 실제로 4월 16일 헌법재판소는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여 지명 효력을 일시 정지했고, 그때부터 임명 절차는 사실상 ‘정지 화면’이었다. 이 대통령은 당 대표 시절 “토끼가 호랑이 굴에 들어간다고 호랑이가 되는 건 아니다”라는 비유로 한 전 총리를 직격한 바 있다. 이번 철회는 그 발언의 연장선상에서 예고된 수순처럼 보인다.
2. 향후 일정과 헌재 공백
대통령실은 “새 후보군을 백지 상태에서 다시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그 동안 헌법재판소는 재판관 두 자리가 비어 7인 체제로 판결을 내리게 된다. 사안에 따라 ‘정족수 7명’이 필요한 결정은 지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경제·노동 관련 위헌 심판이 밀려 있는 상황이라 법조계 안팎의 시계가 헌재로 쏠린다.
이번 철회를 두고 전문가들은 “대통령 권한 승계 절차의 헌법적 범위를 다시 정의하는 전환점”이라 평가한다. 한편 여권 일각에서는 “행정 공백을 최소화하려면, 정치권이 합의 가능 후보를 서둘러 도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다만 야권은 “대행 체제의 월권을 바로잡은 것”이라며 긍정 평가 속에서도, ‘윤석열 파면 이후 인선 절차 전반을 재점검해야 한다’고 압박을 이어가고 있다.
어찌 되었든 이 대통령이 던진 ‘철회’ 카드는 헌재 구성을 원점으로 되돌려 놓았다. 혼란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새 청와대의 절차적 깔끔함이, 과연 국회의 협치라는 복잡한 실타래를 풀어낼 열쇠가 될지 주목된다.
댓글 0
뉴스
무리한 카드론 확장, 금감원 경고까지? - 현대카드 위험신호

트럼프의 관세 폭탄, 전 세계 무역 지형을 요동치게 하다

트럼프 행정부의 파격 카드 - ‘주한미군 재배치’ 논란 가열

뜻밖의 20년물 국채 파문 - 미국 증시 급랭

LG 올레드 TV 13년 연속 1위 - 프리미엄 시장 제패

대만을 향한 美 기업들의 AI 폭격, 한국 산업계의 선택지는?
“제조업, 막다른 길인가?…새로운 활로를 찾는 절박한 움직임” - 디지털 D2C·AI

신과함께” 감독, 초고가 아파트로 175억 차익?

“불닭 신드롬”이 만든 전설의 주가 돌파

기름값 하강, 다시 숨 고르나?

한미 통상 격돌, 관세협상 전선 6개 분야로 대폭 확대
해외투자 열풍 속 토스증권, 1분기 순이익 ‘폭발적’ 성장

삼성, 유럽 공조 시장 삼켜버리나? 이재용의 대규모 베팅
구독경제 전면 진단, 공정위의 특별 조사 시작

튀긴 것 같은 ‘치킨 아이스크림’부터 대왕 푸딩까지 - 편의점 이색 디저트 경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