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이앤씨, 다섯 번의 비극 끝에 대통령 직격탄 맞다

포스코이앤씨, 다섯 번의 비극 끝에 대통령 직격탄 맞다
1. 반복된 죽음이 불러낸 분노
“예방이 가능한데도 또 사람이 죽었다면, 실수라기보다 ‘미필적 고의 살인’ 아닙니까?” — 29일 국무회의장, 이재명 대통령의 목소리는 단호했다. 올 한 해에만 같은 건설사 현장에서 다섯 명이 순식간에 숨졌다는 보고가 올라오자, 대통령은 “더는 관행으로 넘길 수 없다”라며 안전 규정 무시를 ‘죽음을 용인한 태도’로 규정했다.
2. ‘지갑을 두드려야’ 바뀐다는 현실 진단
이 대통령은 형사처벌의 한계를 지적하며 “사고를 일으키면 돈이 더 많이 새어나가도록 해야 기업이 움직인다”고 강변했다. 고액 과징금, 징벌 손배, 금융 불이익까지 거론하며 “사고를 반복하는 회사는 대출도 투자도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경고장을 던졌다. 위험을 통제하지 않으면 경영이 불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시장 전체에 전파하려는 의도다.
3. 대통령, 현장으로 향한다
“직접 가서 확인하겠다.” 이 한마디로 용산 청사는 술렁였다. 대통령이 건설 현장을 예고 없이 찾을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업계엔 긴장감이 돌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고용노동부에도 ‘사고 많은 현장은 곧 비용 폭탄’이라는 인식을 뿌리내리라는 특명이 내려졌다.
4. 포스코이앤씨, ‘사즉생’ 카드 꺼내
같은 날, 포스코이앤씨 정희민 대표는 인천 본사에서 고개를 숙였다. “무기한 전 현장 작업 중단, 전사 안전점검 후 이상 없을 때만 재개”라는 약속이 뒤늦게 나왔다. 하지만 올해 김해·광명·대구·창녕 등지에서 이미 다섯 명의 직원이 목숨을 잃었다는 사실은 바뀌지 않는다. “브레이크 고장 난 열차처럼 속도만 냈다”는 내부 평가가 나온 이유다.
5. ‘산재 사망 제로의 원년’ 선포
대통령은 2025년을 “산재 사망 근절의 원년”으로 선언했다. 기업이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돈을 아끼는 대신 더 쓰도록 유도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번 조치가 건설업계에 던지는 신호는 명확하다. 생명을 담보로 한 비용 절감은 이제 ‘치명적인 투자 실패’로 기록될 수 있다는 것이다.
댓글 0
뉴스
中 추격 속 ‘제조 AI 생존전략’…한·일 데이터 공조 절실

“발목에서 날개로” 무죄 확정 후 삼성, 한국경제 도약의 점화 스위치를 켜다

삼성·LG, 녹색 기술로 무장해 ‘에너지 위너상’ 정상에 서다

반값 ‘프리미엄 라이트’로 승부수…유튜브, 韓 동영상 구독 시장 뒤흔든다

소비심리 폭주…‘소비쿠폰+여름휴가’에 3분기 유통경기 4년 만에 활짝

직장인 여름휴가, 평균 3.7일…7월 말 ‘엑소더스’ 예고

17년 만에 다시 열린 협상의 문, 최저임금 ‘극적 합의’의 전말

내년 최저임금 ‘합의 타결’…현장엔 무거운 탄식

롯데·메가박스, CGV 넘볼 ‘스크린 전쟁’ 시작됐다

주가조작 단번에 퇴출… 불공정 거래 ‘원스트라이크 아웃’ 전면 시행

美 관세 칼날에 흔들린 삼성·LG, 반도체·가전 양축 모두 타격

“지갑을 열면 나라가 돕는다” —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전격 해부

관세 ‘데드라인’ 초읽기…긴장감 높아진 서울·워싱턴

“또 오른다고?” 최저임금 한계선에 다가선 골목상권의 절규

라면 한 봉지 2천 원 시대, 서민 장바구니가 끓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