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14일 윤석열 소환…“이젠 법정으로 나올 차례”

특검, 14일 윤석열 소환…“이젠 법정으로 나올 차례”
1. 출석 시한 — 카운트다운이 시작됐다
12·3 비상계엄 사건을 파헤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7월 14일 오후 2시를 ‘D-데이’로 못 박았다. 박지영 특검보는 “그 시각에 조사실 문이 열려 있을 것”이라며 전직 대통령의 출석을 기정사실처럼 밝혔다.
윤 전 대통령은 나흘 전 건강 악화를 이유로 소환에 응하지 않았다. 그러나 서울구치소 의료진은 “출정 불능 수준의 이상 소견은 없다”는 공식 회신을 특검에 전달했다. 소환을 피할 방패가 사라진 셈이다.
2. ‘법률가 윤석열’의 선택지 — 자진 출석 vs. 강제 구인
특검은 방문 조사가 아닌 직접 소환 원칙을 고수한다. 불출석이 계속될 경우 형사소송법에 따른 구인영장 집행, 즉 ‘강제 동원 카드’를 꺼낼 수 있음을 시사했다. 법조 경력이 30년에 이르는 윤 전 대통령이 구속영장의 무게를 누구보다 잘 안다는 점을 강조하며 “합리적 결단을 기대한다”는 메시지도 곁들였다.
정치권에선 “스스로 나와야 전직 국가원수의 체면이라도 지킨다”는 반응과 “정치 보복 프레임이 더 견고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교차한다. 특검은 절차적 정당성을 강조하며 “모든 국민 앞에 동일한 법 잣대를 적용할 뿐”이라고 선을 그었다.
3. 구치소 밖으로 나오는 순간, 수사 국면이 급류로
만약 윤 전 대통령이 예고된 시간에 모습을 드러낸다면, 첫 질문은 비상계엄 계획 수립 과정의 실질적 관여 여부가 될 전망이다. 변호인단은 여전히 “업무보고 차원의 서면 검토가 전부”라는 입장을 고수하지만, 특검은 이미 확보한 군·청와대 문건을 근거로 ‘직접 지시’를 입증하겠다고 벼르고 있다.
반대로 불출석을 고집해 강제 구인이 이뤄질 경우, 사건은 ‘의전’ 대신 ‘형집행’의 프레임으로 급전환한다. 전직 대통령에게 채워질 수갑은 국내외 언론에 강렬한 장면을 제공하고, 특검 역시 여론의 가중치를 등에 업게 된다.
4. 남은 변수는 여론…“법은 차갑게, 시선은 뜨겁게”
한 검찰 고위 간부는 “이제 공은 윤 전 대통령에게 넘어갔다. 문턱을 스스로 넘느냐, 끌려가느냐가 남았을 뿐”이라고 평했다. 민주진영은 ‘법 앞의 평등’을, 보수 지지층은 ‘정치 탄압’을 외치며 맞불을 놓는 형국이다.
특검의 시계는 똑같은 속도로 흐르지만, 정치의 시계는 갈라진 민심에 따라 요동친다. 14일 오후 2시―그 짧은 순간이 한국 헌정사의 또 다른 분수령이 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댓글 0
뉴스
통신·금융 최전선 연합! 보이스피싱 막기 위한 강력 드라이브

190억 물관리 빅딜! KT·K-water AI‧클라우드 DX 프로젝트 전모

“스마트폰 0원?” SKT·KT·LGU+ ‘100만원 폭탄 지원금’…거리마다 대기줄 폭발

LG CNS, AI 신대륙 개척 위해 대규모 채용 - 혁신적인 AX 전략

정보보호 인재 쟁탈전 2025 - 사이버 보안 전문가 모여라

단통법 해제 앞둔 갤S25, 예상을 뛰어넘은 판매 폭발

SKT 가입자를 노린 위험한 유혹 - 불안 마케팅의 실체

공격적 보조금 경쟁 속, 갤럭시S25 시리즈 돌풍 - 통신사 지원금 확대

SKT, 산간 직접 찾아가 유심 교체 지원…전국 서비스 확대 예고

아디다스 해킹 사태 속 고객정보 위협

또 한 번의 파격! 초슬림 ‘갤럭시 S25 엣지’가 선사하는 미래

AI 대격변 시대, 대한상의 ‘333 비전’으로 세계 3강 노린다

“대규모 가입 폭주” SKT 심(USIM) 안전망, 2천만 명대 돌파

SKT 해킹 파문 확산 - 유심보호·교체 급증

2시간 넘게 배 타고도 헛걸음? 섬 주민 울리는 유심 교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