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윤석열 압박 최고조…체포영장까지 거론된 긴박한 새벽

특검, 윤석열 압박 최고조…체포영장까지 거론된 긴박한 새벽
목차
1. 초강수로 돌아온 두 번째 통보
2. ‘침묵 전략’ 고수하는 윤 전 대통령
3. 강제수사 현실성, 법조계의 전망
1. 초강수로 돌아온 두 번째 통보
30일 오전 10시.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지정한 시간은 칼날처럼 예리했다. 전날 첫 소환에 불응한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특검은 단 하나의 메시지를 보냈다. “이번에도 나오지 않으면 즉시 체포영장을 청구할 수 있다.”
명태균 공천 개입 의혹 등 굵직한 혐의를 다루는 이번 수사는 ‘김건희 특검’의 실질적 시험대다. 특검 내부 관계자는 “더 이상 지체할 시간이 없다”며 수사 동력 확보를 강조했다. 두 번째 소환장은 사실상 마지막 경고장이 된 셈이다.
2. ‘침묵 전략’ 고수하는 윤 전 대통령
그러나 당사자는 요지부동이다. 윤 전 대통령 측은 변호인 선임계조차 제출하지 않았고, 조사 일정과 방법에 대한 의견도 전혀 내지 않았다. 익명을 요구한 측근은 “건강이 악화돼 조사가 불가능하다”는 기존 입장을 반복했을 뿐이다.
실제로 윤 전 대통령은 내란 혐의로 진행 중인 재판에도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소환장을 열 번 보내도 건강 사유 하나로 버틸 것”이라는 냉소마저 나온다.
3. 강제수사 현실성, 법조계의 전망
문제는 강제 구인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지난해 조은석 특검팀도 같은 구치소 명령장을 세 차례 발부했지만 모두 빈손이었다. 법원 허가, 교정 당국 협조, 건강 검증 절차라는 ‘삼중 관문’이 버티고 있어서다.
그럼에도 특검은 체포영장 카드를 꺼냈다. 수사 경험이 풍부한 한 전직 검사는 “기소를 위해선 최소한의 대면조사가 필요해 영장 청구는 명분이 있다”면서도 “실제 집행까지 이어질 가능성은 반반”이라고 분석했다.
만약 윤 전 대통령이 끝내 불출석을 고수한다면 ‘조사 없는 기소’ 시나리오가 재현될 공산이 크다. 특검이 결단을 내릴지, 아니면 또다시 수사가 제자리걸음을 반복할지 오늘 하루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댓글 0
뉴스
포스코이앤씨, 다섯 번의 비극 끝에 대통령 직격탄 맞다

정치 탄압 주장 vs 사실 확인 요청…안철수·내란특검, 같은 문자 다른 해석

윤석열, 특검 소환 ‘패스’…다음 날 다시 부른다

테슬라 23조 수주, 삼성 파운드리 반격의 서막

하청 파업 ‘도미노 폭탄’…경총 “제조업 뿌리째 흔들릴 판”

윤석열 전 대통령, 구속적부심 기각…특검 수사 향배 ‘초긴장’

中 AI 파고에 맞서라, 韓 제조업의 돌파구는 ‘데이터 동맹’

새벽 기습 압수수색…김건희 특검, 권성동 의원실 전격 급습

통일교 심장부·권성동 사무실 동시 압색…‘김건희 특검’ 전면전

中 추격 속 ‘제조 AI 생존전략’…한·일 데이터 공조 절실

“폭우엔 한계가 없다” — 이재명, 전 부처에 ‘슈퍼비상령’ 발동

‘사법 족쇄 완전 해제’ 이재용 무죄 확정…재계 ‘숨통 트였다’

“발목에서 날개로” 무죄 확정 후 삼성, 한국경제 도약의 점화 스위치를 켜다

이재명, 검‧경 한몸으로 ‘이태원의 밤’ 재조사 선언

특검‧윤석열, ‘법정 한판승’ 향해 달아오른 구치소 전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