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결혼축의금, 정말 10만원이 상식일까? - 직장 동료 웨딩 트렌드

“직장동료 결혼축의금, 이제 10만원이 기본선?”
1. 결혼식 축의금 인식 변화
최근 들어 직장 동료의 결혼식 축의금을 놓고 ‘10만원’이라는 금액이 사실상 표준처럼 자리 잡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되었다. 인력관리 솔루션 기업인 인크루트가 직장인 84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에서, 결혼식에 참석하여 식사까지 함께한다는 상황을 전제로 했을 때 61.8%가 “10만원이 적절하다”고 응답한 것이다.
반면 “5만원이 적정액”이라는 의견은 32.8%로 뒤를 이었다. 기타 선택지 중에는 “5만원보다 적은 금액”과 “15만원 선” 등이 있었으나,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예식장에서 만나는 지인들이 늘어남에 따라 보다 높은 금액을 준비하는 분위기가 형성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2. 친밀도에 따른 축의금 차이
직장생활을 하다 보면 동료와의 친밀도에 따라 축의금을 달리 생각하기도 한다. 개인적인 교류가 활발한 동료에게는 “10만원”이 가장 많았고(59.7%), 그 다음으로 “20만원”이나 “15만원”을 언급한 사람도 더러 있었다. 가까운 사이일수록 단순히 격식보다는 진심을 전하는 의미로 금액을 넉넉히 준비하는 셈이다.
한편, 업무만 같이하는 정도로만 교류하는 동료라면 “10만원”이 주류 의견(60.1%)이긴 했지만, “5만원”이라고 답한 비율이 30%로 두 번째로 높았다. 흥미로운 점은 불과 2년 전 같은 설문에서는 이와 유사한 상황에서 “5만원이 적합하다”는 답변이 압도적이었다는 사실이다. 물가 상승 등 여러 현실적인 이유로 인해 전반적인 축의금 액수가 올라간 것으로 보인다.
3. 결혼식 참여 범위와 불참 사유
실제로 ‘어느 선까지 동료의 결혼식을 챙겨야 하느냐’라는 물음에는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업무로 연결된 사람”이라고 답한 비율이 44.4%로 가장 높았다. 초대장이 온 모든 동료의 식장을 찾겠다는 의견은 28.2%, 평소 사적으로 친분이 두터운 사람만 챙기겠다는 답은 25.9%를 차지했다.
반면, 직장 동료 결혼식에 아예 참석하지 않을 계획이라는 응답자도 1.4% 있었다. 이들은 “결혼식까지 갈 정도로 가깝지 않다”는 이유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그 외에는 “개인 일정이 우선이어서”나 “축의금으로 인한 부담” 같은 경제적 요인도 눈에 띄었다. 이처럼 각자의 상황이나 인간관계에 따라 예식 참석 여부도 달라지는 모습이다.
댓글 0
뉴스
中 AI 파고에 맞서라, 韓 제조업의 돌파구는 ‘데이터 동맹’

中 추격 속 ‘제조 AI 생존전략’…한·일 데이터 공조 절실

“발목에서 날개로” 무죄 확정 후 삼성, 한국경제 도약의 점화 스위치를 켜다

삼성·LG, 녹색 기술로 무장해 ‘에너지 위너상’ 정상에 서다

반값 ‘프리미엄 라이트’로 승부수…유튜브, 韓 동영상 구독 시장 뒤흔든다

소비심리 폭주…‘소비쿠폰+여름휴가’에 3분기 유통경기 4년 만에 활짝

직장인 여름휴가, 평균 3.7일…7월 말 ‘엑소더스’ 예고

17년 만에 다시 열린 협상의 문, 최저임금 ‘극적 합의’의 전말

내년 최저임금 ‘합의 타결’…현장엔 무거운 탄식

롯데·메가박스, CGV 넘볼 ‘스크린 전쟁’ 시작됐다

주가조작 단번에 퇴출… 불공정 거래 ‘원스트라이크 아웃’ 전면 시행

美 관세 칼날에 흔들린 삼성·LG, 반도체·가전 양축 모두 타격

“지갑을 열면 나라가 돕는다” —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전격 해부

관세 ‘데드라인’ 초읽기…긴장감 높아진 서울·워싱턴

“또 오른다고?” 최저임금 한계선에 다가선 골목상권의 절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