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취임 첫날 파격 행보―7·17 ‘임명식’으로 권력의 주어를 바꾼다

“국민이 곧 임명권자”…이재명, 의례 대신 실전을 택하다
1. 동틀 녘 시작된 임기, 숨 돌릴 틈 없는 첫날
6월 4일 새벽,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오전 7시부터 9시까지 전체회의를 열어 당선을 확정하는 순간부터 새 대통령의 권한은 작동한다. 전통적인 인수위 없이 곧바로 국정 레이스에 뛰어드는 터라 “선서 이전에 이미 실전”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당선인은 곧장 군 통수권을 인계받고 서울현충원으로 향해 전몰 장병에게 헌화‧분향하며 ‘국가를 향한 충성 서약’을 몸소 보여준다. 일출과 함께 시작된 분주한 일정은 새 정부의 속도전을 예고하는 장면으로 읽힌다.
2. 군악대도, 예포도 없는 ‘미니멀 선서’
취임 선서는 국회 본청에서 최소 인원만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다. 보신각 타종, 군악‧의장대 행진, 21발 예포 등 지난 정부들이 보여주던 퍼포먼스는 일제히 생략될 전망이다. 당선인 측은 “형식보다 내용, 의전보다 민생”을 내세우며 ‘작은 정부 출범식’ 콘셉트를 강조했다.
선서 직후 그는 국회의장, 여야 대표와 차 한 잔을 나누며 협치의 출발선을 그린다. 거창한 축포 대신 정파를 초월한 대화를 앞세워 “대통령 한 사람의 잔치가 아닌, 국민 전체의 일상”을 만들겠다는 의지다.
3. 7·17 ‘임명식’ 카드…권력 관계 뒤집기
눈길을 끄는 대목은 제헌절인 7월 17일에 별도의 ‘임명식’을 열겠다는 구상이다. “취임은 대통령 주체, 임명은 국민 주체”라는 메시지가 담겨 있다. 헌법을 제정한 날, 헌법의 주인인 시민이 ‘고용주’로서 대통령에게 임명장을 건네는 상징적 장면을 만들겠다는 복안이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이를 “1948년 이후 굳어진 취임식 관성을 리셋하는 파격”으로 평가한다. 한 정치학자는 “권력이 위에서 아래로 내리꽂히던 수직 구조를, 아래에서 위로 올려보내는 수평 구조로 전환하려는 실험”이라며 “시민이 ‘사용자’, 대통령이 ‘CEO’라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고 풀이했다.
4. 속도·실용·참여…‘이재명식 국정’의 방향타
첫날부터 강행군을 택한 배경엔 ‘속도’와 ‘실용’이 있다. 인수위 공백을 단숨에 메우려면 현장 점검과 정책 집행이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는 판단이다. 여기에 ‘참여’라는 키워드가 더해진다. 국민이 직접 임명장을 수여하는 퍼포먼스는 향후 국정 운영에도 지속될 ‘쌍방향 모델’을 예고한다.
금융·외교·안보 라인 모두가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시장은 신정부의 고속 의사 결정이 규제 개혁과 투자 확대를 앞당길지 주시하며, 해외 공관들은 새 리더십의 대외 메시지 수위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댓글 0
뉴스
中 AI 파고에 맞서라, 韓 제조업의 돌파구는 ‘데이터 동맹’

中 추격 속 ‘제조 AI 생존전략’…한·일 데이터 공조 절실

“발목에서 날개로” 무죄 확정 후 삼성, 한국경제 도약의 점화 스위치를 켜다

삼성·LG, 녹색 기술로 무장해 ‘에너지 위너상’ 정상에 서다

반값 ‘프리미엄 라이트’로 승부수…유튜브, 韓 동영상 구독 시장 뒤흔든다

소비심리 폭주…‘소비쿠폰+여름휴가’에 3분기 유통경기 4년 만에 활짝

직장인 여름휴가, 평균 3.7일…7월 말 ‘엑소더스’ 예고

17년 만에 다시 열린 협상의 문, 최저임금 ‘극적 합의’의 전말

내년 최저임금 ‘합의 타결’…현장엔 무거운 탄식

롯데·메가박스, CGV 넘볼 ‘스크린 전쟁’ 시작됐다

주가조작 단번에 퇴출… 불공정 거래 ‘원스트라이크 아웃’ 전면 시행

美 관세 칼날에 흔들린 삼성·LG, 반도체·가전 양축 모두 타격

“지갑을 열면 나라가 돕는다” —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전격 해부

관세 ‘데드라인’ 초읽기…긴장감 높아진 서울·워싱턴

“또 오른다고?” 최저임금 한계선에 다가선 골목상권의 절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