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뉴욕에서 국제 외교 무대 주도

이재명 대통령, 뉴욕에서 국제 외교 무대 주도
1. 유엔 수장과의 만남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마친 이재명 대통령은 곧바로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과 환담을 가졌습니다. 이 자리에서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당부하며, 한국 인재들의 국제기구 진출 확대에도 협조를 요청했습니다. 구테흐스 총장은 한국 정부의 정책 기조를 “현명한 접근”이라고 평가하며, 유엔 역시 긴밀한 협력 관계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화답했습니다.
2. 우즈베키스탄과의 양자 대화
이어 대통령은 유엔본부 의장실에서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과 회담을 진행했습니다. 양국은 7월 전화 통화를 통해 나눈 논의를 발전시키며, 산업·인프라·교육 분야 협력 심화를 주제로 의견을 교환했습니다. 특히 “전화로 나눈 대화를 실제로 이어가게 되어 뜻깊다”는 이 대통령의 발언에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은 “성의 있는 대화에 감사하다”고 응답해 분위기를 화기애애하게 만들었습니다.
3. 체코와의 문화·관광 교류
마지막 일정으로 이 대통령은 체코의 페트르 파벨 대통령과 마주 앉아 양국 간 관광과 인적 교류 확대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에서 체코의 프라하는 특별한 여행지로 꼽힌다”고 언급했고, 파벨 대통령은 “출근길마다 한국 관광객들을 자주 볼 정도로 양국의 유대가 가까워지고 있다”고 화답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관광 교류를 넘어 양국 시민들의 정서적 거리를 좁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4. 글로벌 외교 네트워크 확대
이번 뉴욕 외교 무대는 단순한 회담의 연속이 아니라 한국이 국제사회에서 어떻게 자리를 넓혀 나가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됩니다. 유엔과의 전략적 협력은 물론, 중앙아시아와 유럽과의 양자 관계 심화는 한국의 외교 지형을 더욱 다변화시키는 발판이 될 것으로 평가됩니다. 대통령실은 이번 정상외교를 통해 한반도 문제 해결에 대한 국제적 지지 기반을 다지고, 다자 무대에서 한국의 존재감을 높이는 계기가 됐다고 강조했습니다.
댓글 0
뉴스
방통위 해체 후 새 방송미디어통신위 출범 눈앞…정치권 정면 충돌

“재판부를 법으로 갈아끼우자?” 박희승의 일침… 헌법·절차 논란 불붙다

“띠지 어디로 사라졌나” 이 대통령, 특검 카드 꺼내 들었다

“대결에서 대화로” 9월 8일 여야 동시 회동…장동혁 대표와 별도 단독 면담까지

“후회와 성찰” 조국, 강미정 탈당 파문에 육성으로 답하다

“악수는 있었지만, 재시동은 쉽지 않다” 우원식의 냉온(冷溫) 메시지

“3월 안가 회동서 ‘비상조치’ 거론”… 특검, 與 당사 압수수색 착수

“민주주의 회복에서 AI-안보까지” 이재명, 유엔 무대서 대형 외교 드라이브

“속옷 차림 두 차례 거부” 확인…구치소 CCTV 본 민주당, 무엇을 봤나

‘서울·상층일수록 극우?’… 조국의 페북 공유가 불 붙인 2030 정치성향 논쟁

이진숙 방통위원장, 정치중립 위반 논란 속 직권면직 위기

장동혁 "단독회담 전제"에 민주당 "계엄 사과부터"…대통령 회동 성사 불투명

민주당-법무부 갈등, 검찰개혁 두고 긴장 고조

“한미 조선업 대역전극” 한화, 7조 원 투자로 美 시장 재편 예고

트럼프도 탐낸 국산 명품…이재명 대통령의 즉석 선물 화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