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 ‘드러눕기’로 막은 체포…두 번째 시계는 이미 돌기 시작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 ‘드러눕기’로 막은 체포…두 번째 시계는 이미 돌기 시작했다
1. 첫 집행 ‘바닥 시위’로 무산…특검의 시간표가 꼬였다
김건희 여사 일가를 겨냥한 특별검사팀은 1일 서울구치소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발부된 체포영장을 집행하려 했으나 결과는 허사였다. 윤 전 대통령은 수의를 거부한 채 바닥에 몸을 뉘이고 “인권침해”를 외치며 버텼고, 네 차례 끌어내기 시도는 모두 물거품이 됐다. 특검은 “피의자가 절차 자체를 봉쇄했다”며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2. ‘D‑7’ 데드라인…재집행 예상 시점은 휴일 뒤 월요일?
영장 효력은 8월 7일 자정까지다. 주말이 끼어 있어 법조계는 4일(월)을 유력한 재집행 날짜로 점친다. 첫 시도는 문홍주 특검보가 지휘했지만, 2라운드 현장 총책임자가 누구일지는 아직 베일에 싸여 있다. 특검 측은 “적정 시점에 밝히겠다”는 짧은 코멘트만 남겼다.
‘집사게이트’와 렌터카 의혹…IMS모빌리티 대표 소환
같은 날 오전 10시, 특검은 ‘김 여사의 집사’로 알려진 김예성 씨가 얽힌 렌터카 스타트업 IMS모빌리티의 조○○ 대표를 불러 조사한다. 이 회사는 2023년 적자·자본잠식 상태임에도 184억 원을 투자받아 업계의 놀라움을 샀다. 수사팀은 “친분이 투자 심사 대신 작동했는지 들여다보겠다”고 밝혔다.
특검 “다음엔 강제력 불사”…윤 측 “인격 살인” 반발
특검은 두 번째 집행에서는 물리력 사용을 공식화하며 윤 전 대통령 측에 이미 통보한 상태다. “법은 모두에게 평등하다”는 메시지를 강조했다. 반면 윤 전 대통령 측은 “복장까지 공개해 사회적 명예를 짓밟았다”며 거세게 반발했다. 건강 이상 주장도 제기됐으나, 특검은 “현장에서 이상 징후를 확인하지 못했다”고 일축했다.
전망 – 체포영장 vs 소환 조사, 칼날은 두 방향
체포영장 재집행이 거론되는 4일과 김건희 여사 첫 공개 소환일 6일 사이에 단 사흘이 놓여 있다. 사법·정치권에서는 “윤 전 대통령 강제동행이 현실화될 경우, 영부인 조사 일정과 맞물려 파급력이 배가될 것”이라는 분석이 힘을 얻는다.
댓글 0
뉴스
“진짜 일꾼 찾기”로 장·차관까지 바꾼다? - 국민추천제, 새 시대 열리나

재외동포 이해교육 확장 - 찾아가는 교육의 새로운 지평

특검 인선 최대 위기? ‘조건 폭탄’에 뒤흔들리는 정국

“무상 보증으로 키운 계열사”…중흥건설에 공정위 제재 - 경영권 승계 파문

국회 최대 쟁점: 법사위원장 두고 불붙은 여야 대립

“경호처 수뇌부 전원 대기발령” - ‘윤석열 사병화’ 후폭풍

라면값 2천원 진짜? 이재명 대통령의 강력 주문

“불황에 맞서는 드라이브” 이재명 대통령, 경제 컨트롤타워 전면 쇄신

헌재 인선 원점으로… 이재명 대통령 ‘권한 없는 지명’ 뒤집다

여소야대 24시간 만의 역전극? 민주당 ‘3대 특검’ 기습 상정

전한길, 이준석·한동훈 직격 “보수 자멸” - 대선 패배 책임 공방

이재명, 첫날부터 ‘경제비상’ 선언…비상경제점검 TF 직접 지휘

세 판짜기 시작…김민석 총리 카드로 여의도 지형 뒤흔든다

이재명 대통령, 첫날부터 칼 빼들다 — 총리·국정원장 전격 지명

“비빔밥 정치” 선포…이재명 대통령, 취임 직후 여야 원내 수장들과 첫 담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