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 ‘드러눕기’로 막은 체포…두 번째 시계는 이미 돌기 시작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 ‘드러눕기’로 막은 체포…두 번째 시계는 이미 돌기 시작했다
1. 첫 집행 ‘바닥 시위’로 무산…특검의 시간표가 꼬였다
김건희 여사 일가를 겨냥한 특별검사팀은 1일 서울구치소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발부된 체포영장을 집행하려 했으나 결과는 허사였다. 윤 전 대통령은 수의를 거부한 채 바닥에 몸을 뉘이고 “인권침해”를 외치며 버텼고, 네 차례 끌어내기 시도는 모두 물거품이 됐다. 특검은 “피의자가 절차 자체를 봉쇄했다”며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2. ‘D‑7’ 데드라인…재집행 예상 시점은 휴일 뒤 월요일?
영장 효력은 8월 7일 자정까지다. 주말이 끼어 있어 법조계는 4일(월)을 유력한 재집행 날짜로 점친다. 첫 시도는 문홍주 특검보가 지휘했지만, 2라운드 현장 총책임자가 누구일지는 아직 베일에 싸여 있다. 특검 측은 “적정 시점에 밝히겠다”는 짧은 코멘트만 남겼다.
‘집사게이트’와 렌터카 의혹…IMS모빌리티 대표 소환
같은 날 오전 10시, 특검은 ‘김 여사의 집사’로 알려진 김예성 씨가 얽힌 렌터카 스타트업 IMS모빌리티의 조○○ 대표를 불러 조사한다. 이 회사는 2023년 적자·자본잠식 상태임에도 184억 원을 투자받아 업계의 놀라움을 샀다. 수사팀은 “친분이 투자 심사 대신 작동했는지 들여다보겠다”고 밝혔다.
특검 “다음엔 강제력 불사”…윤 측 “인격 살인” 반발
특검은 두 번째 집행에서는 물리력 사용을 공식화하며 윤 전 대통령 측에 이미 통보한 상태다. “법은 모두에게 평등하다”는 메시지를 강조했다. 반면 윤 전 대통령 측은 “복장까지 공개해 사회적 명예를 짓밟았다”며 거세게 반발했다. 건강 이상 주장도 제기됐으나, 특검은 “현장에서 이상 징후를 확인하지 못했다”고 일축했다.
전망 – 체포영장 vs 소환 조사, 칼날은 두 방향
체포영장 재집행이 거론되는 4일과 김건희 여사 첫 공개 소환일 6일 사이에 단 사흘이 놓여 있다. 사법·정치권에서는 “윤 전 대통령 강제동행이 현실화될 경우, 영부인 조사 일정과 맞물려 파급력이 배가될 것”이라는 분석이 힘을 얻는다.
댓글 0
뉴스
재계 상반기 보수 격차…두산·한화 고액, 삼성 무보수

이재명 정부, 금융당국 첫 지휘부 확정…이억원-이찬진 ‘투톱 체제’ 가동

삼성전자, 세계 최초 마이크로 RGB TV로 기술 초격차 선언

5000만원 이하 연체자, 올해 안 갚으면 신용이력 '싹' 지워준다

포스코이앤씨 사고 현장 긴급 점검…장인화 회장, “원인 뿌리까지 파헤친다”

‘규제 덩어리’에 숨 막힌 기업, 정부 “싹 뜯어고친다”

관세전쟁, 2라운드 시작…최태원 “끝난 줄 착각 마라”

삼성전자 임원진, 자사주 보따리로 ‘책임 경영’ 시동

“현금 대신 주식”…513억 자사주로 쏜 삼성, 무엇이 달라지나?

‘HBM4 전쟁’ 막 올랐다: 삼성은 재기 노리고, SK는 질주한다

삼성, 1c 나노 HBM4로 반격…메모리 패권 다시 흔든다

“관세 장벽을 허물다” 삼성·현대차·한화의 숨은 교섭 시나리오

포스코이앤씨, 다섯 번의 비극 끝에 대통령 직격탄 맞다

테슬라 23조 수주, 삼성 파운드리 반격의 서막

中 AI 파고에 맞서라, 韓 제조업의 돌파구는 ‘데이터 동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