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거래량 급락…대출규제 직격탄 맞았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 급락…대출규제 직격탄 맞았다
1. 거래 절벽, 서울이 가장 크게 흔들렸다
지난 7월, 서울의 아파트 매매 건수는 8485건에 그치며 전달 대비 21% 이상 줄어들었다. 불과 한 달 전만 해도 1만 건을 넘어섰지만, ‘6·27 대출규제’ 시행 이후 분위기가 급격히 냉각된 것이다. 수도권 전체로는 19% 감소, 전국적으로도 13% 줄어드는 등 하락세가 광범위하게 퍼졌다. 전문가들은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6억 원으로 제한된 것이 수요심리를 꺾었다”며 정책적 여파를 직접적인 원인으로 꼽고 있다.
2. 공급 지표의 온도차, 수도권은 늘고 서울은 줄었다
거래가 얼어붙은 반면, 주택 공급을 가늠할 수 있는 착공 및 인허가 물량은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수도권 전체 착공 물량은 1만 가구를 넘어 전년 동월 대비 35% 이상 증가했지만, 서울만 놓고 보면 오히려 65% 가까이 감소했다. 7월 한 달 동안 서울에서 실제 착공에 들어간 물량은 642가구에 불과해 ‘공급 위축’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인허가 실적 또한 수도권은 증가했지만, 비수도권에서는 반토막이 나는 등 지역별 양극화가 뚜렷하다.
3. 분양은 늘었지만 악성 미분양은 여전
분양시장만큼은 활기를 되찾는 듯 보인다. 수도권 분양 물량은 1만1900여 가구로 작년 같은 달보다 70% 넘게 늘었으며, 서울 역시 인허가 확대에 힘입어 신규 분양이 증가세를 보였다. 그러나 그림자도 짙다. ‘악성 미분양’이라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은 2만7000가구 수준에서 다시 늘어나며 시장 불안을 키우고 있다. 전체 미분양도 6만2000여 가구에 달해 공급 확대가 곧바로 수요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방증한다.
4. 정책의 무게, 향후 시장 방향은?
이번 대출 규제는 단순히 거래량 감소에 그치지 않고, 향후 주택 공급 구조에도 상당한 파급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서울의 착공 감소는 향후 몇 년 뒤 주택 공급 부족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가 크다. 반면 수도권 전체의 분양 확대는 단기적으로 시장 과잉공급 논란을 키울 여지가 있다. 결국 ‘거래 위축–공급 불균형–미분양 증가’라는 삼중고가 맞물리며, 정부와 시장 모두의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5. 결론
서울 아파트 매매 급감은 단순한 숫자의 변동이 아니라, 정책과 수급, 심리가 얽힌 복합적 현상의 결과다. 대출규제가 불씨를 당겼지만, 그 여파는 거래 침체, 공급 위축, 미분양 확대라는 세 갈래로 퍼지고 있다. 하반기 시장이 반등할지, 혹은 장기 침체 국면으로 접어들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지금은 정부의 정책 조율과 동시에 시장 참여자들의 신중한 대응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댓글 0
뉴스
美, 냉장고·세탁기까지 50% 관세?…한국 가전업계 ‘태풍의 눈’

트럼프의 ‘마감 카운트다운’…이재명式 통상외교, G7에서 승부수

G7 무대에 울린 '서울‑브뤼셀 핫라인'…경제·기후·안보 三각축 재편

치솟는 치킨값 진정될까? 브라질 닭고기 수입 재개 조짐

새벽부터 멈춘 챗GPT…7시간 먹통 쇼크, 원인은 ‘폭주한 오류율’

현대차 ‘더 뉴 엑시언트’ 출시 – 대형 트럭 혁신의 서막

6월 첫 열흘, 반도체가 끌어올린 수출…무역수지 적자 계속 - 한국 수출입 동향

금융과 쇼핑이 한자리에! SSG닷컴-KB국민은행 파격 결합

광주시 재난관리 성과 폭발…‘안전도시’ 깃발 꽂았다

보스턴이 뒤흔드는 글로벌 바이오판 - 보스턴 바이오클러스터, 혁신의 뿌리

긴장 속 첫 한·미 통화…관세 담판 앞당길까?

두산에너빌리티 380㎿ 가스터빈, 글로벌 3강에 균열 낼까? – 가스터빈 상업 운전 성능 검증

긴급 브리핑 ‘총리’라는 무거운 갑옷을 입다

이재명 정부 첫 칼 : 김민석 총리·강훈식 실장 파격 지명

고령층까지 합세한 펫 소비 열풍 - 반려동물 관련 지출의 놀라운 상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