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그리넷

사회

생후 1주 만에 버려진 아이, 참혹한 학대로 드러난 진실

M
관리자
2025.05.26 추천 0 조회수 1040 댓글 0

생후 1주 만에 버려진 아이, 참혹한 학대로 드러난 진실

신생아마저 버린 비정한 학대… 뒤늦게 밝혀진 끔찍한 진실

1. 뒤늦게 드러난 불법 입양

 

중증 장애를 지닌 의붓아들을 가혹하게 대했다가 결국 숨지게 만든 A씨가 과거에도 막 태어난 친자식을 몰래 넘겼다는 사실이 알려져 충격을 더하고 있다. 정부가 출생신고가 되지 않은 아이들을 전수조사하던 중, A씨가 신생아를 출산 기록만 남기고 불법으로 양도했다는 정황이 뒤늦게 확인된 것이다.

수사 자료에 따르면 A씨는 지난 2013년, 생후 겨우 일주일 된 아기를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알게 된 이에게 넘겨주었다. 해당 행위로 기소된 A씨는 최근 법원에서 징역 8개월을 선고받았다. A씨는 아이가 선천적 감염병을 안고 태어났고, 자신 역시 건강과 재정 문제가 겹쳐 감당하기 어려웠다는 주장을 폈다.

 

2. 참혹한 학대의 실상

 

A씨의 범행이 세간에 널리 알려진 계기는 2020년 초 발생한 아동학대 사망 사건이었다. 당시 A씨는 영하권 기온에 창문이 열린 베란다에서, 감기 증세를 보이던 8살 의붓아들을 차가운 물이 담긴 어린이용 대야에 두 시간 넘게 방치했다. 아이는 결국 저체온증으로 목숨을 잃었다.

아이는 중증 지적장애를 가지고 있어 특별한 보살핌이 필요했으나, 오히려 학대의 대상이 된 셈이다. 이 사건으로 A씨는 법정에서 징역 12년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이다. 사회적 공분이 컸던 만큼 아이가 숨지기까지 겪었을 고통에 대한 안타까움이 이어졌다.

 

3. 공소시효 논란과 법적 판단

 

한편, 불법 입양 혐의에 대해서는 시간이 지나 공소시효가 지났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그러나 재판부는 아동학대 범죄의 경우 피해 아동이 성인이 될 때까지 공소시효가 정지된다는 관련 법령을 근거로, A씨 측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에 따라 범행 시점으로부터 7년이 넘었음에도 피고는 처벌을 피할 수 없었다.

법원은 A씨가 건강상의 어려움을 겪던 상황을 부분적으로 참작했지만, 결정적으로 피해 아동의 안전이 전혀 확인되지 못했다는 점을 문제 삼았다. 아이가 어디서 어떻게 지내는지조차 알 수 없는 현실은 아동 보호 체계의 허점을 다시금 드러냈다는 비판을 낳고 있다.

 

4. 커져가는 사회적 우려

 

A씨 사건은 한국 사회에서 일어나는 아동학대 문제가 단순한 부모 개인의 일탈을 넘어, 제도적 결함과 보호 인프라 부족이 혼재된 문제임을 상기시킨다. 특히 경제 사정이 악화되거나 개인적 어려움이 있다고 해도, 이를 극단적인 방식으로 아이에게 전가한 점은 결코 정당화될 수 없다.

보호자와 영유아를 위한 사회 지원책이 더 확충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더욱 거세지고 있다. 아이를 키울 여력이 없더라도, 투명한 입양 제도나 공적 돌봄 시스템을 활용해 아이가 위험에 처하지 않도록 하는 안전 장치가 절실하다.

 

댓글 0

뉴스

전체 정치 경제 사회 생활/문화 IT/과학 세계이슈 연예 건강
세계이슈

이스라엘 내각, ‘1단계 정전’ 전격 승인…72시간 내 전원 송환 시계가 돈다

M
관리자
조회수 193
추천 0
2025.10.10
이스라엘 내각, ‘1단계 정전’ 전격 승인…72시간 내 전원 송환 시계가 돈다
세계이슈

“경주에서 결판” 트럼프, 中 대두 불매에 칼 빼들다

M
관리자
조회수 206
추천 0
2025.10.03
“경주에서 결판” 트럼프, 中 대두 불매에 칼 빼들다
세계이슈

“첫날부터 멈춘 워싱턴” — 상원, 임시예산 두 번 모두 좌초…3일 재표결 관측

M
관리자
조회수 244
추천 0
2025.10.02
“첫날부터 멈춘 워싱턴” — 상원, 임시예산 두 번 모두 좌초…3일 재표결 관측
세계이슈

“7년 만의 멈춤” 미 연방 행정 중단…돈·하늘·데이터가 동시에 흔들렸다

M
관리자
조회수 291
추천 0
2025.10.01
“7년 만의 멈춤” 미 연방 행정 중단…돈·하늘·데이터가 동시에 흔들렸다
세계이슈

“영구 핵보유” 주장에 맞선 외교부 메시지: 한반도 비핵화는 여전히 ‘기준점’

M
관리자
조회수 246
추천 0
2025.09.30
“영구 핵보유” 주장에 맞선 외교부 메시지: 한반도 비핵화는 여전히 ‘기준점’
세계이슈

“보고 싶다”는 열기, 통제가 못 따라갔다… 카루르 유세 압사 참사

M
관리자
조회수 275
추천 0
2025.09.29
“보고 싶다”는 열기, 통제가 못 따라갔다… 카루르 유세 압사 참사
세계이슈

“10월 1일, 계산대가 바뀐다” 트럼프의 품목별 관세 폭주, 한국 수출에 드리운 그늘

M
관리자
조회수 322
추천 0
2025.09.28
“10월 1일, 계산대가 바뀐다” 트럼프의 품목별 관세 폭주, 한국 수출에 드리운 그늘
세계이슈

“불씨는 우리가 아니다” — 페제시키안, 트럼프식 중동전략 직격…NPT 이탈은 선 긋다

M
관리자
조회수 315
추천 0
2025.09.27
“불씨는 우리가 아니다” — 페제시키안, 트럼프식 중동전략 직격…NPT 이탈은 선 긋다
세계이슈

“10월 1일 시작” 외산 대형트럭 25% 관세…트럼프, 안보 논리로 정면 돌파

M
관리자
조회수 383
추천 0
2025.09.26
“10월 1일 시작” 외산 대형트럭 25% 관세…트럼프, 안보 논리로 정면 돌파
세계이슈

댈러스 ICE 시설 총격 3명 사상… 트럼프 “좌파가 법집행을 괴물로 만들었다”

M
관리자
조회수 268
추천 0
2025.09.25
댈러스 ICE 시설 총격 3명 사상… 트럼프 “좌파가 법집행을 괴물로 만들었다”
세계이슈

“임신 중 타이레놀” 자폐 유발 논란…정책·과학·한국 대응 한눈에

M
관리자
조회수 252
추천 0
2025.09.24
“임신 중 타이레놀” 자폐 유발 논란…정책·과학·한국 대응 한눈에
세계이슈

트럼프 발언에 흔들린 임신부들…美 의료계 "타이레놀 여전히 안전"

M
관리자
조회수 303
추천 0
2025.09.23
트럼프 발언에 흔들린 임신부들…美 의료계 "타이레놀 여전히 안전"
세계이슈

“H-1B 10만 달러” 충격파…실리콘밸리 비상 걸렸다

M
관리자
조회수 342
추천 0
2025.09.22
“H-1B 10만 달러” 충격파…실리콘밸리 비상 걸렸다
세계이슈

“H-1B 연 10만달러” 초강수… 한국 기업, 미국 사업 시계 더 흐려졌다

M
관리자
조회수 394
추천 0
2025.09.21
“H-1B 연 10만달러” 초강수… 한국 기업, 미국 사업 시계 더 흐려졌다
세계이슈

“경주에서 판이 커진다” 미·중 정상, APEC 회동 합의… 틱톡·무역·안보까지 줄다리기

M
관리자
조회수 370
추천 0
2025.09.20
“경주에서 판이 커진다” 미·중 정상, APEC 회동 합의… 틱톡·무역·안보까지 줄다리기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