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까지 이어진 ‘15시간 진실攻防’…윤석열 전 대통령, 특검청사 문 나서며 침묵

새벽까지 이어진 ‘15시간 진실攻防’…윤석열 전 대통령, 특검청사 문 나서며 침묵
1. 조사 마라톤 현장
윤석열 전 대통령이 29일 0시 59분경 서울고검 청사를 빠져나왔다. 전날 오전 9시 55분 발걸음을 들인 뒤 꼬박 15시간 만이다.
그러나 실제 피의자 신문 시간은 고작 다섯 시간 남짓이었다. 조사실 안팎에서 이어진 법리 다툼과 조사 방식, 진술서 열람 절차를 두고 양측이 밀고 당기며 시간을 대부분 소모했다는 전언이다.
윤 전 대통령은 현관 앞으로 몰린 취재진의 “진실을 밝힐 의지가 있느냐”고 묻는 질문에 고개만 숙인 채 차량으로 향했다. 굳게 닫힌 입은, 검찰총장 시절 ‘불편해도 답한다’던 태도와는 사뭇 달랐다.
특검팀은 이번 대면조사를 ‘내란 의혹 수사의 출발점’이라 규정했다. 한 수사관은 “첫 단추를 제대로 끼우려다 보니 시간이 길어졌다”고 전했다. 반면 윤 전 대통령 측 관계자는 “불필요한 공방으로 시간을 끌어 여론전을 노린 것”이라고 맞받았다.
2. 두 번째 소환 예고
특검은 곧바로 30일 오전 9시 같은 장소 출석을 서면으로 통보했다. 박준영 특별검사보는 “조사 간격이 짧지만 24시간 이상 휴식이 확보돼 건강상 문제는 없을 것”이라며 “윤 전 대통령이 첫 소환에서 적극 진술한 만큼 재출석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두 번째 조사에서는 1차에서 손도 대지 못한 ‘비화폰 통화 삭제 지시’ 의혹과, 국무회의 발언·외환시장 개입 정황 등 핵심 혐의가 다뤄질 전망이다. 특검 관계자는 “필요하면 세 번이든 네 번이든 부르겠다”고 못 박았다.
법조계 안팎에서는 이번 소환이 ‘속도전’으로 비칠 수 있으나, 공소시효와 증거보전 문제를 감안하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 전직 부장검사는 “대통령 경험자에 대한 조사라는 이례성보다, 사실규명 시효가 얼마 남지 않았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치권의 시선도 엇갈린다. 여당은 “헌정사 비극의 진실을 밝힐 마지막 기회”라고 강조한 반면, 야권은 “정치보복용 특검쇼”라며 연일 성토했다. 정국의 긴장감은 6월 말 장마전선처럼 짙어지고 있다.
댓글 0
뉴스
7월 경제 '트리플 상승'…소비 폭발이 경기 회복 불씨

서울 아파트 거래량 급락…대출규제 직격탄 맞았다

“범죄 각본 속 주인공이 되지 마라”…경찰, 보이스피싱 경고 영상 전격 공개

“비닐봉지 대신 절연테이프” 내달부터 보조배터리 기내 규정 확 바뀐다

대한항공, 70조 원 규모 차세대 보잉 항공기 대규모 도입

추석 대목 잡아라…백화점 3사, 선물세트 사전 예약전 돌입

‘노란봉투법’ 6개월 뒤 시행…노동시장 판도 바뀌나

AI·SMR까지…새정부, 100조 투입해 미래산업 판 뒤집는다

빌 게이츠 만난 SK·HD현대… 차세대 원전 동맹 본격 가동

한수원·웨스팅하우스, 美 원전 패권 겨냥한 합작법인 설립 눈앞

한전·한수원 '굴욕 계약' 논란…산업부 장관 "정상 협상, 불가피한 선택"

정치 리스크와 관세 부담에 흔들린 코스피 상장사 실적

월세 거래량 100만건 돌파…전세의 시대 저물고 있다

이재용 귀국, 테슬라·애플 협력으로 내년 사업 준비

비트코인 12만4000달러 돌파…급등 이끈 결정적 변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