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그리넷

IT/과학

배터리와 서버가 ‘붙어 산다’… 재난이 시스템을 삼키기 전에

M
관리자
2025.10.03 추천 0 조회수 240 댓글 0

배터리와 서버가 ‘붙어 산다’… 재난이 시스템을 삼키기 전에

배터리와 서버가 ‘붙어 산다’… 재난이 시스템을 삼키기 전에

1. 핵심 요약

 

대형 데이터센터 안전 점검에서 국내 88곳 가운데 73곳이 기본 규정을 어겼다. 배터리와 서버를 별도 구역으로 분리하지 않거나, 적정 간격을 확보하지 않은 사례가 다수였다. 업계 대표 기업들도 예외가 아니었다.

 

특히 일부 시설은 원격 전원 차단이 불가능했고, 리튬배터리가 촘촘히 배치돼 화재가 번질 조건을 스스로 키우고 있었다. 최근 국가 주요 전산시설 화재로 국가망이 흔들린 만큼, 민간 영역의 동일 리스크가 현실화할 경우 파급은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다.

 

2. 무엇이 문제인가

 

정부는 20kWh를 넘는 리튬배터리를 전기설비와 분리해 보관하도록 정했지만, 여전히 다수 센터에서 서버-배터리 나란히 보관이 확인됐다. 해외에선 보편적으로 90cm 이상의 이격과 불연 차단벽을 둔다. 반면 국내 일부 현장은 배터리와 서버 사이가 손 뻗으면 닿는 거리에 불과했다.

 

UPS(무정전전원장치) 화재를 대비한 바이패스 설비 부재, 원격 차단 미구축, 배터리 간 과밀 배치도 잇따랐다. 다발식 전력선 연결, 배기·배수 미비 등은 불이 번질 때 진화와 격리의 시간을 빼앗는 요소로 작동한다.

 

현장 스냅샷: “불씨 하나가 전체 서비스를 멈춘다”

 

대전의 한 데이터센터에서는 UPS 모듈 일부가 손상되는 화재가 발생했으나 초기 진화로 대형사고는 막았다. 그러나 같은 유형의 불이 더 큰 시설에서 일어났다면, 한 층 전체가 순식간에 무력화될 수 있었던 조건이었다. 국가 전산시설의 사례가 보여주듯, 먼지 하나·열 하나가 서비스 중단으로 직결되는 것이 데이터센터의 일상이다.

 

재배치가 답이다: 설계·운영의 ‘거리 두기’

 

화재는 배터리에서 시작해 전력선·랙으로 번지고, 결국 서비스로 확장된다. 이를 끊는 첫 단계는 배터리-서버 분리 보관과 충분한 이격이다. 다음은 원격 차단·바이패스 체계다. 현장 인력 접근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전원을 우회·차단할 수 있어야 “불을 먹는 전기”를 끊는다.

 

추가로, 급배기·방수·배수는 화염 그 자체보다 무서운 2차 피해(연기, 부식, 침수)를 줄이는 최소 장치다. 복구 단계에서는 장비 분해·세척·재조립을 병렬로 처리해 시간을 단축하고, 전원장치 수리를 주요 경로 중심으로 압축하는 전략이 유효하다.

 

관리의 상시화: “점검이 곧 가동”

 

전문가들은 리튬이온 배터리 특성상 일단 붙으면 끄기 어렵다고 말한다. 그래서 더더욱 정례 점검구획 기반 설계가 필요하다. 배터리 로그, 케이블 동선, 랙 단위의 열지도, 청정도(분진) 수준을 지표화하고, 외주·원청·입주사의 공동 책임 체계로 관리해야 한다.

 

“규정은 서랍 속 문서가 아니라, 서버 가동 버튼과 붙어 있어야 한다.” 데이터센터 운영에서 이 문장은 더 이상 비유가 아니다.

 

결론: 화재는 사건이 아니라 설계의 결과

 

이번 점검은 민간 데이터센터 상당수가 불 앞에서 취약하다는 사실을 적나라하게 드러냈다. 국가 전산망 복구가 속도를 내고 있지만, 복구보다 중요한 건 재발 방지다. 분리·이격·차단·배기라는 네 가지 원칙을 지키지 않는 한, 다음 먹통은 우연이 아니라 예정된 사고가 될 수 있다.

 

댓글 0

뉴스

전체 정치 경제 사회 생활/문화 IT/과학 세계이슈 연예 건강
세계이슈

‘지미 키멜 라이브’ 전격 중단…트럼프 “미국엔 반가운 일”

M
관리자
조회수 408
추천 0
2025.09.19
‘지미 키멜 라이브’ 전격 중단…트럼프 “미국엔 반가운 일”
세계이슈

美 연준, 금리 인하 사이클 돌입…글로벌 증시 ‘랠리 모드’ 시동

M
관리자
조회수 384
추천 0
2025.09.18
美 연준, 금리 인하 사이클 돌입…글로벌 증시 ‘랠리 모드’ 시동
세계이슈

“가자시티로 밀고 들어간 이스라엘” — 밤사이 집중 공세, 전차까지 투입

M
관리자
조회수 387
추천 0
2025.09.17
“가자시티로 밀고 들어간 이스라엘” — 밤사이 집중 공세, 전차까지 투입
세계이슈

틱톡 매각 합의로 급물살 탄 미·중 협상…트럼프-시진핑 19일 통화 예정

M
관리자
조회수 323
추천 0
2025.09.16
틱톡 매각 합의로 급물살 탄 미·중 협상…트럼프-시진핑 19일 통화 예정
세계이슈

“커크를 겨냥한 총탄 이후” 용의자 주변 정황 드러나지만, 동기는 여전히 안갯속

M
관리자
조회수 411
추천 0
2025.09.15
“커크를 겨냥한 총탄 이후” 용의자 주변 정황 드러나지만, 동기는 여전히 안갯속
세계이슈

사도광산 추도식, 또다시 ‘강제동원’ 외면…2년째 반쪽 행사 논란

M
관리자
조회수 450
추천 0
2025.09.14
사도광산 추도식, 또다시 ‘강제동원’ 외면…2년째 반쪽 행사 논란
세계이슈

“서명하거나 부담하라” 러트닉의 최후통첩… 한·미 통상 줄다리기 격화

M
관리자
조회수 427
추천 0
2025.09.13
“서명하거나 부담하라” 러트닉의 최후통첩… 한·미 통상 줄다리기 격화
세계이슈

“관세로 세계를 흔들 수 없다” 시진핑, BRICS서 직격탄

M
관리자
조회수 445
추천 0
2025.09.09
“관세로 세계를 흔들 수 없다” 시진핑, BRICS서 직격탄
세계이슈

“누가 달러 왕관을 쓸까” 파워볼 잭팟, 18억 달러 목전

M
관리자
조회수 520
추천 0
2025.09.07
“누가 달러 왕관을 쓸까” 파워볼 잭팟, 18억 달러 목전
세계이슈

“머나먼 비보에 침통”…리스본 전차 참사에 이재명, 전폭 지원 지시

M
관리자
조회수 567
추천 0
2025.09.05
“머나먼 비보에 침통”…리스본 전차 참사에 이재명, 전폭 지원 지시
세계이슈

“질서 재편, 함께 가겠다” 베이징서 맞잡은 러·중의 계산

M
관리자
조회수 608
추천 0
2025.09.02
“질서 재편, 함께 가겠다” 베이징서 맞잡은 러·중의 계산
세계이슈

김정은, 시진핑·푸틴과 톈안먼 나란히…새 외교 무대의 시작

M
관리자
조회수 637
추천 0
2025.08.28
김정은, 시진핑·푸틴과 톈안먼 나란히…새 외교 무대의 시작
세계이슈

“싱가포르서 韓-美 의회 맞손, 주한미군 철통 유지 재확인” - 한미동맹, 기술협력 가속

M
관리자
조회수 1002
추천 0
2025.06.02
“싱가포르서 韓-美 의회 맞손, 주한미군 철통 유지 재확인” - 한미동맹, 기술협력 가속
세계이슈

“보안 허점 드러난 디올·티파니” - 개인정보 유출 파문

M
관리자
조회수 1031
추천 0
2025.06.02
“보안 허점 드러난 디올·티파니” - 개인정보 유출 파문
세계이슈

머스크 ‘마약 중독’설 정면 반박 – 케타민 처방의 진실과 정치적 파장

M
관리자
조회수 1033
추천 0
2025.06.01
머스크 ‘마약 중독’설 정면 반박 – 케타민 처방의 진실과 정치적 파장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