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세기 전 첫 불을 밝힌 고리 1호기, 드디어 해체 카운트다운

반세기 전 첫 불을 밝힌 고리 1호기, 드디어 해체 카운트다운
1. 해체의 의미
부산 기장 장안읍 바닷가를 지켜온 원전 1호기가 26일 마침내 해체 허가를 받았다. 1972년 건설 인가가 떨어지고 1978년 4월 첫 전기를 뿜어낸 뒤, 2017년 영구 정지 결정으로 터빈이 멈춘 지 8년 만의 일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는 이날 제216차 회의에서 “최종해체계획서가 기술‧환경 기준을 충족한다”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심사 결과를 토대로 승인안을 의결했다. 원전 운영사인 한국수력원자력이 2021년 신청서를 낸 지 4년 만에 퍼즐이 맞춰진 셈이다.
국내 첫 상업 원전을 실제로 해체한다는 점에서 이번 결정은 단순한 설비 폐기가 아닌, 원전 해체 산업의 제로(0)에서 원(1)으로의 도약으로 평가된다. 정부와 업계는 500조 원 규모로 추산되는 글로벌 시장 진출의 ‘시동 버튼’이 눌렸다고 해석한다.
2. 과정과 전망
해체 작업은 서류 인가가 끝이라고 해서 곧바로 굴착기가 투입되는 일은 아니다. 먼저 사용후핵연료를 임시 저장할 별도 시설이 지어져야 한다. 이 공정에만 최소 5년이 걸린다. 이후 압력용기 절단, 방사성 폐기물 분류‧이송, 부지 복원까지 총 12년, 비용은 약 1조 713억 원으로 잡힌다.
전문가들은 2037년 완료 시점을 목표로 잡지만, “예정된 열차가 선로를 갈아타듯 단계별 관리가 중요하다”며 변수에 대비한 유연한 일정 관리가 필수라고 강조한다.
고리 1호기가 남긴 기술·노하우 역시 무시할 수 없다. 587 MWe 가압경수로(PWR)라는 ‘올드 모델’이지만, 실제 해체 과정에서 축적될 경험은 앞으로 예정된 월성 1호기 등 후속 사업의 전범(典範)이 될 전망이다.
한 원전 연구원은 “반세기 전 외국 기술에 의존해 세운 발전소를 이제는 우리가 스스로 해체한다는 사실이 국산 원자력 기술의 성년식 같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댓글 0
뉴스
충격! 어린 제자를 해친 교사의 '정신감정' 주장…유가족 분노

직장결혼축의금, 정말 10만원이 상식일까? - 직장 동료 웨딩 트렌드

생후 1주 만에 버려진 아이, 참혹한 학대로 드러난 진실

10명 중 4명은 아파도 쉬기 힘들다

“술에 취해 분노 폭발?” 충격적인 가족 비극

광주 금호타이어 대형화재 - 도심을 휩쓰는 검은 연기

프랑스 한복판에서 벌어진 충격적 차별…한국 여성 스트리머 향한 분노

“국가 책임 뒤집혔다” – 포항 지진 배상 소송 2심 판결의 반전

연돈볼카츠 점주들 울분 폭발 - 백종원, 뒤늦은 대책 불러온 후폭풍

고인의 계좌로 흘러간 320만 원, 결국 돌려받지 못한 난처한 사연

경악! 반도체 기술 중국 유출 사건 – AI 시대를 뒤흔든 위협적 실태

치밀하게 계획된 성탄절 살인, 10대 소년에게 내려진 무거운 심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