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세기 전 첫 불을 밝힌 고리 1호기, 드디어 해체 카운트다운

반세기 전 첫 불을 밝힌 고리 1호기, 드디어 해체 카운트다운
1. 해체의 의미
부산 기장 장안읍 바닷가를 지켜온 원전 1호기가 26일 마침내 해체 허가를 받았다. 1972년 건설 인가가 떨어지고 1978년 4월 첫 전기를 뿜어낸 뒤, 2017년 영구 정지 결정으로 터빈이 멈춘 지 8년 만의 일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는 이날 제216차 회의에서 “최종해체계획서가 기술‧환경 기준을 충족한다”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심사 결과를 토대로 승인안을 의결했다. 원전 운영사인 한국수력원자력이 2021년 신청서를 낸 지 4년 만에 퍼즐이 맞춰진 셈이다.
국내 첫 상업 원전을 실제로 해체한다는 점에서 이번 결정은 단순한 설비 폐기가 아닌, 원전 해체 산업의 제로(0)에서 원(1)으로의 도약으로 평가된다. 정부와 업계는 500조 원 규모로 추산되는 글로벌 시장 진출의 ‘시동 버튼’이 눌렸다고 해석한다.
2. 과정과 전망
해체 작업은 서류 인가가 끝이라고 해서 곧바로 굴착기가 투입되는 일은 아니다. 먼저 사용후핵연료를 임시 저장할 별도 시설이 지어져야 한다. 이 공정에만 최소 5년이 걸린다. 이후 압력용기 절단, 방사성 폐기물 분류‧이송, 부지 복원까지 총 12년, 비용은 약 1조 713억 원으로 잡힌다.
전문가들은 2037년 완료 시점을 목표로 잡지만, “예정된 열차가 선로를 갈아타듯 단계별 관리가 중요하다”며 변수에 대비한 유연한 일정 관리가 필수라고 강조한다.
고리 1호기가 남긴 기술·노하우 역시 무시할 수 없다. 587 MWe 가압경수로(PWR)라는 ‘올드 모델’이지만, 실제 해체 과정에서 축적될 경험은 앞으로 예정된 월성 1호기 등 후속 사업의 전범(典範)이 될 전망이다.
한 원전 연구원은 “반세기 전 외국 기술에 의존해 세운 발전소를 이제는 우리가 스스로 해체한다는 사실이 국산 원자력 기술의 성년식 같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댓글 0
뉴스
통일교 심장부·권성동 사무실 동시 압색…‘김건희 특검’ 전면전

‘사법 족쇄 완전 해제’ 이재용 무죄 확정…재계 ‘숨통 트였다’

특검‧윤석열, ‘법정 한판승’ 향해 달아오른 구치소 전선

두 번 제동 걸린 윤석열 인치 지휘…특검, ‘강제 이동’ 새 카드 만지작

윤석열 전 대통령, 특검 강제구인에 ‘문 잠근 하루’…내일이 기로

돌아선 측근들에 막힌 길…윤석열 전 대통령 수세 몰리다

특검, 14일 윤석열 소환…“이젠 법정으로 나올 차례”

“14일엔 반드시 나와라” 특검의 최후통보

새벽 수갑, 빈 피고인석…윤석열 구속이 몰고 온 사법 태풍

내년 시간당 법정최저보수, 1만 원 턱걸이 인상폭 ‘1.8% vs 4.1%’

“잿빛 철문 앞에서” — 윤석열 前 대통령, 내란 혐의 영장심사 전말

긴장 속 재소환, 윤 전 대통령과 특검의 일촉즉발

초읽기 돌입한 특검, 윤 전 대통령 겨냥 ‘숨가쁜 하루’

“최저임금 막판 줄다리기” — 11,140원 vs 10,130원, 숨가쁜 1,010원의 격전

치열한 줄다리기 끝… 윤석열, ‘내란특검’ 5일 전격 출석 예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