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그리넷

정치

미국 시장 휘청, 관세 후폭풍에 흔들리는 자동차 수출

M
관리자
2025.05.20 추천 0 조회수 1446 댓글 0

미국 시장 휘청, 관세 후폭풍에 흔들리는 자동차 수출

관세 후폭풍 속 대미 자동차 수출 급감, 돌파구는 어디인가

1. 북미에서 불어닥친 거센 충격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해온 무역 장벽 강화가 현실화되면서 국내 자동차 업체가 큰 어려움에 직면했다. 지난 4월 한 달 동안 미국으로 향한 자동차 수출 규모는 약 65억 3000만 달러로 집계되었는데, 이는 작년 같은 시점 대비 19.6% 줄어든 수치다.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누적된 대미 수출 역시 전년 대비 13.6% 감소하여, 업체들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최근 발효된 관세가 영향을 주는 한편, 미국 내 조지아 신규 공장이 본격 가동되면서 국내 공장에서 생산된 물량이 줄어든 것도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이처럼 예기치 않은 변수들이 한꺼번에 겹쳐 북미 시장 공략 전략을 재정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 유럽·아시아 시장, 희망의 불씨 지피다



 

미국 시장의 후퇴를 어느 정도 만회해준 것은 유럽을 비롯한 아시아 지역의 호조세다. 기아에서 선보인 EV3와 현대차의 캐스퍼EV 등 전기차 라인업이 유럽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얻어, 작년 동월보다 26.7%나 높은 수출 실적을 달성했다. 전동화 차량의 높은 활용도와 친환경 정책 강화 분위기가 맞물리면서, 유럽은 여전히 국내 브랜드의 주요 승부처로 주목받고 있다.



 

이와 더불어 아시아 지역도 상승 흐름을 탔다. 4월 기준 아시아 수출액은 약 6억 81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무려 53.9% 증가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최근 시리아와의 공식 외교 관계를 맺으면서 신시장 개척에 유리해진 점이 높은 성장률의 배경으로 거론된다.



 

3. 국내 생산과 내수 시장의 움직임



 

지난달 국내 완성차 생산량은 약 38만 6000대로, 일년 전보다 2.2%가량 감소했다. 예상보다 심한 낙폭은 아니지만, 북미 수출길이 좁아진 데 따른 불확실성이 여전히 존재한다는 평가다. 반면 내수 판매량은 15만 1000대로 추산되어 전년 대비 6.7%나 늘어났다.



 

특히 전기차 부문은 무려 50% 이상 증가했고, 하이브리드 모델도 30% 가까운 상승세를 보이며 친환경 차량이 내수 시장을 견인했다. 정부 지원책과 인프라 확대 움직임이 맞물려, 전동화 차량 판매량이 꾸준히 오르고 있다는 점이 고무적이다.



 

4. 전체 수출 흐름과 남은 과제



 

전반적인 실적을 살펴보면 4월 자동차 총 수출액은 작년보다 3.8% 감소했다. 북미발 관세 충격이 꽤 큰 타격을 주었지만, 다른 지역에서의 수출 선전에 힘입어 완전히 무너지지는 않은 모습이다. 이제 국내 자동차 업계는 시장 다변화와 기술 경쟁력을 동시에 추구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전문가들은 새 공장 설립과 관세율 변동 등 다양한 변수에 긴밀히 대응하여, 미국에 집중됐던 전략을 더욱 세분화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향후 친환경차와 미래 모빌리티 분야에서도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해야, 관세 풍랑을 뚫고 글로벌 시장에서 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댓글 0

뉴스

전체 정치 경제 사회 생활/문화 IT/과학 세계이슈 연예 건강
세계이슈

‘지미 키멜 라이브’ 전격 중단…트럼프 “미국엔 반가운 일”

M
관리자
조회수 451
추천 0
2025.09.19
‘지미 키멜 라이브’ 전격 중단…트럼프 “미국엔 반가운 일”
세계이슈

美 연준, 금리 인하 사이클 돌입…글로벌 증시 ‘랠리 모드’ 시동

M
관리자
조회수 405
추천 0
2025.09.18
美 연준, 금리 인하 사이클 돌입…글로벌 증시 ‘랠리 모드’ 시동
세계이슈

“가자시티로 밀고 들어간 이스라엘” — 밤사이 집중 공세, 전차까지 투입

M
관리자
조회수 416
추천 0
2025.09.17
“가자시티로 밀고 들어간 이스라엘” — 밤사이 집중 공세, 전차까지 투입
세계이슈

틱톡 매각 합의로 급물살 탄 미·중 협상…트럼프-시진핑 19일 통화 예정

M
관리자
조회수 364
추천 0
2025.09.16
틱톡 매각 합의로 급물살 탄 미·중 협상…트럼프-시진핑 19일 통화 예정
세계이슈

“커크를 겨냥한 총탄 이후” 용의자 주변 정황 드러나지만, 동기는 여전히 안갯속

M
관리자
조회수 484
추천 0
2025.09.15
“커크를 겨냥한 총탄 이후” 용의자 주변 정황 드러나지만, 동기는 여전히 안갯속
세계이슈

사도광산 추도식, 또다시 ‘강제동원’ 외면…2년째 반쪽 행사 논란

M
관리자
조회수 538
추천 0
2025.09.14
사도광산 추도식, 또다시 ‘강제동원’ 외면…2년째 반쪽 행사 논란
세계이슈

“서명하거나 부담하라” 러트닉의 최후통첩… 한·미 통상 줄다리기 격화

M
관리자
조회수 548
추천 0
2025.09.13
“서명하거나 부담하라” 러트닉의 최후통첩… 한·미 통상 줄다리기 격화
세계이슈

“관세로 세계를 흔들 수 없다” 시진핑, BRICS서 직격탄

M
관리자
조회수 501
추천 0
2025.09.09
“관세로 세계를 흔들 수 없다” 시진핑, BRICS서 직격탄
세계이슈

“누가 달러 왕관을 쓸까” 파워볼 잭팟, 18억 달러 목전

M
관리자
조회수 570
추천 0
2025.09.07
“누가 달러 왕관을 쓸까” 파워볼 잭팟, 18억 달러 목전
세계이슈

“머나먼 비보에 침통”…리스본 전차 참사에 이재명, 전폭 지원 지시

M
관리자
조회수 631
추천 0
2025.09.05
“머나먼 비보에 침통”…리스본 전차 참사에 이재명, 전폭 지원 지시
세계이슈

“질서 재편, 함께 가겠다” 베이징서 맞잡은 러·중의 계산

M
관리자
조회수 656
추천 0
2025.09.02
“질서 재편, 함께 가겠다” 베이징서 맞잡은 러·중의 계산
세계이슈

김정은, 시진핑·푸틴과 톈안먼 나란히…새 외교 무대의 시작

M
관리자
조회수 674
추천 0
2025.08.28
김정은, 시진핑·푸틴과 톈안먼 나란히…새 외교 무대의 시작
세계이슈

“싱가포르서 韓-美 의회 맞손, 주한미군 철통 유지 재확인” - 한미동맹, 기술협력 가속

M
관리자
조회수 1033
추천 0
2025.06.02
“싱가포르서 韓-美 의회 맞손, 주한미군 철통 유지 재확인” - 한미동맹, 기술협력 가속
세계이슈

“보안 허점 드러난 디올·티파니” - 개인정보 유출 파문

M
관리자
조회수 1060
추천 0
2025.06.02
“보안 허점 드러난 디올·티파니” - 개인정보 유출 파문
세계이슈

머스크 ‘마약 중독’설 정면 반박 – 케타민 처방의 진실과 정치적 파장

M
관리자
조회수 1077
추천 0
2025.06.01
머스크 ‘마약 중독’설 정면 반박 – 케타민 처방의 진실과 정치적 파장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