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리한 카드론 확장, 금감원 경고까지? - 현대카드 위험신호

무리한 카드론 확장, 금감원 경고까지? 현대카드 위험신호
1. 가파른 대출 상승 폭, 저신용층 집중
최근 금융권 안팎에서는 현대카드가 급전 대출로 쓰이는 카드론 비중을 지나치게 높였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여신금융협회 통계에 따르면, 현대카드의 카드론 잔액은 2023년 말 약 4조7천억 원 수준이었지만 다음 해 9월에는 5조6천억 원대로 올라서면서 18% 이상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업계 평균 증가율이 7.5% 안팎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현대카드의 상승 곡선이 두드러진 셈입니다.
특히 눈여겨볼 대목은 카드론을 이용하는 저신용자 비율이 가파르게 늘고 있다는 것입니다. 경기 침체와 금리 부담에 허덕이는 계층이 몰려들면서, 다중채무자 잔액도 덩달아 커지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은 해당 추세를 심각하게 바라보고 있으며, 무작정 한도를 크게 설정하거나 금리 혜택을 과도하게 부여하지 말 것을 강조했습니다. 이는 서민금융을 지원한다는 명목이 지나치게 상업적 목표와 결합되어, 결과적으로 취약 차주들의 부채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해석됩니다.
2. 금융당국의 지적과 현대카드의 대응
금융감독원은 최근 정기검사를 통해 현대카드가 저신용자 중심으로 대출 포트폴리오를 확장하는 상황을 주시하고, 내부 통제를 한층 강화하라고 권고했습니다. 경영 유의 사항은 총 여덟 건, 개선 권고는 열다섯 건에 달하며, 현대카드는 각각 3개월과 6개월 내에 개선 결과를 보고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당국은 업체가 신용 등급에 맞춰 대출액과 금리를 꼼꼼히 차등화하지 않을 경우, 향후 카드업계 전반의 건전성까지 위협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아울러 금융소비자 보호 측면에서도 여러 가지 지침이 내려졌습니다. 이를테면, 마케팅 비용을 제휴사와 분담할 때 너무 일방적으로 떠안지 않고 합리적 기준을 세우라는 지적이 포함됐습니다. 또 고객 정보를 취급하는 과정 전반에 걸쳐 부적절한 유출이나 남용이 없도록 조직 구조와 처리 절차를 내규에 반영해 내부 통제를 확립하라는 당부도 곁들여졌습니다. 현대카드는 이에 대해 “위험 관리 체계를 더욱 공고히 다져, 건전성 유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댓글 0
뉴스
김건희 구속 후 첫 소환…'집사 게이트' 수사 향방 주목

이재명 정부, 금융당국 첫 지휘부 확정…이억원-이찬진 ‘투톱 체제’ 가동

이재명 정부 5개년 청사진 발표…123개 과제·23개 전략 공개

김건희 구속심사 종료…밤늦게 운명 가를 법원 판단 임박

삼성전자, 세계 최초 마이크로 RGB TV로 기술 초격차 선언

李대통령, 취임 82일 만에 트럼프와 첫 정상회담

김건희 특검, 848쪽 의견서로 구속영장 심사 정면 돌파

5000만원 이하 연체자, 올해 안 갚으면 신용이력 '싹' 지워준다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취임 후 최저치 기록…이유는?

헌정사 첫 동시 구속? 김건희 구속심사, 12일 열려

포스코이앤씨 사고 현장 긴급 점검…장인화 회장, “원인 뿌리까지 파헤친다”

안철수, 전한길 정면 비판…“당 존립 위협하는 길”

TK 합동연설장을 뒤집은 ‘배신자’ 함성…전한길 돌출 행동에 당권주자들 “제지 필요”

‘증거는 숨길 수 없었다’…김건희 핵심 측근 이종호 전격 구속

‘규제 덩어리’에 숨 막힌 기업, 정부 “싹 뜯어고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