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카드 ‘해킹 파문’…국회 소환·정부 최고수준 제재 경고

롯데카드 ‘해킹 파문’…국회 소환·정부 최고수준 제재 경고
1. 개인정보 유출 사태, 정치권 직격탄
최근 롯데카드에서 발생한 해킹 사고로 인해 최대 300만 명에 달하는 고객의 개인정보가 외부로 새어 나간 사실이 드러났다. 이는 신용카드 사용자가 일상에서 은행 계좌만큼 의존하는 만큼 충격파가 크다는 평가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여야 의원들은 사건의 책임 소재와 보안 부실 여부를 집중적으로 따져 묻기 위해 긴급 간담회를 열었다.
2. 국회, MBK 김병주 회장 소환 가능성 시사
여당 의원들은 롯데카드의 모회사인 MBK파트너스의 수장 김병주 회장을 국정감사 증인으로 불러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김상훈 의원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국감 일정을 조정해서라도 반드시 출석하도록 하라”며 강경한 태도를 보였고, 동행명령장 발부 가능성까지 언급했다. 이는 단순한 금융사고가 아닌 국민 신뢰를 뒤흔드는 사건이라는 인식에서 비롯됐다.
3. 롯데카드의 사과와 대응 약속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이사는 의원들과의 간담회에서 “고객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재발을 막기 위한 근본적 방안을 신속히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사고 경위와 정보 유출 범위, 보상책까지 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 강조했지만, 이미 유출된 데이터가 어떤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을지 불안은 여전하다.
4. 정부, 강도 높은 제재 예고
금융위원회는 이번 사태를 단순 사고가 아닌 제도 전반의 경고 신호로 규정했다. 김동환 디지털금융정책관은 “일벌백계 원칙에 따라 최고 수위의 행정처분을 내릴 것”이라며 전 금융권을 대상으로 한 전산망 재점검을 약속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역시 신용정보법과 개인정보보호법 적용을 검토하며 한국인터넷진흥원 등 전문 기관과 합동 조사에 착수했다.
5. 국민 불안과 향후 과제
전문가들은 이번 사건이 단순히 한 기업의 보안 실패로 끝나서는 안 된다고 지적한다. 디지털 금융 환경에서 개인정보는 곧 자산이며, 유출은 금융 범죄의 단초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와 금융권 모두 기술적 보완뿐 아니라 관리·감독 체계를 전면적으로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번 사태가 제2, 제3의 사고를 막기 위한 분수령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댓글 0
뉴스
트럼프 발언에 흔들린 임신부들…美 의료계 "타이레놀 여전히 안전"

“H-1B 10만 달러” 충격파…실리콘밸리 비상 걸렸다

“H-1B 연 10만달러” 초강수… 한국 기업, 미국 사업 시계 더 흐려졌다

“경주에서 판이 커진다” 미·중 정상, APEC 회동 합의… 틱톡·무역·안보까지 줄다리기

‘지미 키멜 라이브’ 전격 중단…트럼프 “미국엔 반가운 일”

美 연준, 금리 인하 사이클 돌입…글로벌 증시 ‘랠리 모드’ 시동

“가자시티로 밀고 들어간 이스라엘” — 밤사이 집중 공세, 전차까지 투입

틱톡 매각 합의로 급물살 탄 미·중 협상…트럼프-시진핑 19일 통화 예정

“커크를 겨냥한 총탄 이후” 용의자 주변 정황 드러나지만, 동기는 여전히 안갯속

사도광산 추도식, 또다시 ‘강제동원’ 외면…2년째 반쪽 행사 논란

“서명하거나 부담하라” 러트닉의 최후통첩… 한·미 통상 줄다리기 격화

“관세로 세계를 흔들 수 없다” 시진핑, BRICS서 직격탄

“누가 달러 왕관을 쓸까” 파워볼 잭팟, 18억 달러 목전

“머나먼 비보에 침통”…리스본 전차 참사에 이재명, 전폭 지원 지시

“질서 재편, 함께 가겠다” 베이징서 맞잡은 러·중의 계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