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선 측근들에 막힌 길…윤석열 전 대통령 수세 몰리다

돌아선 측근들에 막힌 길…윤석열 전 대통령 수세 몰리다
1. 특검의 매서운 추궁, 균열 난 ‘철옹성’
불과 몇 달 전까지만 해도 “기억나지 않는다”로 일관하던 핵심 참모들이 돌연 말을 바꿨다.
김성훈 전 대통령경호처 차장은 내란 특별검사팀 조사에서 “윤 전 대통령이 체포 시 경호원들에게 총기를 노출하라고 주문했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이는 사전구속영장에 명시된 ‘총기 시위’ 정황과 정확히 맞물린다.
과거 김 전 차장은 한남동 관저 진압 작전을 몸으로 막아선 인물로 알려졌으나, 이번에는 “당시 지시를 따를 수밖에 없었다”고 태도를 급선회했다.
강의구 전 부속실장 역시 검찰 진술을 번복했다. 그는 윤 전 대통령이 계엄 선포문에 서명한 뒤 “문서는 폐기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조사 초기에는 변호인 동석 아래 “서명을 본 적 없다”고 했다가, 변호인이 빠지자마자 결정적 진술이 쏟아졌다.
특검은 “답변을 유도하는 ‘원포인트 입회’가 사라지자 진술이 달라졌다”며 구속 필요성을 강조했다.
2. ‘VIP 격노’ 재소환…이어지는 도미노
윤석열 정부에서 안보 컨트롤타워로 통하던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도 등을 돌렸다. 2023년 7월 31일 대통령실 회의에서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지휘관을 하겠나”라는 격노를 들었다는 증언을 내놨다.
그는 지난해 국회에서 “화를 직접 듣지 못했다”고 했지만, 특검 앞에서는 “화내는 소리를 들은 것 같다”고 털어놨다. ‘VIP 격노설’이 다시 불붙는 순간이다.
결국 특검 수사는 윤 전 대통령을 향해 좁혀지고 있다. 측근들의 일제 변심은 단순한 균열이 아니라 방어벽 전체를 흔드는 도미노가 됐다. 윤 전 대통령은 특검 출석 요청을 거듭 거부하며 대응 방안을 고심 중이지만, 주변의 ‘침묵 깨기’는 계속될 조짐이다.
법조계에서는 “사면초가라는 표현이 딱 맞다”며, 앞선 내란 혐의 영장 기각 후 172일 만에 다시 맞닥뜨린 구속 갈림길에서 윤 전 대통령이 어떤 선택을 할지 주목하고 있다.
댓글 0
뉴스
李대통령, 취임 82일 만에 트럼프와 첫 정상회담

김건희 특검, 848쪽 의견서로 구속영장 심사 정면 돌파

5000만원 이하 연체자, 올해 안 갚으면 신용이력 '싹' 지워준다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취임 후 최저치 기록…이유는?

헌정사 첫 동시 구속? 김건희 구속심사, 12일 열려

포스코이앤씨 사고 현장 긴급 점검…장인화 회장, “원인 뿌리까지 파헤친다”

안철수, 전한길 정면 비판…“당 존립 위협하는 길”

TK 합동연설장을 뒤집은 ‘배신자’ 함성…전한길 돌출 행동에 당권주자들 “제지 필요”

‘증거는 숨길 수 없었다’…김건희 핵심 측근 이종호 전격 구속

‘규제 덩어리’에 숨 막힌 기업, 정부 “싹 뜯어고친다”

“차명거래 파문, 책임 지겠다” ― 이춘석 의원 전격 탈당·법사위원장 사임

강제구인 데자뷔…특검 “영장 만료돼도 재발부” vs 尹 “손대면 곧바로 소송”

관세전쟁, 2라운드 시작…최태원 “끝난 줄 착각 마라”

與·진보, ‘무제한 토론’에 급브레이크…공영방송 판도 뒤집을 카운트다운

특검, 김건희 소환 D‑2…‘주가-공천-청탁’ 삼각 압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