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선 측근들에 막힌 길…윤석열 전 대통령 수세 몰리다

돌아선 측근들에 막힌 길…윤석열 전 대통령 수세 몰리다
1. 특검의 매서운 추궁, 균열 난 ‘철옹성’
불과 몇 달 전까지만 해도 “기억나지 않는다”로 일관하던 핵심 참모들이 돌연 말을 바꿨다.
김성훈 전 대통령경호처 차장은 내란 특별검사팀 조사에서 “윤 전 대통령이 체포 시 경호원들에게 총기를 노출하라고 주문했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이는 사전구속영장에 명시된 ‘총기 시위’ 정황과 정확히 맞물린다.
과거 김 전 차장은 한남동 관저 진압 작전을 몸으로 막아선 인물로 알려졌으나, 이번에는 “당시 지시를 따를 수밖에 없었다”고 태도를 급선회했다.
강의구 전 부속실장 역시 검찰 진술을 번복했다. 그는 윤 전 대통령이 계엄 선포문에 서명한 뒤 “문서는 폐기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조사 초기에는 변호인 동석 아래 “서명을 본 적 없다”고 했다가, 변호인이 빠지자마자 결정적 진술이 쏟아졌다.
특검은 “답변을 유도하는 ‘원포인트 입회’가 사라지자 진술이 달라졌다”며 구속 필요성을 강조했다.
2. ‘VIP 격노’ 재소환…이어지는 도미노
윤석열 정부에서 안보 컨트롤타워로 통하던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도 등을 돌렸다. 2023년 7월 31일 대통령실 회의에서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지휘관을 하겠나”라는 격노를 들었다는 증언을 내놨다.
그는 지난해 국회에서 “화를 직접 듣지 못했다”고 했지만, 특검 앞에서는 “화내는 소리를 들은 것 같다”고 털어놨다. ‘VIP 격노설’이 다시 불붙는 순간이다.
결국 특검 수사는 윤 전 대통령을 향해 좁혀지고 있다. 측근들의 일제 변심은 단순한 균열이 아니라 방어벽 전체를 흔드는 도미노가 됐다. 윤 전 대통령은 특검 출석 요청을 거듭 거부하며 대응 방안을 고심 중이지만, 주변의 ‘침묵 깨기’는 계속될 조짐이다.
법조계에서는 “사면초가라는 표현이 딱 맞다”며, 앞선 내란 혐의 영장 기각 후 172일 만에 다시 맞닥뜨린 구속 갈림길에서 윤 전 대통령이 어떤 선택을 할지 주목하고 있다.
댓글 0
뉴스
취임 23일 만에 ‘6억 스톱’…이재명式 대출 쇼크가 몰려온다

반세기 전 첫 불을 밝힌 고리 1호기, 드디어 해체 카운트다운

SK엔무브 네껀째 좌절, ‘코리아 디스카운트’ 판 흔드나

첫 단추 끼운 한‧미 통상 대화, 관세 장벽 넘어 협력 시동

‘유리천장 깨부순’ 한성숙, 네이버 첫 女 CEO에서 중기부 수장으로

“움직이는 청정 발전소” 디 올 뉴 넥쏘

LG, 1조2600억 ‘파주 올인’…조 단위 국내 투자 본격화 신호탄

트럼프發 관세 태풍에도 하이브리드가 지킨 ‘수출 방파제’

울산 바다에 뜨는 ‘GPU 6만 장’ 데이터 함대

“관세 폭풍 맞기 전에”… 제네시스, 르망서 ‘그린 럭셔리’ 깃발 꽂다

“50% 벽” 트럼프 관세…韓 가전업계 ‘생산지도’를 다시 그리다

美, 냉장고·세탁기까지 50% 관세?…한국 가전업계 ‘태풍의 눈’

트럼프의 ‘마감 카운트다운’…이재명式 통상외교, G7에서 승부수

G7 무대에 울린 '서울‑브뤼셀 핫라인'…경제·기후·안보 三각축 재편

치솟는 치킨값 진정될까? 브라질 닭고기 수입 재개 조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