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판 요동...김문수, 이준석 향해 깜짝 러브콜 - 김문수 이준석 단일화
서울시청에서 진행된 한 토론회가 뜻밖의 만남으로 뜨겁게 달아올랐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직접 주관한 이 행사에는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와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 후보가 나란히 참석해 눈길을 사로잡았다. 두 사람은 같은 보수 진영에서 활동하던 과거가 있지만, 여러 논란으로 갈라진 뒤 공식 석상에서 함께 서는 경우가 드물었다.
김 후보는 축사 도중 이 후보를 향해 공개적으로 손을 내밀었다. 그는 “원래 같은 배를 탔던 인물”이라며, 당 내부 사정 탓에 이 후보가 밖에서 고생 중이라는 점을 언급했다. 그 말 한마디에 행사장 곳곳이 긴장감보다 오히려 묘한 기대감으로 가득 찼다.
모두 발언이 끝나고도 김 후보의 러브콜은 계속됐다. 청년 정책 공약 발표를 마친 뒤 기자들 앞에서 “이준석 후보가 비록 당적을 달리해도 여전히 우린 같은 생각을 공유한다”고 힘주어 말한 것이다. 이어 “잠시 갈라진 것이지, 근본적으로 한 팀이라 믿는다”고 강조해 주변을 또 한 번 술렁이게 만들었다.
이번 만남에서는 최근 TV 토론 이야기도 빠지지 않았다. 김 후보는 “어제 방송을 지켜본 많은 이들이 MVP로 이 후보를 꼽았다”면서, 비유하자면 단 한 번의 파격 타석으로 홈런을 친 선수 같다고 치켜세웠다. ‘인물과 정책 모두를 속속들이 꿰고 있다’는 점을 반복해 언급하며, 당의 혁신성을 상징하는 대표 주자였다고 높게 평가했다.
실제로 이 후보는 보수 진영에 신선한 에너지를 불어넣는 인물이라는 평가가 많다. 김 후보의 연이은 찬사는 과거의 갈등이 봉합되고, 대선 레이스에서 보수 진영이 힘을 합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하는 대목으로 해석됐다.
그러나 이 후보는 이에 대해 즉답을 피했다. 정책적 공통분모를 인정하면서도, “함께한다고 해서 이길 수 있는 시나리오가 나오지는 않는다”며 선을 그었다. 그는 곧바로 포퓰리즘을 지적하며, “지나치게 단순화된 현금 지원이 아니라 섬세한 제도 설계를 고민해야 할 때”라고 환기를 시켰다.
행사 주최자인 오세훈 시장은 일찍이 서울시 내 취약계층을 돕기 위한 ‘디딤돌 소득’ 등 맞춤형 정책을 제시해 왔다. 이에 대해 이 후보는 “이런 제도가 결국 전국적 확산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고, 김 후보 역시 “더 폭넓은 지원이 이루어지면 좋겠다”고 화답했다.
삼양동과 상계동 등 대표적인 서민 지역 출신이라는 공통점도 부각됐다. 김 후보까지 포함해 ‘낮은 곳에서 출발해 지금의 정치적 위치에 이르렀다’는 서사로 묶이며, 어려운 환경에서도 기회를 놓치지 않은 사례로 회자됐다. 이들은 “지금 세대가 우리의 경험을 이어받아 더 나은 미래를 만들기를 바란다”며 대화를 마무리했다.
댓글 0
뉴스
“관세 장벽을 허물다” 삼성·현대차·한화의 숨은 교섭 시나리오

포스코이앤씨, 다섯 번의 비극 끝에 대통령 직격탄 맞다

테슬라 23조 수주, 삼성 파운드리 반격의 서막

中 AI 파고에 맞서라, 韓 제조업의 돌파구는 ‘데이터 동맹’

中 추격 속 ‘제조 AI 생존전략’…한·일 데이터 공조 절실

“발목에서 날개로” 무죄 확정 후 삼성, 한국경제 도약의 점화 스위치를 켜다

삼성·LG, 녹색 기술로 무장해 ‘에너지 위너상’ 정상에 서다

반값 ‘프리미엄 라이트’로 승부수…유튜브, 韓 동영상 구독 시장 뒤흔든다

소비심리 폭주…‘소비쿠폰+여름휴가’에 3분기 유통경기 4년 만에 활짝

직장인 여름휴가, 평균 3.7일…7월 말 ‘엑소더스’ 예고

17년 만에 다시 열린 협상의 문, 최저임금 ‘극적 합의’의 전말

내년 최저임금 ‘합의 타결’…현장엔 무거운 탄식

롯데·메가박스, CGV 넘볼 ‘스크린 전쟁’ 시작됐다

주가조작 단번에 퇴출… 불공정 거래 ‘원스트라이크 아웃’ 전면 시행

美 관세 칼날에 흔들린 삼성·LG, 반도체·가전 양축 모두 타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