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그리넷

경제

대만을 향한 美 기업들의 AI 폭격, 한국 산업계의 선택지는?

M
관리자
2025.05.20 추천 0 조회수 672 댓글 0

대만을 향한 美 기업들의 AI 폭격, 한국 산업계의 선택지는?

대만을 향한 美 기업들의 AI 폭격, 한국 산업계의 선택지는?

1. 새로운 기회의 땅이 된 대만

미국의 거대 기술 업체들이 인공지능(AI) 분야 투자처로 대만을 낙점하면서, 전 세계 산업 지형이 다시 한번 재편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특히 현지에서는 대만을 중심으로 슈퍼컴퓨팅 자원과 설비를 본격 확대하며, 동아시아 AI 생태계를 한층 고도화하려는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 최근 컴퓨텍스 2025 무대에 나선 주요 칩 제조사들은 차세대 가속기와 관련 인프라 구축 의지를 피력하며, 대만의 영향력을 높이 평가하는 발언을 줄줄이 내놓았다.



 

업계에 따르면 이 같은 대만 중심 전략은 TSMC로 대표되는 글로벌 파운드리 생태계가 촘촘하게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시스템 반도체 생산부터 패키징 단계까지 원스톱으로 해결 가능한 구조가 대만에 마련되어 있어, 미국 빅테크들은 생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이들은 현지 업체와 긴밀하게 협력하면서, AI 제조와 테스트 단계를 빠르게 끌어올리는 데 집중하고 있다. 이런 이점을 살려 대만은 이미 새로운 AI 허브로서 존재감을 부각시키고 있다.\

 

2. 국내 기업의 역할과 고민

반면, 한국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협력 구도에서 소외되는 모습이 뚜렷해지고 있다. 일부 메모리 업체가 고성능 메모리를 공급하는 정도를 제외하면, 글로벌 AI 가치사슬에 깊이 관여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상황이다. 특히 고성능 그래픽 처리장치(GPU) 분야에선 국내 업체가 자체 플랫폼을 다지는 데 아직 제한적이어서, 대만과 비교해 경쟁력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는 평이 이어진다.



 

이런 흐름은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에게도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미 테크 기업들이 대만에 거점을 넓히면, 제조 파트너로서 TSMC와의 관계를 더욱 공고히 다질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상명대학교 시스템반도체학과 이종환 교수는 “설사 파운드리 품질이 동등해지더라도, 거점이 가까운 곳과 함께하는 것이 여러모로 유리할 수밖에 없다”고 언급했다.



 

이에 국내에서는 하드웨어 자체에서 AI 연산을 수행하는 방식, 이른바 온디바이스 AI에 주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 같은 전자 제품을 만드는 제조강국으로서 역량을 살린다면, 아직 본격적으로 태동하지 않은 시장에서 기회를 찾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가천대 반도체대학 김용석 석좌교수 역시 “지금이라도 제조사와 팹리스 업체가 뭉쳐 온디바이스 AI 생태계를 키워야 한국만의 경쟁력이 생길 것”이라고 강조한다.



 

시장 전문가들은 AI 기술이 분산되고 다양화될수록, 각 지역의 산업 경쟁력이 향상될 것으로 내다본다. 따라서 국내 반도체 및 제조사는 글로벌 빅테크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대안으로, 자체적인 기술 토대를 구축해야 한다는 조언이 힘을 얻고 있다. 이제는 산업 생태계를 한층 폭넓게 바라보며, AI 혁신 플랫폼을 국내에 자리 잡도록 이끄는 전략이 절실하다는 것이다.

댓글 0

뉴스

전체 정치 경제 사회 생활/문화 IT/과학 세계이슈 연예 건강
정치

이진숙 방통위원장, 정치중립 위반 논란 속 직권면직 위기

N
M
관리자
조회수 3
추천 0
2025.08.30
이진숙 방통위원장, 정치중립 위반 논란 속 직권면직 위기
정치

장동혁 "단독회담 전제"에 민주당 "계엄 사과부터"…대통령 회동 성사 불투명

M
관리자
조회수 25
추천 0
2025.08.29
장동혁 "단독회담 전제"에 민주당 "계엄 사과부터"…대통령 회동 성사 불투명
정치

민주당-법무부 갈등, 검찰개혁 두고 긴장 고조

M
관리자
조회수 58
추천 0
2025.08.28
민주당-법무부 갈등, 검찰개혁 두고 긴장 고조
정치

“한미 조선업 대역전극” 한화, 7조 원 투자로 美 시장 재편 예고

M
관리자
조회수 87
추천 0
2025.08.27
“한미 조선업 대역전극” 한화, 7조 원 투자로 美 시장 재편 예고
정치

트럼프도 탐낸 국산 명품…이재명 대통령의 즉석 선물 화제

M
관리자
조회수 124
추천 0
2025.08.26
트럼프도 탐낸 국산 명품…이재명 대통령의 즉석 선물 화제
정치

中 특사단, 왕이 면담…시진핑 방한 요청과 ‘전략적 협력’ 강조

M
관리자
조회수 139
추천 0
2025.08.25
中 특사단, 왕이 면담…시진핑 방한 요청과 ‘전략적 협력’ 강조
정치

與 주도 '노란봉투법' 전격 가결…상법 개정안도 연속 상정

M
관리자
조회수 150
추천 0
2025.08.24
與 주도 '노란봉투법' 전격 가결…상법 개정안도 연속 상정
정치

이재명 대통령, 미·일 정상외교 전면 돌입

M
관리자
조회수 141
추천 0
2025.08.23
이재명 대통령, 미·일 정상외교 전면 돌입
정치

운명의 전당대회, 국민의힘의 미래는 어디로

M
관리자
조회수 176
추천 0
2025.08.22
운명의 전당대회, 국민의힘의 미래는 어디로
정치

이재명 “한일 약속, 국가 신뢰의 문제…위안부 합의 흔드는 건 바람직치 않아”

M
관리자
조회수 175
추천 0
2025.08.21
이재명 “한일 약속, 국가 신뢰의 문제…위안부 합의 흔드는 건 바람직치 않아”
정치

김여정 직격 후폭풍… 대통령실 “남북 공존 위한 새 길 열겠다”

M
관리자
조회수 214
추천 0
2025.08.20
김여정 직격 후폭풍… 대통령실 “남북 공존 위한 새 길 열겠다”
정치

이재명 정부, 첫 주미대사로 강경화 전 장관 내정

M
관리자
조회수 169
추천 0
2025.08.19
이재명 정부, 첫 주미대사로 강경화 전 장관 내정
정치

안철수, 광복절 사면 두고 정의봉 언급하며 민주당 직격

M
관리자
조회수 228
추천 0
2025.08.17
안철수, 광복절 사면 두고 정의봉 언급하며 민주당 직격
정치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59%…민심 변화의 배경은?

M
관리자
조회수 208
추천 0
2025.08.16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59%…민심 변화의 배경은?
정치

국힘 윤리위, 전한길에 ‘경고’…최저 수위 징계로 마무리

M
관리자
조회수 230
추천 0
2025.08.15
국힘 윤리위, 전한길에 ‘경고’…최저 수위 징계로 마무리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