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그리넷

경제

당신 모르는 154조원? 치매머니 폭증의 숨은 함정

M
관리자
2025.05.06 추천 0 조회수 775 댓글 0

당신 모르는 154조원? 치매머니 폭증의 숨은 함정
당신 모르는 154조원? 치매머니 폭증의 숨은 함정

당신 모르는 새 154조원? 치매머니 폭증의 숨은 함정

1. 고령 치매환자 자산, 벌써 GDP 6% 넘었다

 

국내에서 치매 증상이 있는 65세 이상 노인은 2023년 기준 약 124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이들 중 80%를 훌쩍 넘는 인원이 크고 작은 재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추산 결과 전체 자산 규모가 무려 154조 원까지 파악됐다. 이는 국내 국내총생산(GDP)의 6%를 훌쩍 넘어서는 수치다.

특히 한 사람당 평균 2억 원가량의 자산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치매 관련 질환으로 스스로 의사결정이 쉽지 않은 고령층의 재산 규모가 상당히 크다는 점이 재조명되고 있다. 인구 비중이 높지 않음에도 이들이 보유한 재산 총액이 매우 커서, 향후 치매머니와 관련된 다양한 법적·제도적 장치가 절실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2. 부동산과 금융자산 비중, 치매머니의 핵심

 

치매머니 속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부동산이며, 이는 전체 치매환자 자산의 약 74%에 해당한다. 금전적으로 바로 활용하기 용이한 금융자산 또한 20%를 넘기는 수준으로, 여러 방식으로 투자되어 있거나 예·적금 상태로 묶여 있는 경우가 많다.

문제는 고령층 본인이 치매 때문에 사무 처리 능력이 떨어지거나 의사결정이 어려운 상태일 경우, 가정 내 분쟁이나 사기 피해에 직면할 위험이 크다는 점이다. 게다가 이처럼 막대한 자산이 장기간 묶여 있으면 투자와 소비 선순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따라 해당 자산을 합리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신탁 상품과 공공 후견인 지원 제도의 활성화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3. 치매머니, 2050년에는 세 배 이상 급증할 전망

 

급격한 고령화가 계속되면서 치매 환자 수도 매년 크게 늘어나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금의 치매 환자 수가 2030년이면 178만여 명, 2040년경에는 285만 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내다본다. 여기에 2050년에는 치매 환자 규모가 400만 명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돼, 이로 인해 발생하는 자산 총액 역시 현재의 세 배 수준인 488조 원까지 치솟을 것으로 추산된다.

이는 해당 시점 GDP의 15%를 넘보는 수준으로, 경제 전반에 직접적인 파급력이 커질 수밖에 없다. 실제로 자산을 운용하지 못한 채 방치되거나 부적절하게 관리될 경우, 세대 간 갈등을 유발하고 경제 성장을 저해하는 등의 심각한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이에 정책 당국에서는 매년 치매머니 규모를 추적하면서 신탁 제도 개선, 후견인 확대 방안 등을 본격화하겠다고 밝혔다.



원문 보기
출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국민건강보험공단, 서울대 건강금융센터

댓글 0

뉴스

전체 정치 경제 사회 생활/문화 IT/과학 세계이슈 연예 건강
사회

3차 강제조사 시계 제로…윤석열, 침묵으로 맞서다

M
관리자
조회수 647
추천 0
2025.06.12
3차 강제조사 시계 제로…윤석열, 침묵으로 맞서다
경제

트럼프의 ‘마감 카운트다운’…이재명式 통상외교, G7에서 승부수

M
관리자
조회수 598
추천 0
2025.06.12
트럼프의 ‘마감 카운트다운’…이재명式 통상외교, G7에서 승부수
정치

이재명 대통령, 이태원 ‘숨 막힌 골목’에서 국가의 책임을 묻다

M
관리자
조회수 600
추천 0
2025.06.12
이재명 대통령, 이태원 ‘숨 막힌 골목’에서 국가의 책임을 묻다
사회

“서점이 암호화됐다”―예스24 먹통 사흘째, 고객 데이터도 ‘인질’

M
관리자
조회수 580
추천 0
2025.06.11
“서점이 암호화됐다”―예스24 먹통 사흘째, 고객 데이터도 ‘인질’
경제

G7 무대에 울린 '서울‑브뤼셀 핫라인'…경제·기후·안보 三각축 재편

M
관리자
조회수 563
추천 0
2025.06.11
G7 무대에 울린 '서울‑브뤼셀 핫라인'…경제·기후·안보 三각축 재편
정치

‘휴면 개미’에서 국정 책임자로… 이재명, 자본시장 대수술 예고

M
관리자
조회수 690
추천 0
2025.06.11
‘휴면 개미’에서 국정 책임자로… 이재명, 자본시장 대수술 예고
경제

치솟는 치킨값 진정될까? 브라질 닭고기 수입 재개 조짐

M
관리자
조회수 558
추천 0
2025.06.11
치솟는 치킨값 진정될까? 브라질 닭고기 수입 재개 조짐
정치

“내란 끝내자” 외치며 맞붙은 민주 원내대표 경선…당심은 어디로?

M
관리자
조회수 634
추천 0
2025.06.11
“내란 끝내자” 외치며 맞붙은 민주 원내대표 경선…당심은 어디로?
경제

새벽부터 멈춘 챗GPT…7시간 먹통 쇼크, 원인은 ‘폭주한 오류율’

M
관리자
조회수 582
추천 0
2025.06.11
새벽부터 멈춘 챗GPT…7시간 먹통 쇼크, 원인은 ‘폭주한 오류율’
경제

현대차 ‘더 뉴 엑시언트’ 출시 – 대형 트럭 혁신의 서막

M
관리자
조회수 561
추천 0
2025.06.11
현대차 ‘더 뉴 엑시언트’ 출시 – 대형 트럭 혁신의 서막
사회

이틀째 멈춘 예스24, 랜섬웨어 공포 속 ‘디지털 서점 블랙아웃’

M
관리자
조회수 656
추천 0
2025.06.11
이틀째 멈춘 예스24, 랜섬웨어 공포 속 ‘디지털 서점 블랙아웃’
경제

6월 첫 열흘, 반도체가 끌어올린 수출…무역수지 적자 계속 - 한국 수출입 동향

M
관리자
조회수 574
추천 0
2025.06.11
6월 첫 열흘, 반도체가 끌어올린 수출…무역수지 적자 계속 - 한국 수출입 동향
정치

‘검찰 120명 투입’ 3종 특검 돌입…정권 향한 역대급 칼날

M
관리자
조회수 657
추천 0
2025.06.11
‘검찰 120명 투입’ 3종 특검 돌입…정권 향한 역대급 칼날
사회

조계사 회의장 화재 후폭풍 총무원장 “제 불찰, 안전망 전면 재정비”

M
관리자
조회수 572
추천 0
2025.06.11
조계사 회의장 화재 후폭풍 총무원장 “제 불찰, 안전망 전면 재정비”
연예

지민·정국 전역…슈가 합류로 BTS 완전체 컴백 초읽기

M
관리자
조회수 566
추천 0
2025.06.11
지민·정국 전역…슈가 합류로 BTS 완전체 컴백 초읽기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