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시진핑·푸틴과 톈안먼 나란히…새 외교 무대의 시작

김정은, 시진핑·푸틴과 톈안먼 나란히…새 외교 무대의 시작
1. 다자 무대 첫 등장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오는 9월 3일 베이징에서 열리는 중국 항일전쟁 승전 80주년 기념 열병식에 참석한다. 이는 그가 처음으로 공식 다자 외교 현장에 모습을 드러내는 순간으로, 국제 사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일성 주석은 생전에 여러 다자 외교 행보를 이어왔으나,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김정은 위원장은 줄곧 단독 외교에 머물러 왔다. 이번 참석은 북한 외교의 궤적을 바꾸는 상징적 사건으로 평가된다.
2. 북중러 협력의 무대
기념식에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비롯해 이란, 베트남, 카자흐스탄 등 비서방권 정상들이 대거 참석한다. 김 위원장은 이들과 나란히 톈안먼 광장 성루에 서게 될 전망이다. 이는 북한이 국제적 고립 이미지를 벗어나 북중러 연대를 강조하는 정치적 무대로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막바지 국면을 맞는 시점에서 중국과 협력을 강화하려는 전략적 의도도 엿보인다.
3. 한국과의 우연한 접점?
같은 행사에 한국 대표로 우원식 국회의장이 참석할 예정이어서 남북 간 최고위급 접촉 가능성에도 시선이 쏠린다. 다만 북한은 남측을 ‘적대적 국가’로 규정하고 있어 실제 조우 가능성은 낮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자리 배치나 동선에서 의도적으로 거리를 두려 할 것이란 분석도 제기된다. 과거 2015년 전승절 행사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과 북한 측 인사가 같은 자리에 있었지만 직접적인 만남은 이뤄지지 않았던 전례가 이를 뒷받침한다.
4. 국제사회 속 북한의 새 이미지
북한은 핵과 미사일 개발로 스스로 고립을 자초해 왔지만, 이번 무대는 다른 그림을 연출한다. 김정은 위원장이 시 주석과 푸틴 대통령 옆에 서는 장면은 북한 주민뿐 아니라 국제사회에도 새로운 이미지를 각인시킬 것이다. 이는 단순한 행사 참석을 넘어 북한이 국제질서의 일부로 재편입하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동시에 중국은 미국 견제의 상징적 무대로 이 행사를 활용하며, 북한은 ‘대등한 지도자’라는 메시지를 부각하려는 셈이다.
5. 남은 변수와 파급력
이번 전승절 행사는 단순한 기념일을 넘어 국제 외교 지형의 변화를 드러내는 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 북중러 삼각 축의 결속 강화, 비서방 국가들의 연대 과시, 그리고 남북 간 잠재적 접촉 여부까지 다양한 파급 효과가 예상된다. 무엇보다 김정은 위원장이 다자 외교 무대에 본격 발을 들이면서 북한 외교의 새로운 장이 열릴지 주목된다.
댓글 0
뉴스
곳곳에서 드러난 지시 흔적… 특검 앞에 선 이종섭 전 장관

“기본급 13만5천↑·격려금 640만”… HD현대중공업, 두 번째 합의안으로 판 흔들다

“야당 지우기인가, 개헌 드라이브인가” 권성동 구속 뒤 정치권 격랑

틱톡 매각 합의로 급물살 탄 미·중 협상…트럼프-시진핑 19일 통화 예정

“2700만명 털렸다?” SKT, 해외 해커 주장 전면 부인…가짜 협박 논란 확산

“여름 퇴장 선언?” 내일·모레 전국 비…주 후반 성큼 가을

“영웅으로 포장하라” 침묵 지시 의혹… 지휘부 책임론에 불붙다

“손으로 만든 목소리” 고려아연 임직원, AAC 보드 제작해 재활현장 돕다

대통령실, "조희대 대법원장 거취 논의 없다"…정치권 해석 차단

“커크를 겨냥한 총탄 이후” 용의자 주변 정황 드러나지만, 동기는 여전히 안갯속

“한 회선으로 10대까지” 소상공인 맞춤형 쉐어 인터넷 공개

“초가을 맞나?” 낮 기온 30도권…남부는 비, 동해안은 너울

‘2시간 7분 한강 버스’ 출퇴근 교통혁신일까 관광상품일까

“열흘 만에 터진 1.2조”… 경기도 소비쿠폰이 바꾼 매출 지도

“임명 권한의 무게 돌아봐야” — 조희대 대법원장 향한 거센 퇴진 압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