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기소 임박…윤석열까지 동반 기소될까

김건희 기소 임박…윤석열까지 동반 기소될까
1. 특검, 29일 전격 기소 방침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오는 29일 김건희 여사를 법정에 세우는 방안을 사실상 확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여사의 구속기간이 31일 만료되기 전 반드시 기소 절차를 마쳐야 하는 상황에서, 특검은 윤석열 전 대통령을 공범으로 묶어 함께 기소하는 시나리오까지 다각도로 검토 중이다. 이는 단순한 개인 비리 사건을 넘어 부부 동반 수사라는 전례 없는 국면으로 번질 수 있다는 점에서 정치권과 법조계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2. 잇단 조사와 진술 거부
김 여사는 지난 12일 구속된 뒤 네 차례 소환조사를 받았지만, 대부분의 질문에 대해 묵비권으로 일관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은 이번 주 내로 최소 한 차례 더 소환해 추가 확인을 시도할 계획이다. 특히 ‘통일교 청탁 의혹’의 연결고리로 지목된 건진법사 전성배 씨를 21일 구속한 뒤 처음 불러 조사했으나, 전 씨 역시 혐의를 대체로 부인하며 수사는 여전히 공방 상태에 머물러 있다.
3. 혐의의 무게와 공범 적용 가능성
김 여사가 직면한 혐의는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자본시장법 위반), 명태균 공천 개입(정치자금법 위반), 건진법사·통일교 청탁 사건(알선수재) 등 굵직한 사안이다. 여기에 윤 전 대통령이 명태균 씨로부터 선거 과정에서 여론조사 자료를 제공받았다는 정황이 더해지면서, 특검은 부부를 뇌물수수 혐의의 공범으로 엮을 수 있는 법적 근거를 검토 중이다.
4. 윤 전 대통령과의 교차 지점
윤 전 대통령은 이미 다른 특검팀에 의해 ‘12·3 비상계엄’ 내란·외환 혐의와 직권남용 등으로 기소돼 지난 7월 재구속 상태다. 김건희 특검팀 역시 윤 전 대통령을 수차례 소환하려 했으나 불응했고, 체포영장 집행도 번번이 무산됐다. 최근에는 구치소 특혜 논란까지 불거지며 법무부가 구치소장을 교체하는 등 파장이 확대되는 모양새다.
5. 향후 전망
이번 사건은 단순히 김 여사 개인 비리 수사로 끝나지 않고, 권력의 핵심부로 파고드는 중대 갈림길에 서 있다. 만약 부부가 동시에 기소된다면 향후 법정 공방은 물론 정치적 후폭풍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이번 기소는 권력 부부 동반 책임론이 법정에서 본격 다뤄지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특검팀은 먼저 현재까지 드러난 혐의로 김 여사를 기소한 뒤, 남은 의혹들에 대해서는 추가 기소 여부를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댓글 0
뉴스
재계 상반기 보수 격차…두산·한화 고액, 삼성 무보수

이재명 정부, 금융당국 첫 지휘부 확정…이억원-이찬진 ‘투톱 체제’ 가동

삼성전자, 세계 최초 마이크로 RGB TV로 기술 초격차 선언

5000만원 이하 연체자, 올해 안 갚으면 신용이력 '싹' 지워준다

포스코이앤씨 사고 현장 긴급 점검…장인화 회장, “원인 뿌리까지 파헤친다”

‘규제 덩어리’에 숨 막힌 기업, 정부 “싹 뜯어고친다”

관세전쟁, 2라운드 시작…최태원 “끝난 줄 착각 마라”

삼성전자 임원진, 자사주 보따리로 ‘책임 경영’ 시동

“현금 대신 주식”…513억 자사주로 쏜 삼성, 무엇이 달라지나?

‘HBM4 전쟁’ 막 올랐다: 삼성은 재기 노리고, SK는 질주한다

삼성, 1c 나노 HBM4로 반격…메모리 패권 다시 흔든다

“관세 장벽을 허물다” 삼성·현대차·한화의 숨은 교섭 시나리오

포스코이앤씨, 다섯 번의 비극 끝에 대통령 직격탄 맞다

테슬라 23조 수주, 삼성 파운드리 반격의 서막

中 AI 파고에 맞서라, 韓 제조업의 돌파구는 ‘데이터 동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