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장 속 첫 한·미 통화…관세 담판 앞당길까?

긴장 속 첫 한·미 통화…관세 담판 앞당길까?
1. 20분이 만든 새 외교 지형
취임 사흘째인 지난 6일 밤, 청와대 위성전화가 울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개성 있는 축하 인사로 대화를 열었고, 이재명 대통령은 “가장 믿음직한 파트너”라는 표현으로 화답했다. 전화기 넘어 오간 20분은 평범한 의례를 넘어 한‧미 동맹의 작동 방식을 다시 짜는 출발선이 됐다.
이 대통령 측은 “동맹을 넘어 실질적 경제공동체로 진화하자”는 메시지에 방점을 찍었다고 전했다. 동시에 양국 정상은 빠른 시일 내 대면 회동을 공감하며, 다자 무대든 단독 방문이든 장소가 문제가 아니라 속도가 핵심임을 확인했다.
2. ‘원스톱 딜’에 숨은 셈법
통화의 하이라이트는 단연 관세였다.
트럼프 대통령이 꺼낸 ‘원스톱 쇼핑’이란 표현은 단순히 관세율 조정에 그치지 않는다. 무역·산업 협력은 물론 주한미군 주둔비 같은 안보 예산까지 한 장의 계약서로 묶겠다는 계산이 숨어 있다. 마치 체스를 두듯, 그는 관세라는 말을 앞세워 방위비라는 퀸을 끌어올리려는 모양새다.
한국 기업들에 이미 적용 중인 10% 기본관세와 25% 자동차·50% 철강 관세는 7월 8일까지 차등 유예가 끝난다. 연장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이 대통령은 “상호 윈윈”을 강조하며 실무팀에 ‘속도전’을 주문했다. 타이머가 돌아가는 협상장에서 한국이 선택할 카드가 무엇인지 초점이 쏠린다.
관측통들은 이달 중 캐나다 G7 또는 네덜란드 NATO 정상회의가 첫 담판 무대가 될 가능성을 높게 본다. 트럼프 대통령의 특유의 직거래 스타일을 감안하면, 정상 간 악수가 곧 초안 서명이라는 속전속결 시나리오도 배제할 수 없다.
한 외교 소식통은 “트럼프 행정부의 협상술은 긴 호흡의 마라톤이 아니라 순간 가속력이 관건인 단거리 경기”라며 “이 대통령이 가진 국내 정치적 동력과 신속 결정 능력이 첫 관문”이라고 진단했다.
댓글 0
뉴스
李대통령, 취임 82일 만에 트럼프와 첫 정상회담

김건희 특검, 848쪽 의견서로 구속영장 심사 정면 돌파

5000만원 이하 연체자, 올해 안 갚으면 신용이력 '싹' 지워준다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취임 후 최저치 기록…이유는?

헌정사 첫 동시 구속? 김건희 구속심사, 12일 열려

포스코이앤씨 사고 현장 긴급 점검…장인화 회장, “원인 뿌리까지 파헤친다”

안철수, 전한길 정면 비판…“당 존립 위협하는 길”

TK 합동연설장을 뒤집은 ‘배신자’ 함성…전한길 돌출 행동에 당권주자들 “제지 필요”

‘증거는 숨길 수 없었다’…김건희 핵심 측근 이종호 전격 구속

‘규제 덩어리’에 숨 막힌 기업, 정부 “싹 뜯어고친다”

“차명거래 파문, 책임 지겠다” ― 이춘석 의원 전격 탈당·법사위원장 사임

강제구인 데자뷔…특검 “영장 만료돼도 재발부” vs 尹 “손대면 곧바로 소송”

관세전쟁, 2라운드 시작…최태원 “끝난 줄 착각 마라”

與·진보, ‘무제한 토론’에 급브레이크…공영방송 판도 뒤집을 카운트다운

특검, 김건희 소환 D‑2…‘주가-공천-청탁’ 삼각 압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