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장 속 재소환, 윤 전 대통령과 특검의 일촉즉발

긴장 속 재소환, 윤 전 대통령과 특검의 일촉즉발
1. 7월 5일, 두 번째 대면
12·3 계엄 시도 의혹을 파헤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5일 오전 9시에 윤석열 전 대통령을 재차 호출했다. 애초 7월 1일로 지정된 일정에 불응한 윤 전 대통령 측은 “10시에 나가겠다”는 뜻을 전했으나 특검은 시간을 고수했다. 결국 “10~20분 늦더라도 9시께 출석하겠다”는 절충안이 나왔다. 검찰청사 인근은 새벽부터 취재진과 지지·반대 시위대로 북적였고, 특검 관계자는 “예정대로 진행한다”는 짧은 논평만 남긴 채 조사실 점검에 몰두했다.
특검은 최근 일주일 동안 사건 관계자들을 잇달아 불러 윤 전 대통령 관련 파일과 진술을 두텁게 쌓았다. 국방과학연구소 무인기 담당 연구원, 대통령실 전·현직 보좌진, 드론작전사령부 실무자 등이 줄줄이 출석했다. 한 특검 관계자는 “계엄 실행 경로와 지시 라인을 상당 부분 구체화했다”고 귀띔했다.
2. 쟁점: 드론·체포방해·외환까지
조사 항목은 네 갈래다. 우선 체포영장 집행 저지 과정에서 박창환 총경과 함께 경호인력을 동원했다는 특수공무집행방해 의혹이 핵심이다. 1차 조사에서 윤 전 대통령 측은 해당 총경이 질문하자 3시간 넘게 진술을 거부해 신경전이 고조된 바 있다.
두 번째는 비화폰 자료 삭제 지시다. 특검은 대통령경호법 위반 가능성을 들여다보며 “지시 경로가 확인될 경우 추가 피의자도 나올 수 있다”고 전망한다. 세 번째는 계엄 국무회의 직권남용이다. 특검은 한덕수 전 국무총리, 이주호·안덕근·유상임 각 부처 장관을 조사하며 “사후 서명으로 절차를 돌린 이유”를 캐물었다.
마지막으로 외환 혐의가 새로 테이블에 올랐다. 군 드론작전사령부에 북한 상공 투입용 무인기를 납품하는 과정에서 불법 자금이 오갔다는 의혹이다. 특검은 계좌추적과 동시에 항공기술연구원 관계자를 소환해 “드론 도입 명분이 계엄 명령서 초안과 어떻게 연결됐는지”를 집중 추궁했다.
특검과 피조사자 사이의 냉기류는 이날도 이어질 공산이 크다. 박지영 특검보는 브리핑에서 “체포 관련 신문은 박 총경이 맡는 것이 원칙”이라며 교체 요구를 일축했다. 윤 전 대통령 측은 “성실히 답하되 부당한 절차에는 목소리를 내겠다”고 맞섰다. 양측의 힘겨루기가 조사 속도를 좌우할 전망이다.
댓글 0
뉴스
“수사 더 탄력”… 해병 특검, 13명 추가 파견 요청

“헤마타이트가 국가 전략기술로”… 고려아연, 아연 공급망의 중심에 서다

“나가도 된다” vs “굳이 갈 일 아니다” — 김현지 국감 출석을 놓고 갈라진 여당 기류

“7년 만의 멈춤” 미 연방 행정 중단…돈·하늘·데이터가 동시에 흔들렸다

“5만8천원에 5G 무제한” SKT, 자급제만 겨냥한 ‘에어’로 판 흔든다

KGM, 9월 1만636대 ‘점프’…친환경 라인업·픽업 돌풍이 끌었다

“검찰청 해체 여파” 파견 검사 전원 복귀 요청… 특검, “수사·공소유지 흔들림 없다”

“기프티콘 수수료 떠넘기고 장비 강매”…메가커피에 공정위 과징금 22.92억

“3천 명 한꺼번에 민주당 입당” 의혹…김경 반박·탈당, 與는 고발 추진

“영구 핵보유” 주장에 맞선 외교부 메시지: 한반도 비핵화는 여전히 ‘기준점’

“AI 도입의 막힘을 뚫다” 코오롱베니트, 통합 플랫폼 ‘프롬튼’ 전격 공개

짙은 안개에 숨은 함정, 낮밤 급격한 온도 차 대비법

“연애, 돈, 침묵의 1년” 김치냉장고 속에 감춰진 진실

“합쳐도 내 마일은 안전할까?” 아시아나 포인트, 10년 보호와 전환 공식 총정리

“부산으로 간 이시바”… 셔틀외교를 현실로 만드는 시험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