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전쟁, 2라운드 시작…최태원 “끝난 줄 착각 마라”

관세전쟁, 2라운드 시작…최태원 “끝난 줄 착각 마라”
1. 협상 뒤에 숨어있는 변수
“축하 인사는 짧게, 점검은 길게.”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접견실에서 최태원 회장이 꺼낸 첫마디다. 지난달 30일 전격 타결된 한·미 관세 협상이 “얼음장 같은 불확실성 한 겹을 걷어낸 데 그쳤다”는 의미다. 그는 협상 결과를 외과수술에 빗댔다. 칼을 뗐다고 곧바로 퇴원할 수 없듯, 재발 방지를 위한 복약과 재활―곧 디테일이 남았다는 취지다. “통상 환경, 산업 전략, 대미 관세 세율까지 모든 톱니바퀴가 맞물려 돌아가야 진짜 끝”이라며 “미세한 공차 하나가 산업엔 큰 진동으로 번진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회의장을 찾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고개를 끄덕였다. “큰 산 하나는 넘었지만 이제 막 회복실로 옮겨온 상황”이라며 “AI·배터리·친환경 설비 같은 차세대 전장(戰場)에서 우리 기업이 다시 상처 입지 않도록 방어막을 두텁게 하겠다”고 답했다. 두 사람은 “한·미 관세공동위원회 상설화” 등을 거론하며 후속 로드맵을 점검했다.
2. 산업 지형 재편의 첫 단추
재계는 이번 관세 휴전(休戰)을 ‘긴 장마 속의 소강(小康) 구간’으로 본다. 철강·화학·자동차 등 주력 업종이 빗줄기 속에서 숨 돌릴 틈을 얻었지만, 이 틈을 미래 산업지도 설계에 쓰지 못하면 다시 폭우가 들이닥칠 수 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통상은 한 발 늦으면 전선(戰線)이 수백 ㎞ 밀린다”며 “디커플링이 아닌 리커플링 전략으로 공급망을 재코딩해야 한다”는 말로 대응 속도를 주문했다.
전문가들은 관세협상을 계기로 ‘한·미 첨단 동맹’ 청사진을 구체화할 호기라고 본다. 탄소국경조정, 반도체 보조금 가이드라인 등 예고된 시험대가 줄지어 있기 때문이다. 최 회장은 “산업·통상·기후 이슈가 얽힌 경제지도에서 길을 읽지 못하면 방향키가 잠긴 배가 된다”며 “정부와 기업이 정보 레이더를 공유해 리스크를 실시간으로 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재계 전체가 ‘관세 2차 방정식’을 풀어야 할 시점이라는 뜻이다.
댓글 0
뉴스
오픈AI 서울 법인 출범, 국내 AI 생태계 뒤흔들까?

국내 통신망 뒤흔든 대규모 해킹 스캔들 - SKT·KT·LGU+ 보안 비상

“1억 육박? 통일교가 건넸다는 고가 선물 미스터리” - 김건희, 건진법사, 그리고 수상한 가방

김문수, 지방분권 헌법화·행정수도 확장 '대형 구상' 공개

비상계엄 수사, 원격삭제 의혹

돌연 제동 걸린 '대법원 개혁'…중도층 붙잡으려는 이재명 전략은?

국회 진입 지시 녹취 파문 - 내란 혐의 법정 공방

법원 내부 갈등 폭발? “대선 앞두고 잠시 숨 고르기” - 전국법관대표회의 논란

대법관 증원 논란, 이재명은 선 긋기 - 대선판 뒤흔드는 새로운 국면

깜짝 떡 선물” 소동…이준석 어머니의 한 행동이 불러온 파문

이재명, 외교 지형 뒤흔들 선언! 한미일 공조와 국익 보호 방안 전격 공개

이준석, ‘노무현 정신’ 두고 파격 선언…이재명에 날 선 지적

비법조인 대법관 논란, 갑작스러운 철회로 종결되나?

이준석, “노무현 재단 장학금 받은 적 없다” 논란에 강력 경고

이재명, ‘내란 동맹’ 폭로…김문수·이준석 극우 행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