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전쟁, 2라운드 시작…최태원 “끝난 줄 착각 마라”

관세전쟁, 2라운드 시작…최태원 “끝난 줄 착각 마라”
1. 협상 뒤에 숨어있는 변수
“축하 인사는 짧게, 점검은 길게.”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접견실에서 최태원 회장이 꺼낸 첫마디다. 지난달 30일 전격 타결된 한·미 관세 협상이 “얼음장 같은 불확실성 한 겹을 걷어낸 데 그쳤다”는 의미다. 그는 협상 결과를 외과수술에 빗댔다. 칼을 뗐다고 곧바로 퇴원할 수 없듯, 재발 방지를 위한 복약과 재활―곧 디테일이 남았다는 취지다. “통상 환경, 산업 전략, 대미 관세 세율까지 모든 톱니바퀴가 맞물려 돌아가야 진짜 끝”이라며 “미세한 공차 하나가 산업엔 큰 진동으로 번진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회의장을 찾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고개를 끄덕였다. “큰 산 하나는 넘었지만 이제 막 회복실로 옮겨온 상황”이라며 “AI·배터리·친환경 설비 같은 차세대 전장(戰場)에서 우리 기업이 다시 상처 입지 않도록 방어막을 두텁게 하겠다”고 답했다. 두 사람은 “한·미 관세공동위원회 상설화” 등을 거론하며 후속 로드맵을 점검했다.
2. 산업 지형 재편의 첫 단추
재계는 이번 관세 휴전(休戰)을 ‘긴 장마 속의 소강(小康) 구간’으로 본다. 철강·화학·자동차 등 주력 업종이 빗줄기 속에서 숨 돌릴 틈을 얻었지만, 이 틈을 미래 산업지도 설계에 쓰지 못하면 다시 폭우가 들이닥칠 수 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통상은 한 발 늦으면 전선(戰線)이 수백 ㎞ 밀린다”며 “디커플링이 아닌 리커플링 전략으로 공급망을 재코딩해야 한다”는 말로 대응 속도를 주문했다.
전문가들은 관세협상을 계기로 ‘한·미 첨단 동맹’ 청사진을 구체화할 호기라고 본다. 탄소국경조정, 반도체 보조금 가이드라인 등 예고된 시험대가 줄지어 있기 때문이다. 최 회장은 “산업·통상·기후 이슈가 얽힌 경제지도에서 길을 읽지 못하면 방향키가 잠긴 배가 된다”며 “정부와 기업이 정보 레이더를 공유해 리스크를 실시간으로 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재계 전체가 ‘관세 2차 방정식’을 풀어야 할 시점이라는 뜻이다.
댓글 0
뉴스
中 추격 속 ‘제조 AI 생존전략’…한·일 데이터 공조 절실

“발목에서 날개로” 무죄 확정 후 삼성, 한국경제 도약의 점화 스위치를 켜다

삼성·LG, 녹색 기술로 무장해 ‘에너지 위너상’ 정상에 서다

반값 ‘프리미엄 라이트’로 승부수…유튜브, 韓 동영상 구독 시장 뒤흔든다

소비심리 폭주…‘소비쿠폰+여름휴가’에 3분기 유통경기 4년 만에 활짝

직장인 여름휴가, 평균 3.7일…7월 말 ‘엑소더스’ 예고

17년 만에 다시 열린 협상의 문, 최저임금 ‘극적 합의’의 전말

내년 최저임금 ‘합의 타결’…현장엔 무거운 탄식

롯데·메가박스, CGV 넘볼 ‘스크린 전쟁’ 시작됐다

주가조작 단번에 퇴출… 불공정 거래 ‘원스트라이크 아웃’ 전면 시행

美 관세 칼날에 흔들린 삼성·LG, 반도체·가전 양축 모두 타격

“지갑을 열면 나라가 돕는다” —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전격 해부

관세 ‘데드라인’ 초읽기…긴장감 높아진 서울·워싱턴

“또 오른다고?” 최저임금 한계선에 다가선 골목상권의 절규

라면 한 봉지 2천 원 시대, 서민 장바구니가 끓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