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까지 합세한 펫 소비 열풍 - 반려동물 관련 지출의 놀라운 상승

급증하는 펫 산업, 60대도 지갑 열린다
1. 가파르게 치솟는 반려동물 경제
최근 여러 카드 결제 데이터를 살펴보면 반려동물과 관련된 업종의 전체 이용 금액이 지난 3년간 30%가량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주요 분야는 동물병원과 반려동물용품 전문점으로 나뉘는데, 특히 동물병원의 비중이 약 75%를 차지해 여전히 높은 지출 영역으로 자리 잡고 있다. 반면 반려동물용품은 약 25% 수준이지만, 다양한 브랜드와 품목이 온라인·오프라인에서 동시에 활성화되면서 꾸준히 몸집을 불려가는 추세다.
전체 고객 수 역시 같은 기간 39% 늘어났다는 점은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생각하는 문화가 전 세대에 걸쳐 확산되고 있음을 방증한다. 최근에는 1인 가구나 젊은 층만이 아니라 폭넓은 연령대가 '펫팸(Pet+Family)'을 형성하며 시장 규모를 키우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이처럼 수요가 급증하자 동물병원 수도 과거 약 1만4천 곳에서 1만7천 곳으로 늘어나며 24%가 넘는 성장률을 보였다.
2. 고령층의 적극적 투자와 소비 성향
눈길을 끄는 점은 60대 이상의 급격한 증가폭이다. 3년 전과 비교했을 때 이들이 반려동물 관련 지출을 60%나 늘렸으며, 특히 용품 구매액이 77%나 높아져 고령층의 펫 시장 참여가 활발해졌음을 알 수 있다. 반려동물 진료 분야도 57%가량 늘어, 건강 관리에 아낌없이 지출하는 소비 패턴이 뚜렷하다.
그 외에 50대는 39%, 30대는 31%, 40대는 23%, 20대는 7% 수준으로 각각 이용 금액이 신장됐다. 전체 이용자 비중을 보면 30대가 23%로 가장 많고 20·40대가 각각 22%, 50대 20%, 60대 이상 13% 순서다. 특히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반려동물용품 구매가 64%를 차지하며 과거 대비 53% 증가했다. 오프라인 매장 구매 규모도 27%가량 성장하여 반려동물 용품 시장 전반에 활기가 도는 모습이다.
한편 온라인 품목별로 살펴보면 고양이용품 매출이 무려 81% 늘어나 같은 기간 49% 증가한 강아지용품을 앞지르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고양이를 기르는 인구가 점차 많아지고, 사료·장난감·캣타워 등 다양한 제품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난 결과로 해석된다. 더욱이 상위 10% 동물병원의 매출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62%에서 68%로 높아졌다는 점은 특정 인기 병원으로 소비가 집중되는 흐름을 보여준다.
댓글 0
뉴스
7월 경제 '트리플 상승'…소비 폭발이 경기 회복 불씨

서울 아파트 거래량 급락…대출규제 직격탄 맞았다

“범죄 각본 속 주인공이 되지 마라”…경찰, 보이스피싱 경고 영상 전격 공개

“비닐봉지 대신 절연테이프” 내달부터 보조배터리 기내 규정 확 바뀐다

대한항공, 70조 원 규모 차세대 보잉 항공기 대규모 도입

추석 대목 잡아라…백화점 3사, 선물세트 사전 예약전 돌입

‘노란봉투법’ 6개월 뒤 시행…노동시장 판도 바뀌나

AI·SMR까지…새정부, 100조 투입해 미래산업 판 뒤집는다

빌 게이츠 만난 SK·HD현대… 차세대 원전 동맹 본격 가동

한수원·웨스팅하우스, 美 원전 패권 겨냥한 합작법인 설립 눈앞

한전·한수원 '굴욕 계약' 논란…산업부 장관 "정상 협상, 불가피한 선택"

정치 리스크와 관세 부담에 흔들린 코스피 상장사 실적

월세 거래량 100만건 돌파…전세의 시대 저물고 있다

이재용 귀국, 테슬라·애플 협력으로 내년 사업 준비

비트코인 12만4000달러 돌파…급등 이끈 결정적 변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