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냉장고·세탁기까지 50% 관세?…한국 가전업계 ‘태풍의 눈’

美, 냉장고·세탁기까지 50% 관세?…한국 가전업계 ‘태풍의 눈’
1. 예고 없이 커진 관세 그림자
워싱턴에서 날아든 한 장의 관보가 시장을 뒤흔들었다. 트럼프 행정부는 기존 철강·알루미늄 규제의 범위를 냉장고, 세탁기, 식기세척기 등 철강 부품이 들어간 완제품까지 확대하며 최대 50%의 관세를 매기겠다고 못 박았다. 집행 시점은 오는 23일. 발표 하루 만에 한‧미 증시는 요동쳤고, 환율도 잠시 긴장을 나타냈다.
이번 조치는 지난 3월 ‘원자재 가치 추적 관세’가 언급된 뒤 두 달 남짓 만에 전격 확정됐다. “언제 철회될지 모른다”는 경험 탓에 업계는 발표보다 변동성 자체를 더 두려워한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4월 전 세계를 겨냥한 상호 관세를 시사했다가 불과 열흘 만에 방향을 틀어 USMCA 재협상 카드로 옮겨 간 바 있다.
2. 삼성·LG, ‘제조 라인 셔플’ 다시 불가피?
삼성전자가 2018년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에, LG전자가 테네시주에 각각 세탁기 공장을 세운 것은 세이프가드 충격을 피하기 위한 고육책이었다. 그러나 냉장고 생산은 여전히 국내·태국·멕시코 공장이 주력이라 물류비와 신규투자 부담이 동시에 커진다. KB증권은 관세가 예정대로 시행될 경우, 한국산 가전의 대미 수출액 약 38억 4,000만 달러(약 5조 2,000억 원)가 직접 타격권에 들어갈 것으로 추산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생산지를 옮기는 결단은 설비 이전비, 현지 인허가, 인력 재교육까지 비용이 눈덩이처럼 불어난다”며 “이번엔 정부 협상 결과를 지켜본 뒤 ‘절반만 옮기는’ 단계적 전략이 거론된다”고 전했다.
3. 정부·기업 공동 대응 시나리오
산업통상자원부는 13일 이승렬 산업정책실장 주재로 가전업계, 협회, 금융기관이 참여한 긴급 회의를 열어 ‘가전 공동대응 태스크포스’를 공식 가동했다. TF는 관세 적용 품목별 피해액, 부품 국산화 가능성, 중소 협력사 지원책을 주 단위로 점검한다. 정부가 트럼프 행정부와 직접 교섭에 나설 경우, 멕시코·캐나다와의 관세 재조정 논리도 참고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과거 세탁기 세이프가드와 달리 이번에는 원자재 연쇄 효과가 핵심이어서, 협상 테이블에서 ‘완제품+부품’ 패키지 딜을 시도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한다. 한편, 일각에서는 ‘인플레이션을 고려할 때 미국 소비자 부담이 커질 수 있어 정치적 부담도 존재한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댓글 0
뉴스
“수사 더 탄력”… 해병 특검, 13명 추가 파견 요청

“헤마타이트가 국가 전략기술로”… 고려아연, 아연 공급망의 중심에 서다

“나가도 된다” vs “굳이 갈 일 아니다” — 김현지 국감 출석을 놓고 갈라진 여당 기류

“7년 만의 멈춤” 미 연방 행정 중단…돈·하늘·데이터가 동시에 흔들렸다

“5만8천원에 5G 무제한” SKT, 자급제만 겨냥한 ‘에어’로 판 흔든다

KGM, 9월 1만636대 ‘점프’…친환경 라인업·픽업 돌풍이 끌었다

“검찰청 해체 여파” 파견 검사 전원 복귀 요청… 특검, “수사·공소유지 흔들림 없다”

“기프티콘 수수료 떠넘기고 장비 강매”…메가커피에 공정위 과징금 22.92억

“3천 명 한꺼번에 민주당 입당” 의혹…김경 반박·탈당, 與는 고발 추진

“영구 핵보유” 주장에 맞선 외교부 메시지: 한반도 비핵화는 여전히 ‘기준점’

“AI 도입의 막힘을 뚫다” 코오롱베니트, 통합 플랫폼 ‘프롬튼’ 전격 공개

짙은 안개에 숨은 함정, 낮밤 급격한 온도 차 대비법

“연애, 돈, 침묵의 1년” 김치냉장고 속에 감춰진 진실

“합쳐도 내 마일은 안전할까?” 아시아나 포인트, 10년 보호와 전환 공식 총정리

“부산으로 간 이시바”… 셔틀외교를 현실로 만드는 시험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