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그리넷

경제

“8만전자”가 불쏘시개… 코스피 장중 3480선 스치며 또 최고 기록

M
관리자
2025.09.22 추천 0 조회수 14 댓글 0

“8만전자”가 불쏘시개… 코스피 장중 3480선 스치며 또 최고 기록

“8만전자”가 불쏘시개… 코스피 장중 3480선 스치며 또 최고 기록

1. 한눈에 보는 오늘의 마켓

 

9월 22일 국내 주식시장은 반도체주가 레버를 당기며 지수에 속도를 붙였습니다. 코스피는 종가 기준 3468.65(+0.68%)로 마감했고, 장중엔 3482.25까지 치솟아 신기록을 새로 썼습니다. 미 연준(Fed)의 기준금리 0.25%p 인하 이후 위험자산에 대한 불확실성이 다소 걷히며 매수세가 유입된 영향으로 해석됩니다.

수급에서는 외국인 +5,516억 원, 기관 +2,959억 원이 동반 매수에 나선 반면, 개인 −8,727억 원이 차익실현에 나서며 매물을 공급했습니다. 시장의 방향키는 명확히 ‘반도체’로 향했습니다.

 

2. 왜 올랐나: 반도체가 만든 추진력

 

대표 대형주가 불길을 지폈습니다. 삼성전자는 종가 기준 8만3,300원(+4.52%)으로 마감, ‘8만’ 벨트에 안착했습니다. 장중 한때 5%를 웃도는 상승으로 체급을 과시했습니다. 이날 모건스탠리가 국내 반도체 업종 투자의견을 ‘시장평균’에서 ‘매력적’으로 상향하고, 최선호주로 삼성전자를 제시한 결정이 투자심리를 빠르게 달궜습니다. 반면 SK하이닉스는 단기 급등 부담이 불거지며 −0.42%로 소폭 조정받았습니다.

 

주도업종의 랠리는 ‘금리→밸류에이션’의 고전 공식도 재소환했습니다. 연준의 선제 완화 신호는 성장주 할인율을 낮추고, 메모리 업황 개선 기대와 맞물려 주가 리레이팅을 자극했다는 분석이 우세합니다.

 

종목 스케치: 이슈 따라 급등·조정 엇갈려

 

상승 그룹에선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전자우, 현대차, KB금융, HD현대중공업, 두산에너빌리티, 기아가 강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두산로보틱스는 미국 로봇 솔루션 업체 지분 취득 소식에 +7.39% 급등, 신사업 모멘텀에 불이 붙었습니다. LG이노텍도 차기 아이폰 수요 기대(‘아이폰17’ 초기 판매 호조 관측)에 9%대 상승으로 화답했습니다. CJ CGV는 영화 산업 활성화 관련 대통령 발언이 촉매로 작동해 +4.79%를 기록했습니다.

 

약세 진영에선 LG에너지솔루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셀트리온, 네이버, 신한지주, 한화오션이 하락 마감했습니다. 업종 내 이슈와 단기 과열 부담이 공존하며 종목별 체력 차가 드러난 하루였습니다.

 

코스닥: 3거래일 연속 상승, 개별 재료주 강세

 

코스닥은 874.36(+1.3%)으로 마감해 3일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습니다. 개인이 +1,733억 원 순매수하며 시장을 받쳤고,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755억 원, −128억 원으로 매도 우위를 나타냈습니다.

 

재료주는 더 뜨거웠습니다. 알테오젠FDA 품목허가 소식에 +7.3% 급등했고, 비만 치료 시장 이슈가 재점화되며 디앤디파마텍이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글로벌 제약사 화이자의 비만약 개발사 ‘멧세라’ 인수 검토 보도가 촉매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디앤디파마텍은 GLP-1 계열 파이프라인을 멧세라에 기술이전해 북미 임상을 진행해온 이력이 있습니다.

 

환율·채권 한 줄

 

원화는 다소 강세를 보였습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1,392.6원(오후 3시 30분 기준)으로 전일 대비 1원 하락 마감했습니다. 주식 자금 유입과 위험자산 선호 회복이 맞물려 환율이 한 텍 칸 아래로 눌리는 그림입니다.

 

비유하자면, 오늘 장은 “반도체 기관차가 이끄는 순환열차”에 가까웠습니다. 기관차(삼성전자)가 속도를 내자, 객차(관련주·후방주)가 줄줄이 탄력을 받았고, 중간중간 안전벨트를 조이는 경고등(SK하이닉스 조정)도 확인된 셈입니다.

 

체크포인트 & 관전포인트

 

① 연준의 완화 전환이 ‘밸류에이션 디스카운트 해소’로 이어지는지, ② 반도체 업황 회복이 재고 정상화·가격 인상으로 실적에 선반영되는지, ③ 환율의 추가 하락이 외국인 수급 개선을 확대하는지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다만 단기간 급등 업종의 변동성 확대 가능성은 상존합니다.

 

결론적으로, 오늘의 사인은 명확합니다. “반도체의 방향성=지수의 방향성”. 업황과 정책의 두 축이 동시에 같은 방향을 가리킨 하루였습니다.

 

관련 출처

기사 원문 링크

데이터 기준: 2025-09-22 국내 증시 마감 수치 및 시장 공시/보도

댓글 0

뉴스

전체 정치 경제 사회 생활/문화 IT/과학 세계이슈 연예 건강
정치

“불황에 맞서는 드라이브” 이재명 대통령, 경제 컨트롤타워 전면 쇄신

M
관리자
조회수 748
추천 0
2025.06.07
“불황에 맞서는 드라이브” 이재명 대통령, 경제 컨트롤타워 전면 쇄신
정치

헌재 인선 원점으로… 이재명 대통령 ‘권한 없는 지명’ 뒤집다

M
관리자
조회수 741
추천 0
2025.06.06
헌재 인선 원점으로… 이재명 대통령 ‘권한 없는 지명’ 뒤집다
정치

여소야대 24시간 만의 역전극? 민주당 ‘3대 특검’ 기습 상정

M
관리자
조회수 734
추천 0
2025.06.05
여소야대 24시간 만의 역전극? 민주당 ‘3대 특검’ 기습 상정
정치

전한길, 이준석·한동훈 직격 “보수 자멸” - 대선 패배 책임 공방

M
관리자
조회수 752
추천 0
2025.06.05
전한길, 이준석·한동훈 직격 “보수 자멸” - 대선 패배 책임 공방
정치

이재명, 첫날부터 ‘경제비상’ 선언…비상경제점검 TF 직접 지휘

M
관리자
조회수 688
추천 0
2025.06.05
이재명, 첫날부터 ‘경제비상’ 선언…비상경제점검 TF 직접 지휘
정치

세 판짜기 시작…김민석 총리 카드로 여의도 지형 뒤흔든다

M
관리자
조회수 778
추천 0
2025.06.04
세 판짜기 시작…김민석 총리 카드로 여의도 지형 뒤흔든다
정치

이재명 대통령, 첫날부터 칼 빼들다 — 총리·국정원장 전격 지명

M
관리자
조회수 711
추천 0
2025.06.04
이재명 대통령, 첫날부터 칼 빼들다 — 총리·국정원장 전격 지명
정치

“비빔밥 정치” 선포…이재명 대통령, 취임 직후 여야 원내 수장들과 첫 담판

M
관리자
조회수 803
추천 0
2025.06.04
“비빔밥 정치” 선포…이재명 대통령, 취임 직후 여야 원내 수장들과 첫 담판
정치

“경제 전쟁” 선언한 이재명 대통령 취임 첫날 - 비상경제대응TF 즉각 가동

M
관리자
조회수 799
추천 0
2025.06.04
“경제 전쟁” 선언한 이재명 대통령 취임 첫날 - 비상경제대응TF 즉각 가동
정치

이재명 대통령, 취임 첫날 파격 행보―7·17 ‘임명식’으로 권력의 주어를 바꾼다

M
관리자
조회수 737
추천 0
2025.06.04
이재명 대통령, 취임 첫날 파격 행보―7·17 ‘임명식’으로 권력의 주어를 바꾼다
정치

한동훈 “사법 파괴는 레드라인” — 이재명 당선 직후 터져 나온 경고

M
관리자
조회수 775
추천 0
2025.06.04
한동훈 “사법 파괴는 레드라인” — 이재명 당선 직후 터져 나온 경고
정치

홍준표 “노인 유튜브 정치, 종말 임박” - 보수 진영 향한 직격탄

M
관리자
조회수 741
추천 0
2025.06.04
 홍준표 “노인 유튜브 정치, 종말 임박” - 보수 진영 향한 직격탄
정치

“이준석 찍으면 이재명 이롭게”…김문수, 마지막 24시간 절규

M
관리자
조회수 812
추천 0
2025.06.02
“이준석 찍으면 이재명 이롭게”…김문수, 마지막 24시간 절규
정치

“하와이에서 던진 폭탄 선언” - 홍준표의 새 출발과 대선 전망

M
관리자
조회수 820
추천 0
2025.06.02
“하와이에서 던진 폭탄 선언” - 홍준표의 새 출발과 대선 전망
정치

황교안 전격 사퇴, 김문수에 힘 실어 - 보수 대권 경쟁 격랑 속으로

M
관리자
조회수 841
추천 0
2025.06.02
황교안 전격 사퇴, 김문수에 힘 실어 - 보수 대권 경쟁 격랑 속으로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