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그리넷

세계이슈

“7년 만의 멈춤” 미 연방 행정 중단…돈·하늘·데이터가 동시에 흔들렸다

M
관리자
2025.10.01 추천 0 조회수 282 댓글 0

“7년 만의 멈춤” 미 연방 행정 중단…돈·하늘·데이터가 동시에 흔들렸다

“7년 만의 멈춤” 미 연방 행정 중단…돈·하늘·데이터가 동시에 흔들렸다

1. 무엇이 멈췄나

 

2026회계연도 지출안을 둘러싼 협상은 마감 시각(9월 30일 자정)을 넘기며 끝내 결렬됐다. 상원이 11월 21일까지 정부 자금 운용을 이어가자는 공화당발 ‘임시예산안(CR)’을 표결에 부쳤지만, 찬성 55 대 반대 45로 문턱(60표)에 닿지 못했다. 그 결과 다수의 공무원은 ‘비필수’로 분류돼 무급 휴직에 들어가고, ‘필수’ 인력은 급여 없이 현장을 지켜야 한다. 급여 공백 탓에 결근·병가가 늘며 서비스 품질이 빠르게 떨어지는 것이 셧다운의 전형적 패턴이다.

 

법집행 부문(FBI·DEA·해안경비대)은 가동을 이어가지만, 통계·행정의 체계는 느려진다. 노동통계국(BLS)의 고용지표, 상무부 경제분석국(BEA)의 각종 보고는 발간 지연이나 중단 가능성이 높고, 재무부의 환율조작국 보고서 역시 예정을 장담하기 어렵다. 반면 연방우정청(USPS)은 자체 수익 구조여서 정상 운행을 이어간다.

 

2. 하늘길부터 ‘난기류’

 

공항은 셧다운의 민낯이 가장 빨리 드러나는 공간이다. 교통부에 따르면 연방항공청(FAA) 인력의 약 1/4, 1만1천여 명이 무급 휴직 대상에 해당한다. 관제사·보안요원은 출근하되 급여가 정지되므로 피로 누적과 인력 이탈 위험이 커진다. 2018~2019년 35일 셧다운 당시 보안검색 지연과 인력 부족으로 주요 허브공항 운영이 흔들린 전례가 있다. 미국여행협회(USTA)는 이번 사태가 길어질 경우 주당 10억 달러 손실을 경고했다.
 

3. 돈의 언어로 본 파장

 

환율·채권·원자재는 즉각 반응했다. 달러인덱스(DXY)는 9월 30일 98 안팎에서 셧다운 직후 97.5대로 밀리며 1주 새 약 1% 하락했다. 미 10년물 국채수익률은 전일 한때 4.11%까지 내려섰다가 4.168%로 반등(가격 하락)했다. ‘안전자산의 왕’ 금은 리더십 리스크와 물가 경계가 겹치며 강세를 이어가 현물 3875.53달러까지 치솟은 뒤 일부 되돌림, 12월물 선물은 장중 3900달러를 넘어섰다.
 

주식시장은 상대적으로 담담했다. S&P500 +0.41%, 나스닥 +0.30%로 마감했지만, S&P500·나스닥100 선물은 약 0.45% 하락해 경계심을 드러냈다. 애널리스트들은 과거 사례처럼 “정부 셧다운 자체는 주가에 구조적 충격을 주지 않는다”고 평가하면서도, 공식 고용지표 공백연방공무원 추가 해고 가능성이 수요·심리에 미세한 금긍정을 남길 수 있다고 본다.
 

4. 데이터가 사라질 때 생기는 일

 

경제는 예측을 먹고 산다. BLS·BEA의 주간·월간 보고가 멈추거나 지연되면, 중앙은행·기관투자가·기업 CFO는 ‘나침반 없는 항해’를 하게 된다. 실업률 한 줄이 빠지는 순간, 채권·주식·통화는 ‘소문’에 더 크게 흔들린다. 공식 통계의 침묵은 변동성을 키우는 가장 값비싼 소음이다.

 

5. 정치의 숫자, 숫자의 정치

 

여야는 임시지출과 건강보험(ACA) 재원 연장을 놓고 강경 대치 중이다. 지도부는 ‘누가 먼저 양보했는가’보다 ‘누가 책임을 뒤집어씌우는가’에 더 민감하다. 셧다운이 길수록 유권자의 피로도는 누적되고, 그 피로는 곧 리더십 비용이 된다. 1기 때의 35일 기록을 다시 쓸지 여부는 표 계산과 지지층 결속의 함수다.

 

6. 생활 속 체감: 공항에서 가계까지

 

여행객은 보안대에서 시간을 더 지불하고, 기업은 승인·허가가 늦어져 프로젝트 일정이 꼬인다. 연방계약업체와 협력하는 중소기업은 현금흐름이 마른다. ‘정부가 멈추면 내 일상은 어떻게 변하나’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의외로 단순하다. 느려지고, 비싸지고, 불확실해진다.

 

요약 키포인트

• 예산안·CR 불발로 행정 일부 정지, 필수 인력은 무급 근무
• FAA 등 공항 인력 공백 → 대기행렬·지연 위험 확대, USTA 주간 10억달러 손실 추정
• DXY 하락(≈97.5), 10년물 4.168% 반등, 금 현물·선물 강세, 주식은 제한적 영향
• BLS·BEA 통계 지연/중단 우려 → 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
• 정쟁 격화 시 장기화 리스크…책임공방이 해법을 늦춘다

댓글 0

뉴스

전체 정치 경제 사회 생활/문화 IT/과학 세계이슈 연예 건강
세계이슈

美, 中 패권 야욕 직격탄…헤그세스 “동맹 방패 두껍게”

M
관리자
조회수 1078
추천 0
2025.06.01
美, 中 패권 야욕 직격탄…헤그세스 “동맹 방패 두껍게”
세계이슈

“하늘에서 벽돌이 쏟아진다”―광저우 아파트 투척 소동 전

M
관리자
조회수 1095
추천 0
2025.06.01
“하늘에서 벽돌이 쏟아진다”―광저우 아파트 투척 소동 전
세계이슈

지하에서 기어오른 그림자―마닐라 하수구 노숙자 사진이 드러낸 도시의 깊은 그늘

M
관리자
조회수 981
추천 0
2025.06.01
지하에서 기어오른 그림자―마닐라 하수구 노숙자 사진이 드러낸 도시의 깊은 그늘
세계이슈

김정은 앞에서 전복된 구축함…줄줄이 검거된 북한 실무진

M
관리자
조회수 982
추천 0
2025.05.26
김정은 앞에서 전복된 구축함…줄줄이 검거된 북한 실무진
세계이슈

트럼프-푸틴 ‘파격 담판’ - 우크라 분쟁 종식에 새로운 전기

M
관리자
조회수 1001
추천 0
2025.05.20
트럼프-푸틴 ‘파격 담판’ - 우크라 분쟁 종식에 새로운 전기
세계이슈

닌텐도 스위치 2, 역대급 출시 임박 - 삼성 반도체 협업으로 본격 질주

M
관리자
조회수 1038
추천 0
2025.05.20
닌텐도 스위치 2, 역대급 출시 임박 - 삼성 반도체 협업으로 본격 질주
세계이슈

트럼프, 중국행 시사? “직접 만남으로 무역 지렛대 강화”

M
관리자
조회수 951
추천 0
2025.05.18
트럼프, 중국행 시사? “직접 만남으로 무역 지렛대 강화”
세계이슈

세기의 충돌, 다시 만난 러시아·우크라이나 - 평화협상 재개

M
관리자
조회수 990
추천 0
2025.05.18
세기의 충돌, 다시 만난 러시아·우크라이나 - 평화협상 재개
세계이슈

“中과 맞선 전진기지? ‘항공모함’ 비유한 주한미군의 속내”

M
관리자
조회수 1103
추천 0
2025.05.18
“中과 맞선 전진기지? ‘항공모함’ 비유한 주한미군의 속내”
세계이슈

62세 한국 아빠의 충격적인 외모…외신도 놀란 비결 공개

M
관리자
조회수 1190
추천 0
2025.05.18
62세 한국 아빠의 충격적인 외모…외신도 놀란 비결 공개
세계이슈

귀국 직전 숨진 브라질 여성…“안전하다던 일본에서 무슨 일이?

M
관리자
조회수 1022
추천 0
2025.05.08
귀국 직전 숨진 브라질 여성…“안전하다던 일본에서 무슨 일이?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