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로 소폭 상향” IMF, 한국 성장 진단… 추경과 완화정책이 마중물

“0.9%로 소폭 상향” IMF, 한국 성장 진단… 추경과 완화정책이 마중물
1. 한 줄 요약
국제통화기금(IMF)이 2025년 한국 성장률을 0.9%로 상향했다. 상반기 둔화에도 추가경정예산과 통화 완화의 조합이 내수 바닥을 받치고, 해외 반도체 수요가 다른 수출 품목의 부진을 메우고 있다는 판단이다.
IMF는 불확실성이 진정되고 정책 효과가 본격화되면 2026년 성장률이 1.8%까지 완만히 반등할 것으로 내다봤다.
2. 숫자로 보는 현황과 비교
이번 조정치는 정부·한국은행의 0.9%와 동일하며, OECD의 1.0%보다는 낮고 KDI의 0.8%보다는 높다. IMF는 올해 들어 4월(1.0%) → 7월(0.8%) → 9월(0.9%)로 잇따라 경로를 재조정했다.
쉽게 말해, 국내 기관 평균과 국제기구의 ‘보수적 중간값’ 사이에 자리 잡은 셈이다. 시장 체감은 여전히 약하지만, 정책 유효성에 대한 가시성이 반영됐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정책 배경: 왜 올렸나
추경 편성은 소비쿠폰·투자 보강 등으로 가계·기업의 숨통을 틔웠고, 완화적 통화 기조는 차입 비용을 낮춰 내수의 낙폭을 줄였다. 여기에 메모리·AI 관련 수요가 수출 쪽에서 ‘받침목’ 역할을 하며 다른 품목의 둔화를 상쇄했다.
비유하자면, 경기의 불씨는 미약하지만 재정이 장작을, 통화가 바람을 불어넣고, 반도체가 점화 장치가 되어 화력을 유지하는 구조다.
리스크와 과제: 일시적 ‘부스터’에 그치지 않으려면
단기 재정 기조는 적절하지만, 중장기 재정건전화로 방향타를 되돌리라는 IMF의 권고가 뒤따랐다. 동시에 내수 활성화와 수출 포트폴리오 다변화가 필요하다고 짚었다. 특정 품목·지역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수록 외부 충격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정책 미세조정의 관점에선, 금리 경로는 물가 기대가 흔들리지 않는 범위에서 완화적 스탠스를 유지하고, 재정은 한시·표적형 처방을 통해 효율을 높이는 전략이 바람직하다.
전망: 2026년 1.8%, 회복의 설득력은?
IMF는 내년(2026년) 성장률을 1.8%로 제시했다. 이는 OECD의 2.2%보다 보수적이고, 한은·KDI의 1.6%보다 낙관적인 값이다. 불확실성 완화, 정책 파급, 그리고 기저효과가 맞물려 체감 경기가 뒤늦게 살아날 가능성을 반영했다.
결국 관건은 정책의 지속성과 타이밍이다. 불씨를 불길로 키우려면, 민간의 투자·고용 의사결정을 자극하는 구조개혁과 규제 합리화가 연쇄적으로 이어져야 한다.
에디터 노트
상향 폭은 작다. 그러나 ‘바닥 다지기 → 완만한 복원’이라는 흐름이 공식 전망에 반영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당분간은 정책 주도의 회복이겠지만, 내수의 자생력을 키우지 못하면 다음 사이클에서 다시 흔들릴 수 있다.
관련 링크
댓글 0
뉴스
“PPT 220쪽·구속 총력전” 특검, 한학자 영장 심사 정면돌파… 24일 김건희 법정 첫 공개 촬영

“8만전자”가 불쏘시개… 코스피 장중 3480선 스치며 또 최고 기록

추미애 vs 나경원, 법사위는 왜 또 멈췄나

“H-1B 연 10만달러” 초강수… 한국 기업, 미국 사업 시계 더 흐려졌다

“서울만 아니다”…KT 소액결제 무단 청구, 더 넓게 번졌다

“아침엔 가디건, 낮엔 반팔” 내륙은 하루 두 계절…9월 21일 날씨 브리핑

“24일 소환 통지” 특검, 前대통령 겨냥…평양 무인기 의혹 수사 급류

“제때 안 와서 상한 땅콩”…추석 앞두고 택배 분쟁 급증, 소비자 경보

“외군 없어도 버틴다” 이재명, 자주국방 드라이브 가속

“경주에서 판이 커진다” 미·중 정상, APEC 회동 합의… 틱톡·무역·안보까지 줄다리기

“관세는 변수 아님” 팀 쿡, 아이폰 가격 논란에 선 긋다

“10년을 달려온 N, 이제 연 10만대” 현대차 고성능 브랜드의 다음 질주

부산 앞바다 어선 전복, 1명 숨지고 1명 행방불명

롯데카드 해킹 파문, 297만명 피해…경찰·정부 강력 대응

특검, 국민의힘 당원DB서 ‘통일교 의심’ 11만명 포착… 전당대회 앞둔 집단 입당 정황 추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