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그리넷

생활/문화

“휴일 없이도 매진”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 10일의 실험이 남긴 것

M
관리자
2025.09.27 추천 0 조회수 3 댓글 0

“휴일 없이도 매진”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 10일의 실험이 남긴 것

“휴일 없이도 매진”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 10일의 실험이 남긴 것

1. 한눈에 보는 핵심

 

부산이 다시 스크린의 수도가 됐다. 9월 17일부터 26일까지 이어진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는 공휴일이 한 번도 끼지 않았음에도 총 175,889명을 모으며 전년 대비 약 2만 명을 더했다. 상영 규모는 7개 극장·31개 스크린, 작품 수는 328편. 국내외 게스트도 7,036명이 부산을 찾았다.

 

올해 가장 큰 변화는 경쟁 부문 신설. 아시아 신작 14편이 ‘부산 어워드’의 첫 주자로 이름을 올렸다. 대상·감독상·심사위원특별상·배우상·예술공헌상 등 5개 섹션의 수상 결과는 26일 폐막식(사회: 배우 수현)에서 공개된다. 심사는 나홍진 감독이 위원장을 맡고, 코고나다, 한효주, 량자후이(양가휘) 등 총 7인이 참여했다.

 

2. 현장 분위기와 프로그램 성적

 

관객과 창작자가 마주 앉는 GV는 323회로 촘촘히 배치됐다. 바깥 공기를 들이마시는 야외 무대인사 19회, 관객 앞에서 깊게 파고드는 마스터 클래스 5회, 발걸음을 멈추게 한 오픈 토크 13회까지, 포맷은 친숙하지만 밀도는 한층 높아졌다.

 

특히 올해 데뷔한 ‘까르뜨블랑슈’ 프로그램이 흥행을 이끌었다. 봉준호, 마이클 만, 매기 강 등이 자신이 사랑한 영화를 관객과 함께 보고 이야기하는 자리로, ‘감독들이 고른 감독의 영화’라는 설정이 통했다. 티켓은 연달아 ‘매진’ 스탬프를 받았다.

 

경쟁 부문이 던진 파급도 감지된다. 일본 사가야 다이스케의 <고양이를 놓아줘>, 스리랑카 비묵티 자야순다라의 <스파이 스타>는 부산 초청 발표 이후 국제 판매사 계약 소식을 알렸다. “아시아 영화의 더 영향력 있는 플랫폼”이라는 영화제의 목표가 산업적 실익과 만난 사례다.

 

영화제 30년, 다음 30년을 위한 질문

 

집행부는 “첫발은 제대로 뗐다”는 평가 속에서 내년 31회 대비에 이미 착수했다. 정한석 집행위원장은 심사 과정이 “성실하고 치열했다”고 전하며, 결과를 출발점 삼아 전면 재분석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다만 숙제도 뚜렷하다. 공공 재원은 2022년 전체 예산의 20%에서 올해 4%로 줄었다. 박광수 이사장은 대통령과 정부·여당 인사의 현장 방문을 언급하며, “세계적인 영화제로 도약하려면 지속 가능한 재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영화제를 ‘콘텐츠를 담는 그릇’이라 규정한 박가언 수석프로그래머는 “산업이 살아야 축제도 산다”고 덧붙였다.

 

축제를 하나의 생태계로 본다면, 올해 BIFF는 바람의 방향을 바꾼 케이스다. 경쟁의 도입은 신인 창작자에게 명확한 목표를 제시했고, 토크 프로그램의 다변화는 팬데믹 이후 위축됐던 관객 경험을 확장했다. 휴일이 없는 일정 속에서도 객석이 채워진 건, “좋은 영화는 일정을 뚫고 온다”는 평범한 진리를 다시 증명한 셈이다.

 

현장 숫자로 읽는 BIFF 2025

 

• 기간: 9월 17일–26일 / 상영작: 328편 / 상영 환경: 7개 극장·31개 스크린
• 관객: 175,889명 / 게스트: 7,036명
• 프로그램: GV 323회 · 오픈 토크 13회 · 야외 무대인사 19회 · 마스터 클래스 5회
• 경쟁 부문: 아시아 14편, ‘부산 어워드’ 5개 부문 시상
• 산업 성과: <고양이를 놓아줘>·<스파이 스타> 해외 세일즈 계약 성사
• 과제: 국비 비중 20%(2022) → 4%(2025)로 하락

 

에필로그 — 바다와 스크린 사이

 

영화제의 흥행을 단순히 ‘숫자’로만 재단할 수는 없다. 해운대 바람과 야외 무대의 함성, 심야까지 이어진 GV의 질문들이 쌓여 도시의 기억이 된다. 30회를 지나온 노장 영화제는, 경쟁이라는 새 신발을 신고 더 멀리 걷기 시작했다. 관객은 이미 그 곁에서 속도를 맞추고 있다.

댓글 0

뉴스

전체 정치 경제 사회 생활/문화 IT/과학 세계이슈 연예 건강
IT/과학

“좌표를 지운다”…구글, 한국 지도 보안 규정 수용 선언

M
관리자
조회수 273
추천 0
2025.09.09
“좌표를 지운다”…구글, 한국 지도 보안 규정 수용 선언
IT/과학

“아시아의 기준을 세운다” 서울, 9월 15일 글로벌 프라이버시 총회 개막

M
관리자
조회수 286
추천 0
2025.09.07
“아시아의 기준을 세운다” 서울, 9월 15일 글로벌 프라이버시 총회 개막
IT/과학

모토로라의 역습, 삼성은 반등 준비…폴더블 시장 판도 요동

M
관리자
조회수 269
추천 0
2025.09.05
모토로라의 역습, 삼성은 반등 준비…폴더블 시장 판도 요동
IT/과학

“전 계열사 동시 스타트” 카카오, AI 시대 첫 대규모 신입 공채

M
관리자
조회수 345
추천 0
2025.09.03
“전 계열사 동시 스타트” 카카오, AI 시대 첫 대규모 신입 공채
IT/과학

“국가기간망도 노렸나” KT·LGU+ 해킹 의혹… 정부, 서버 포렌식 돌입

M
관리자
조회수 350
추천 0
2025.09.02
“국가기간망도 노렸나” KT·LGU+ 해킹 의혹… 정부, 서버 포렌식 돌입
IT/과학

“울산에서 시작된 빅딜” SKT×슈나이더, MEP 통합 계약으로 AI 데이터센터 혁신 가속

M
관리자
조회수 327
추천 0
2025.08.31
“울산에서 시작된 빅딜” SKT×슈나이더, MEP 통합 계약으로 AI 데이터센터 혁신 가속
IT/과학

SKT 개인정보 대참사…2,324만 명 정보 유출에 1,347억 과징금

M
관리자
조회수 374
추천 0
2025.08.28
SKT 개인정보 대참사…2,324만 명 정보 유출에 1,347억 과징금
IT/과학

2분기 랜섬웨어 피해 급등… 소비자 서비스까지 치명타

M
관리자
조회수 384
추천 0
2025.08.27
2분기 랜섬웨어 피해 급등… 소비자 서비스까지 치명타
IT/과학

통신·금융 최전선 연합! 보이스피싱 막기 위한 강력 드라이브

M
관리자
조회수 828
추천 0
2025.06.02
통신·금융 최전선 연합! 보이스피싱 막기 위한 강력 드라이브
IT/과학

190억 물관리 빅딜! KT·K-water AI‧클라우드 DX 프로젝트 전모

M
관리자
조회수 884
추천 0
2025.06.01
190억 물관리 빅딜! KT·K-water AI‧클라우드 DX 프로젝트 전모
IT/과학

“스마트폰 0원?” SKT·KT·LGU+ ‘100만원 폭탄 지원금’…거리마다 대기줄 폭발

M
관리자
조회수 878
추천 0
2025.06.01
“스마트폰 0원?” SKT·KT·LGU+ ‘100만원 폭탄 지원금’…거리마다 대기줄 폭발
IT/과학

LG CNS, AI 신대륙 개척 위해 대규모 채용 - 혁신적인 AX 전략

M
관리자
조회수 940
추천 0
2025.05.27
LG CNS, AI 신대륙 개척 위해 대규모 채용 - 혁신적인 AX 전략
IT/과학

정보보호 인재 쟁탈전 2025 - 사이버 보안 전문가 모여라

M
관리자
조회수 760
추천 0
2025.05.27
정보보호 인재 쟁탈전 2025 - 사이버 보안 전문가 모여라
IT/과학

단통법 해제 앞둔 갤S25, 예상을 뛰어넘은 판매 폭발

M
관리자
조회수 882
추천 0
2025.05.27
단통법 해제 앞둔 갤S25, 예상을 뛰어넘은 판매 폭발
IT/과학

SKT 가입자를 노린 위험한 유혹 - 불안 마케팅의 실체

M
관리자
조회수 863
추천 0
2025.05.26
SKT 가입자를 노린 위험한 유혹 - 불안 마케팅의 실체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