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그리넷

생활/문화

“휴일 없이도 매진”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 10일의 실험이 남긴 것

M
관리자
2025.09.27 추천 0 조회수 12 댓글 0

“휴일 없이도 매진”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 10일의 실험이 남긴 것

“휴일 없이도 매진”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 10일의 실험이 남긴 것

1. 한눈에 보는 핵심

 

부산이 다시 스크린의 수도가 됐다. 9월 17일부터 26일까지 이어진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는 공휴일이 한 번도 끼지 않았음에도 총 175,889명을 모으며 전년 대비 약 2만 명을 더했다. 상영 규모는 7개 극장·31개 스크린, 작품 수는 328편. 국내외 게스트도 7,036명이 부산을 찾았다.

 

올해 가장 큰 변화는 경쟁 부문 신설. 아시아 신작 14편이 ‘부산 어워드’의 첫 주자로 이름을 올렸다. 대상·감독상·심사위원특별상·배우상·예술공헌상 등 5개 섹션의 수상 결과는 26일 폐막식(사회: 배우 수현)에서 공개된다. 심사는 나홍진 감독이 위원장을 맡고, 코고나다, 한효주, 량자후이(양가휘) 등 총 7인이 참여했다.

 

2. 현장 분위기와 프로그램 성적

 

관객과 창작자가 마주 앉는 GV는 323회로 촘촘히 배치됐다. 바깥 공기를 들이마시는 야외 무대인사 19회, 관객 앞에서 깊게 파고드는 마스터 클래스 5회, 발걸음을 멈추게 한 오픈 토크 13회까지, 포맷은 친숙하지만 밀도는 한층 높아졌다.

 

특히 올해 데뷔한 ‘까르뜨블랑슈’ 프로그램이 흥행을 이끌었다. 봉준호, 마이클 만, 매기 강 등이 자신이 사랑한 영화를 관객과 함께 보고 이야기하는 자리로, ‘감독들이 고른 감독의 영화’라는 설정이 통했다. 티켓은 연달아 ‘매진’ 스탬프를 받았다.

 

경쟁 부문이 던진 파급도 감지된다. 일본 사가야 다이스케의 <고양이를 놓아줘>, 스리랑카 비묵티 자야순다라의 <스파이 스타>는 부산 초청 발표 이후 국제 판매사 계약 소식을 알렸다. “아시아 영화의 더 영향력 있는 플랫폼”이라는 영화제의 목표가 산업적 실익과 만난 사례다.

 

영화제 30년, 다음 30년을 위한 질문

 

집행부는 “첫발은 제대로 뗐다”는 평가 속에서 내년 31회 대비에 이미 착수했다. 정한석 집행위원장은 심사 과정이 “성실하고 치열했다”고 전하며, 결과를 출발점 삼아 전면 재분석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다만 숙제도 뚜렷하다. 공공 재원은 2022년 전체 예산의 20%에서 올해 4%로 줄었다. 박광수 이사장은 대통령과 정부·여당 인사의 현장 방문을 언급하며, “세계적인 영화제로 도약하려면 지속 가능한 재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영화제를 ‘콘텐츠를 담는 그릇’이라 규정한 박가언 수석프로그래머는 “산업이 살아야 축제도 산다”고 덧붙였다.

 

축제를 하나의 생태계로 본다면, 올해 BIFF는 바람의 방향을 바꾼 케이스다. 경쟁의 도입은 신인 창작자에게 명확한 목표를 제시했고, 토크 프로그램의 다변화는 팬데믹 이후 위축됐던 관객 경험을 확장했다. 휴일이 없는 일정 속에서도 객석이 채워진 건, “좋은 영화는 일정을 뚫고 온다”는 평범한 진리를 다시 증명한 셈이다.

 

현장 숫자로 읽는 BIFF 2025

 

• 기간: 9월 17일–26일 / 상영작: 328편 / 상영 환경: 7개 극장·31개 스크린
• 관객: 175,889명 / 게스트: 7,036명
• 프로그램: GV 323회 · 오픈 토크 13회 · 야외 무대인사 19회 · 마스터 클래스 5회
• 경쟁 부문: 아시아 14편, ‘부산 어워드’ 5개 부문 시상
• 산업 성과: <고양이를 놓아줘>·<스파이 스타> 해외 세일즈 계약 성사
• 과제: 국비 비중 20%(2022) → 4%(2025)로 하락

 

에필로그 — 바다와 스크린 사이

 

영화제의 흥행을 단순히 ‘숫자’로만 재단할 수는 없다. 해운대 바람과 야외 무대의 함성, 심야까지 이어진 GV의 질문들이 쌓여 도시의 기억이 된다. 30회를 지나온 노장 영화제는, 경쟁이라는 새 신발을 신고 더 멀리 걷기 시작했다. 관객은 이미 그 곁에서 속도를 맞추고 있다.

댓글 0

뉴스

전체 정치 경제 사회 생활/문화 IT/과학 세계이슈 연예 건강
경제

롯데·메가박스, CGV 넘볼 ‘스크린 전쟁’ 시작됐다

M
관리자
조회수 698
추천 0
2025.07.10
롯데·메가박스, CGV 넘볼 ‘스크린 전쟁’ 시작됐다
정치

李 대통령 지지율 65%…‘국정 운영 잘한다’ 여론 압도적

M
관리자
조회수 631
추천 0
2025.07.10
李 대통령 지지율 65%…‘국정 운영 잘한다’ 여론 압도적
사회

내년 시간당 법정최저보수, 1만 원 턱걸이 인상폭 ‘1.8% vs 4.1%’

M
관리자
조회수 701
추천 0
2025.07.09
내년 시간당 법정최저보수, 1만 원 턱걸이 인상폭 ‘1.8% vs 4.1%’
경제

주가조작 단번에 퇴출… 불공정 거래 ‘원스트라이크 아웃’ 전면 시행

M
관리자
조회수 670
추천 0
2025.07.09
주가조작 단번에 퇴출… 불공정 거래 ‘원스트라이크 아웃’ 전면 시행
정치

이진숙 방통위원장, 국무회의 배석 전격 제외

M
관리자
조회수 675
추천 0
2025.07.09
이진숙 방통위원장, 국무회의 배석 전격 제외
사회

“잿빛 철문 앞에서” — 윤석열 前 대통령, 내란 혐의 영장심사 전말

M
관리자
조회수 704
추천 0
2025.07.08
“잿빛 철문 앞에서” — 윤석열 前 대통령, 내란 혐의 영장심사 전말
경제

美 관세 칼날에 흔들린 삼성·LG, 반도체·가전 양축 모두 타격

M
관리자
조회수 716
추천 0
2025.07.08
美 관세 칼날에 흔들린 삼성·LG, 반도체·가전 양축 모두 타격
정치

“25만원보다 산업은행” 한마디에 기름 부은 부산 민심

M
관리자
조회수 725
추천 0
2025.07.08
“25만원보다 산업은행” 한마디에 기름 부은 부산 민심
사회

긴장 속 재소환, 윤 전 대통령과 특검의 일촉즉발

M
관리자
조회수 716
추천 0
2025.07.05
긴장 속 재소환, 윤 전 대통령과 특검의 일촉즉발
경제

“지갑을 열면 나라가 돕는다” —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전격 해부

M
관리자
조회수 679
추천 0
2025.07.05
“지갑을 열면 나라가 돕는다” —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전격 해부
정치

‘55만 원 현금폭탄’ 눈앞…31.8조 추경, 이재명 정부 첫 시험대

M
관리자
조회수 738
추천 0
2025.07.05
‘55만 원 현금폭탄’ 눈앞…31.8조 추경, 이재명 정부 첫 시험대
사회

초읽기 돌입한 특검, 윤 전 대통령 겨냥 ‘숨가쁜 하루’

M
관리자
조회수 646
추천 0
2025.07.04
초읽기 돌입한 특검, 윤 전 대통령 겨냥 ‘숨가쁜 하루’
경제

관세 ‘데드라인’ 초읽기…긴장감 높아진 서울·워싱턴

M
관리자
조회수 790
추천 0
2025.07.04
관세 ‘데드라인’ 초읽기…긴장감 높아진 서울·워싱턴
정치

李대통령, 김민석에 임명장 건네며 “총리가 바꾸면 나라가 달라진다”

M
관리자
조회수 663
추천 0
2025.07.04
李대통령, 김민석에 임명장 건네며 “총리가 바꾸면 나라가 달라진다”
사회

“최저임금 막판 줄다리기” — 11,140원 vs 10,130원, 숨가쁜 1,010원의 격전

M
관리자
조회수 747
추천 0
2025.07.03
“최저임금 막판 줄다리기” — 11,140원 vs 10,130원, 숨가쁜 1,010원의 격전
17 18 19 20 21